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로널드 레이건

Material Girl 을 듣다가 생각난 서구의 80년대

어떤 소년들은 내게 키스하고 어떤 소년들은 껴안는데
뭐 괜찮아.
만약 그들이 적당한 신용을 제공하지 않으면
그냥 떠나버리면 돼.
Some boys kiss me, some boys hug me
I think they’re O.K.
If they don’t give me proper credit
I just walk away
(Madonna – Material Girl)

유난히 천진난만한 코맹맹이 목소리로 신용거래를 통해 창출되는 애정관계를 묘사한 마돈나의 명곡 Material Girl. 마돈나는 “우리가 물질적인 세계(material world)에서 사는 것을 알지 않느냐”면서 “난 물질적인 소녀야”라고 선언한다. 이 노래는 그녀의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인 Like A Virgin의 수록곡이다.

이 앨범이 발표된 1985년의 미국은 마돈나가 이야기한 바대로 물질적인 분위기가 충만할 때였다. 이 시기, 대통령은 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이었고, 경제는 활황세였기에 말 그대로 “돈이 말을 하는” 시기였다. 당시 분위기는 이 시절을 배경으로 한 영화 ‘미국의 싸이코(American Psycho)’에 잘 표현되어 있다.

넌 네 자신이 커다란 자동차의 운전대 뒤에 있는 것을 발견할지도 몰라.
넌 네 자신이 아름다운 집에서 아름다운 아내와 있는 것을 발견할지도 몰라.
넌 이렇게 자문할지도 몰라. 음, 내가 여기 어떻게 왔지?
You may find yourself behind the wheel of a large automobile
You may find yourself in a beautiful house with a beautiful wife You may ask yourself, well, how did I get here?
(Talking Heads – Once In A Lifetime)

바로 이 질문에 대해서 유머러스한 경제학자 사트야지트 다스는 ‘부채’덕분에 그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흠~ 아닌 게 아니라 그래프를 살펴보니 마돈나가 “난 물질적인 소녀야.”라고 외치고 있던 시점에, 미국의 싸이코가 친구의 명함이 자기 명함보다 더 고급스럽다는 사실에 눈썹이 떨리던 시점에 미국의 빚이 급증하고 있다.

그렇다면 마돈나를 껴안으려는 소년이 제공하는 신용이나 싸이코가 만든 고급 명함의 재원은 바로 빚을 통해 조달한 것이 되는 셈인가? 아마도 그럴 것이다. 이때쯤이면 미쏘 대결구도에서 강경노선을 택한 레이건은 군비확장을 위해 빚을 늘렸고, 소련의 패배가 확실해진 일극(一極)체제에서 미국은 더 거침없이 빚을 늘렸다.

이렇게 빚이 는다고 모두가 그 혜택을 누린 것은 아니다. 당시는 영미권에서 보수정권이 들어서면서 이전의 온정주의적 태도를 버리고 노동자들을 살벌하게 길거리로 내쫓던 시기였다. Fed 의장인 폴 볼커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살인적으로 올려 채무자들의 주머니를 탈탈 털어냈다. 서민의 삶은 더 힘들어졌다.

당신은 공공의 적인 10번지(다우닝가 10번지인 영국 수상관저)에 의해 위협받게 될까요?
파워게임을 하고 있는 그들.
당신의 임금인상은 없다는 소리를 들을 때
그들은 잉여를 취하고 당신만 책임을 집니다.
Are you gonna be threatened by
The public enemy No. 10
Those who play the power game
They take the profits -you take the blame
When they tell you there’s no rise in pay
(The Style Council – Walls Come Tumbling Down)

패션 스타일에 있어서는 거품이 생겨나는 경제를 대변하기라도 하듯 풍성하고 과장된 스타일이 유행했다. 머리는 한껏 치켜 올려 세웠고, 어깨선에도 과장된 디자인이 적용됐다. 대중음악들도 마돈나의 노래처럼 화려하고 거침없고 빠른 템포의 춤곡이 인기를 얻었다. 화장을 한 남녀들이 저마다의 미모를 뽐냈다.

이제 현대 자본주의에서 그런 시절이 다시 올까? 경기순환론을 믿는 이라면 사회의 생산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어떤 혁신을 통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믿을지도 모르겠다. 만일 그런 시기가 다시 온다면 사람들은 이전에 얻은 교훈을 통해 보다 현명한 경제활동을 할까? 아니면 다시 한 번 “난 물질적인 소녀야”라고 외칠까?

그렇지만 내 희망을 봐. 내 꿈을 봐.
우리가 쓴 현찰들.
(오~) 난 당신을 사랑해. 오~ 당신은 내 월세를 내주지.
(오~) 난 당신을 사랑해. 오~ 당신은 내 월세를 내주지.
But look at my hopes, look at my dreams
The currency we’ve spent
(Ooooh) I love you, oh, you pay my rent
(Ooooh) I love you, oh, you pay my rent
(Pet Shop Boys – Rent)

“대통령의 임무는 권력으로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는 일이다.”

예전에 로널드 레이건 제40대 미국 대통령과 당시 행정부의 도널드 리건 재무장관의 이상한 관계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다. 처음에는 로널드 리건으로 불리던 그가 돌연 레이건으로 발음을 바꾼 계기랄지 레이거노믹스라 이름 붙여진 레이건 특유의 경제정책이 실은 리건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이었다.

하기는 마이클 무어의 신작 ‘캐피탈리즘:러브스토리’를 보면 도널드 리건이 보통 인물이 아니기는 하다. 대통령이 된 후 증권거래소를 찾은 레이건이 연설을 하는 와중에 노령인 탓인지 말이 상당히 느렸다. 이때 뒤에 있던 리건이 끼어들며 “빨리 좀 말하세요.”라고 하자 레이건이 “오호~”하며 놀라는 장면이 나온다. 단순히 부하직원의 충고였을까? 한국어로 잘 감이 안오면 영어로 표현해보자. “you’ll have to speed it up.” 이것이 그가 한 말이다. “have to”라는 표현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로널드 리건’이 ‘로널드 레이건’이 된 사연에 대한 고찰]

그런데 최근 백악관 취재기자를 담당하며 무려 8명의 대통령을 취재했던 백악관 취재의 산 증인 헬렌 토머스의 자서전 ‘백악관의 맨 앞줄에서’라는 책을 읽다가, 이 두 인물에 관한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언급을 발견했다. 바로 도널드 리건이 재무장관 재직 중 레이건과 사전상의도 없이 제멋대로 행동한 대목이다.

레이건의 첫 임기 동안 나에게 가장 놀라웠던 일은 베이커 백악관 비서실장과 도널드 리건 재무장관이 서로 자리를 바꾼 것이다. 결정 그 자체가 이상한 일이라기보다는 그렇게 하기로 결정한 뒤에야, 즉 기자실에 그 사실을 알릴 즈음에야 그들이 레이건과 그 문제를 상의했다는 사실에 더욱 놀라웠다. 다른 대통령들이었다면 대통령의 권위를 침해한 주제넘은 행동에 경악했겠지만, 이야기를 들은 레이건은 괜찮은 아이디어라고 대수롭지 않게 받아 들였다고 한다.[백악관의 맨 앞줄에서, 헬렌 토머스, 도서출판 답게, 2000년, p406]

그의 말마따나 정말 놀라운 일이다. 백악관의 비서실장과 행정부의 재무장관이 자기네끼리 상의해서 기자실에 내용을 알린 후 대통령에게 자신들의 거취를 “상의”한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그야말로 통수권자의 “권위를 침해한 행동”이라 여겨진다. 사실상 상의가 아닌 통보에 가까운 행동이랄 수 있다.

사람이 좋아서인 것인지 격식을 따지지 않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베이커와 리건의 행동, 그리고 이에 대한 레이건의 반응은 확실히 기이한 구석이 있다. 백악관의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아는 헬렌 토머스도 놀랄 정도로 말이다. 리건과 레이건은 어떤 관계였을까? 레이건은 정말 대통령이었을까? 아니면 여전히 배우였을까?

대통령은 거의 허수아비나 다름없다. 대통령은 아무 권한도 행사하지 않는다. 표면상으로 대통령은 정부에 의해 선출되지만, 그에게 요구되는 품성은 지도력이 아니라 정교하게 판단된 난폭성이다. [중략] 대통령은 늘 사람들을 화나게 만들면서도 매력적인 인물이어야 한다. 대통령의 임무는 권력을 휘두르는 것이 아니라 권력으로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는 일이다. 이러한 기준으로 볼 때, 자포드 비블브락스는 역대 은하계의 대통령들 중 가장 성공적인 대통령이다.[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 더글러스 아담스 지음, 김선형/권진아 옮김, 책세상, 2007년, p71]

‘로널드 리건’이 ‘로널드 레이건’이 된 사연에 대한 고찰

한국어는 여러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적혀진 한글에 대한 발음에 있어 거의 이론의 여지가 없는 편이다. 자기 이름을 ‘유인촌’이라 써놓고 사람들이 ‘유인촌’이라고 부르니까 “내 이름을 유인촌 말고 문익촌이라 읽어 달라”라고 억지를 부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표음문자(表音文字)의 특징이다. 문익촌도 나쁘진 않지만.

그런데 알파벳은 같은 표음문자라 하더라도 좀더 변용이 많은 편인 것 같다. 특히 이름과 같은 고유명사의 발음에 있어서는 기존 관행 또는 본인의 의지에 따라 달리 발음하기도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팝가수 ‘샤데이’는 스펠링이 Sade다. ‘세이드’라 발음해야 할 것 같은데 나이지리아 국적인 그녀가 그렇게 불러 달래서 샤데이다.

한편 미국 대통령 중에선 희한한 케이스가 하나 있는데 ‘로널드 레이건’이다. 그의 이름은 대통령이 되기 전까지는 ‘로널드 리건’이라 불리었다. 그런데 대통령이 된 날 ‘로널드 레이건’으로 표기가 바뀌었다. 알파벳 스펠링은 ‘리건’일때나 ‘레이건’일때나 여전히 Ronald Reagan 인데 말이다. 대통령이 될 때쯤인 1981년의 신문을 보자.

(이하 네이버 디지탈뉴스아카이브 캡처)

이때까지만 해도 ‘리건'(1980년 7월 17일 동아)

경향신문의 1981년 11월 6일자 보도에 따르면 ‘한국신문편집인협회보도용어 통일심의회(韓國新聞編輯人協會報道用語 統一審議會)’라는 거창한 단체에서 여태 ‘리건’이라 써오던 표기를 ‘레이건’으로 바꿔 쓰기로 했다고 한다. 누구 맘대로? 아무리 단체 이름이 거창해도 감히 미국의 대통령 이름을 멋대로 바꿔 쓸 수는 없다. 본인이 허락하지 않은 한은.

너무 거창한 단체 이름!(1981년 11월 6일 경향)

그런데 동아일보는 경향이 그런 사실을 보도하기 하루 전에 이미 그를 ‘레이건’이라고 표기했다. 왜 그렇게 했냐고? “본인의 희망에 따라” 그랬다는 보도도 있다. 동아는 이미 발빠르게 ‘한국신문편집인협회보도용어 통일심의회’가 바꿔 쓰기로 결정하거나 말거나 “본인”의 희망사항을 확인했다는 이야기다. 역시 그때부터 대단한 신문이었던 듯?

본인의 희망이라잖아~(1981년 11월 5일 동아)

그때 아직 소년시절인지라 많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이 사실만큼은 기억한다. 여태 ‘리건.. 리건..’하던 미국의 대통령 각하의 이름이 어느 날 갑자기 ‘레이건’으로 바뀐 그 순간 말이다. 그때 기억을 더듬어 보면 동아의 말마따나 그리고 ‘샤데이’의 경우처럼 본인이 “이제 멋없는 리건이라는 이름대신 레이건이라 불러라. 에헴!”한거라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런데~

1985년 11월에 고르바초프와 레이건의 미소 수뇌회담이 열렸다. 언론은 양자가 화해하여 동서대립이 해소된 것처럼 요란하게 보도했다. 그러나 당시 수행자들이 누구였던가? 레이건의 감시자로서 세계최고의 원자력발전소 건설회사 벡텔 사의 사장 조지 슐츠와 세계 최고의 투자은행 메릴린치의 도널드 리건이 각각 국무장관과 수석보좌관의 직함을 들고 동행하지 않았던가. [중략] 이 가운데 리건 보좌관은 재무장관에서 자리를 옮긴, 최고 실력자라 부를만한 인물이었다. 레이건이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그때까지 로널드 리건이란 이름의 발음을 로널드 레이건으로 바꾼 것도 이 헷갈리기 쉬운 스폰서인 도널드 리건을 장관으로 맞이하는 예의로서 대통령이 한발 양보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리라.[제1권력, 히로세 다카시 지음, 이규원 옮김, 2010년, pp481~482]

JP모건과 록펠러 집안이 미국과 전 세계의 권력을 좌지우지한다는 히로세 다카시의 음모론 책을 읽고 있는 와중에 만난 대목이다. 이 주장대로라면 ‘레이건’ 씨는 비록 스펠링이 Regan으로 다르긴 하지만 발음은 구분할 수 없는 차기 재무장관을 배려(?)하여 대통령으로 당선되자마자 표기를 바꿔달라고 요구한 셈이다. 대단 대단!

변방의 신문은 전체 이름을 ‘도널드 리건’이라 하기도(1980년 3월 13일 경향)

그런데 여하튼 ‘도널드 리건’이 재무장관 자리에 확정발표된 것은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지 한달이 지난 후였으니 딴에는 히로세 다카시가 오버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물론 그림자 내각이야 이미 확정되었을 수도 있고 그깟 이름에 대한 음모론은 전체 거대 음모론에 비하면 새 발의 피에 불과할 수도 있지만 말이다.

하기는 마이클 무어의 신작 ‘캐피탈리즘:러브스토리’를 보면 도널드 리건이 보통 인물이 아니기는 하다. 대통령이 된 후 증권거래소를 찾은 레이건이 연설을 하는 와중에 노령인 탓인지 말이 상당히 느렸다. 이때 뒤에 있던 리건이 끼어들며 “빨리 좀 말하세요.”라고 하자 레이건이 “오호~”하며 놀라는 장면이 나온다. 단순히 부하직원의 충고였을까?

한국어로 잘 감이 안오면 영어로 표현해보자. “you’ll have to speed it up.” 이것이 그가 한 말이다. “have to”라는 표현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입각하기 바로 직전까지 세계 최고의 투자은행(이었던) 메릴린치의 CEO ‘리건’과 변방국가의 신문조차 이름을 헷갈려 하는 전 캘리포니아 주지사 ‘리건’의 대화 톤이 굳이 주종관계를 따질 게재가 있을까?

어쨌든 답은 알 수 없다. 진실은 한 사람이 – 혹은 두 사람이 – 알고 있을 텐데 둘 다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다. 호사가의 가십거리에 불과하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소위 레이거노믹스가 투자은행, 나아가 미국 자본가들의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졌는가, 그리고 그것이 소수 지배계급에 의해 획책되었는가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위키피디어를 볼 것 같으면 레이거노믹스를 주장한 것은 사실은 ‘도널드 리건’이다. 그러니 사실 레이거노믹스의 옳은 표현은 원래 발음대로 <리거노믹스>일지도?

p.s. 한편 옛날신문을 살펴보다가 한 가지 재미있는 보도를 발견했다. 1960년대에 CIA가 광범위한 불법 활동을 자행했다는 1974년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따라 포드 대통령이 진상조사를 위한 위원회를 꾸리는데 그 위원회 이름이 위원회를 이끈 ‘넬슨 록펠러’의 이름을 딴 ‘록펠러 위원회’였고 ‘로널드 리건’이 이 위원회에 낀 것이다. 당연히 ‘넬슨 록펠러’는 록펠러 집안의 사람이다. 과연 ‘로널드 리건’은 록펠러 집안의 하수인이었을까? 🙂

‘록펠러 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한 ‘로널드 리건'(1975년 1월 15일 동아)

Is the Conservative Movement Losing Steam?

Is the Conservative Movement Losing Steam?
Richard Posner(저자소개)
May 10, 2009

이 글은 미국의 보수주의 석학 중 하나인 리차드 포스너씨가 쓴 글로 보수주의가 이미 미국정치의 승리자라는 결론을 내리고는 있으나, 그것이 기초하고 있던 사상적 기반이 – 특히 아들 부시의 행정부를 거치면서 – 심각한 지적퇴보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담담히 서술하고 있는 글이다. 글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사실 그 지적 기반이라는 것도 – 좌우를 떠나서 – 현실세계와 동떨어진 절대원칙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격렬하게 움직이는 세상 속에서 마모되고 세련되면서 지도적 위치를 획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시대정신은 그 주창자의 것이라기보다는 그것을 원하는 시대상황의 것일 수도 있다.[역자]

한때 생명력 있었던 미국에서의 보수주의 운동의 지적인 퇴보가 감지되고 있다. 내가 설명할 것인바, 이것은 그 성공의 유서가 될 수도 있다.

1960년대까지(내가 20대 후반이었을 때) 나는 거의 보수주의 운동의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희미하고 빠듯했으며, (1964년 린든 존슨에 의해 학살당한) 배리 골드워터, 아인 랜드, 러셀 커크, 그리고 윌리엄 버클리 와 같은 형상으로 상징화되었다. 이들은 내게는 전혀 어필하지 못했다. 보다 강한 보수주의 사상가, 예를 들어 밀튼 프리드먼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그리고 다른 걸출한 보수주의 경제학자, 예를 들어 조지 스티글러와 같은 이들이 무대에 있었다. 그러나 경제학계 밖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1960년대 말의 국내의 혼란, 존슨식 “위대한 사회”의 무절제, 반독점과 규제의 경제학의 중요한 진전,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 그리고 (착각인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소비에트가 냉전에서 승리했다는 믿음–이 모든 상황전개로 인해 다채롭고 활기에 넘치는 보수주의 운동이 촉발되었다. 이는 마침내 1981년 로널드 레이건의 선거에서의 승리로 결론이 났다. 이 운동은 “시카고 스쿨” (그리고 그에 따른 탈규제, 민영화, 통화주의, 낮은 세금, 그리고 케인지언의 거시경제학에 대한 거부) 과 연계된 자유시장 경제학, 강한 군대와 리버럴한 국제주의에 대한 거부의 의미에서의 “신보수주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존중과 페미니즘과 [소수자에 대한 : 역자주] 차별철폐에 대한 저항과 범죄에 대한 강경노선이 관련된 문화적 보수주의를 아우르고 있었다.

냉전의 종식, 소비에트의 붕괴, 자본주의의 지구적 승리를 장식하는 범세계적인 번영, 특히 경제학에서의 클린턴 행정부의 본질적인 보수주의적 정책들, 그리고 마침내 부시 행정부의 선거와 초기 시절은 보수주의 운동의 절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그게 정점에 달했을 뿐 아니라 쇠퇴하고 있다는 신호가 있었다. 주도적인 보수주의 지성들은 늙어갔고 운명을 달리했다(프리드먼, 하이에크, 진 커크패트릭, 버클리 등). 그리고 다른 이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조용해지고 덜 활동적이 되었다(이를테면 로버트 보르크, 아이빙 크리스톨, 게르투르드 힘멜파르브). 그리고 그들의 계승자들은 보수주의가 귀에 거슬려지고 대중추수적이 되어가자 이전만큼 공공에 나서지 않았다.

클린턴 행정부 말년에 나는 내가 이해하는바, 보수주의의 승리에 대한 축하에 만족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경제나 사회구조의 다른 더 많은 변화를 바랄 욕심이 없었다. 재산세가 폐지되거나, 한계 개인소득세율의 더 많이 감세되거나, 정부가 축소되거나, 헌법의 실용주의가 “원리주의(originalism)”를 위해 폐기되거나, 총기소유의 권리가 확대되거나, 우리의 군사적 입장이 강경해지거나, 동성애자의 권리 증진이 저항에 부닥치거나, 공공 영역에서 종교의 역할이 확대되는 것을 보고 싶지 않았다. 이 모든 것들이 2004년 부시의 재선에 따라 물이 오른 신보수주의가 수용한 원인이 되었다.

내 주제는 보수주의의 지적인 퇴보다. 신보수주의의 정책이 대부분 감정과 종교에 의해 좌우되고 있고 대부분 약한 지적 근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지고 있다. 정책들이 개념상으로 취약하다는 것은, 실행에 있어서도 대부분 실패해 왔던, 그리고 정책이 정치적 실패라는 것은 그러므로 놀랍지 않다. 보수주의에 대한 통렬한 타격은, 오바마의 선거와 프로그램에서 최고조에 달했는데, 네 배나 배가되었다.: 미국의 외교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군사력의 실패; 지구온난화에 대한 부정, 관리 임명시의 종교적 기준의 활용, 정부기관에서의 관리와 전문지식의 무시와 같은 지성을 의지로 대체하려는 시도의 공허함; 지속적인 임신중절에 대한 편견; 그리고 거대한 재정적자, 메디케어 약품 계획, 초과 대외채무, 자산가격 인플레이션의 형태로 나타난 재정적 요실금

2008년 가을에 공화당의 얼굴은 사라 페일린과 수리공 조가 되어버렸다. 보수주의 지성인에게 당은 없었다.

그리고 작년 9월 금융 위기가 닥쳤고 디프레션이 확실해졌다. 이 예기치 않은, 그리고 쇼킹한 이벤트로 인해 경기 싸이클과 통상적인 거시경제에 관련된 보수주의 경제학자들의 핵심적인 믿음에 심대한 분석적 약점이 드러났다. 프리드먼 주의자들의 통화주의와 금융의 효율적 시장 이론이 큰 타격을 받았다. 그리고 보수주의자들의 혐오의 대상인 존 메이나드 케인즈의 거시경제학적 사상이 다시 존경받게 되었다.

신정부의 정책과 계획의 리버럴한 면이 과한 것 같은 신호와 전조가 보인다. 그래서 학식있는 보수주의 비평가들의 타깃이 많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글에 따르면 보수주의 운동은 1964년 이래 가장 낮은 저점에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차이를 통해 이 운동은 현재까지는 이미 그 운동이 이미 얻은 명예에 안주하고 있는, 최소한 한동안은, 미국 정치와 사회사상의 중심을 이동시키는데 성공했다.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