Tag Archives: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이 말하지 않는 두어가지

장하준 씨의 등장은 경제학계에, 특히 한국경제학계에 있어 매우 신선한 등장이었다. 소위 “좌익” 경제학자가 아니면서도 경제학, 특히 자유 시장 경제학이 쌓아놓은 여러 우상들을 편안한 말투로 파괴해가는 그의 행로를 바라보는 것은 매우 독특한 경험이었기 때문이다. 박정희를 옹호하는 것으로 오해된 그의 등장 초창기, 한 유명한 “좌파” 지식인은 왜 우익 박정희를 옹호하느냐며 따지고 들었지만 결국 스스로의 경제학에 대한 무식만 폭로한 셈이 되었고, 그로 인해 장하준 씨의 독특한 이론적 지형이 다시 각인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었다.

그가 쓴 <쾌도난마 한국경제>, <나쁜 사마리아인들> 등 일련의 대중 경제학 서적들은 ‘경제학 서적은 곧 財테크 서적’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 한국 독서계에서 이례적으로 높은 판매부수를 기록했다. 흥행 포인트는 앞서도 말했지만 그만의 독특한 언어와 시각으로 – 아시겠지만 일례로 그는 책에 그래프를 쓰지 않는다 ― 경제학의 우상을 하나하나 부셔나가는 모습에서 느낄 수 있는 어떤 카타르시스 때문이 아닐까 싶다. 신간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역시 이전 저서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미덕을 충실히 지니고 있다.

책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다시피 이 책은 자본주의 및 자유 시장에 관해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23가지 선입견에 대해 – 주로 자유 시장 경제학자들이 주입한 – 하나하나 짧은 에세이 형식으로 반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누가 – 저자?, 영국 편집진? 한국 편집진? – 적었는지 모르겠으나 책 서두에 적혀있는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를 읽는 7가지 방법”에는 각각의 궁금증을 풀려면 어느 어느 장을 보라 일러주고는 제일 마지막에 “또는 그냥 순서대로 쭉 읽는다”라고 쓰여 있다. 나는 이 방법을 따랐고 무리 없이 읽힌다.

그들이 말하지 않는 것들은 이를테면 ‘자유 시장이라는 것은 없다’, ‘우리는 탈산업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정부도 유망주를 고를 수 있다’, ‘우리는 여전히 계획 경제 속에서 살고 있다’ 등의 흥미진진하고 도전적인 주제들이다. 이전의 그의 저서들의 내용과 겹치는 부분이 적잖이 있지만 그게 흠이 될 순 없고 결국 각각의 주제들은 그가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는 ‘국가, 규제, 계획은 非자본주의적인 것이 아니고 그 자체가 나쁜 것도 아니며, 어떻게 규제하고 계획하느냐가 관건이다’라는 메시지로 수렴되고 있다.

요컨대 그는 “자본주의는 나쁜 경제 시스템이지만 다른 모든 시스템이 더 나쁘기”(p328) 때문에 1980년대 이후 득세하고 있는 자유 시장 자본주의만 걷어내어 수리해서 쓰자고 주문하고 있다. 결국 그는 수정자본주의 시절을 향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케인즈 주의적이며, 그러한 길로 나아가기 위한 수단을 규제 및 계획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제도학파적으로 보인다. 물론 “스스로 좌파가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장하준은 BBC로부터 좌편향이라고 묘사되는 사람”이라며 권위에 기대어 좌파라고 둥쳐서 딱지 붙이는 바보도 있다.

이제 그가 앞으로 행보에서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적어보자. 우선 과연 자유 시장 자본주의는 그가 묘사하고 암시하고 있듯이 자본주의의 변종에 불과한 것인가 하는 물음을 답해주었으면 좋겠다. ‘자유 시장 이데올로기’가 좋았던 수정 자본주의 시대의 이론적 공세에 의해 발생한 종양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수정 자본주의 속에 내포되어 있던 필연적인 자본주의의 경로라면 어떻게 되는가? 사회주의 득세에 대항하기 위해 유지되어 온 국가주도 복지 자본주의 모델은 과연 지속가능한 모델이었나 하는 물음이 뒤따라온다.

이 의문은 다시 이런 질문을 던지게 한다. 자본가는 자본주의자인가? 보다 정확히 말해 장하준 씨가 꿈꾸는 이상적인 자본주의에 선선히 동의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일단 저 물음에 답해두자면 자본가는 자본주의자, 적어도 자유 시장 자본주의자는 아니다. 그들은 기업을 계획하고 – 그들은 공정거래위원회를 아주 싫어 한다 – 국가의 규제를 – 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규제와 지원만을 – 원한다. 그런 면에서 장하준 씨의 손을 들어주겠지만 장하준 씨가 국가의 이니셔티브를 주장하는 순간 얼굴표정이 바뀔 것이 분명하다.

오늘날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집단을 순위를 매겨보자면 초국적 기업들이 대부분의 나라를 밀쳐내고 리스트를 대부분 차지해버린다는 사실은 굳이 깊게 생각하지 않아도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많은 인구를 가진 사이버 국가가 되어가고 있다. 그런 와중에 간섭받지 않는 권력이 선거에 의해 정기적으로 교체되는 행정 권력의 행정지도에 얼마나 선선히 응해줄지 심히 의문이다. 그가 어느 정도 향수를 가지고 있는 박정희 시절의 공권력을 오늘날 동원할 수 있는 이는 차베스 정도가 아닐까 싶다.

어쨌든 장하준 씨도 경제가 정치적인 힘의 균형의 문제라는 것 정도는 잘 알고 있다. 시장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믿는 청맹과니의 말을 온전히 믿는 이들은 행정부나 자본 내에 아마 없을 것임에 그들은 경제운용에 관한 일종의 타협을 한다. 그는 이 상황에서 결국 상대적으로 공익을 대변하고 있는 행정부의 이니셔티브를 주문하는 것이지만, 문제는 아직 그가 그 이니셔티브를 어떻게 잡을 것인지에 대해선 별로 이야기한 바가 없다는 점이다. 그의 다음 책의 제목은 <그들이 접수하지 않은 권력 23가지>정도였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