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사이코패스

산업은행과 리먼과의 협상자리에서의 딕 펄드의 행동

민유성은 리먼 주식의 과반수를 살 의향이 있었다. 단, 조건은 리먼의 상업용 및 주거용 부동산 자산을 따로 떼어 배드뱅크를 만듦으로써 리먼 본체, 즉 굿뱅크에 행하는 한국산업은행의 투자가 침해받지 않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중략] 이때 펄드가 나서서 말머리를 잘랐다. “내가 볼 때 그쪽이 큰 실수를 하는 거예요.” 펄드가 민유성에게 말했다. “커다란 기회를 놓치는 거라고. 리먼의 부동산 자산에는 큰 가치가 있습니다.” [대마불사, 앤드루 로스 지음, 노 다니엘 옮김, 한울, 2010년, p363~364]

어쨌든 불발한 거래고 민유성이라는 개인 자체에 그리 신뢰가 가지 않지만, 인용한 이 부분을 보고 있자니 그래도 민유성을 포함한 산업은행 측이 나름 성의 있는 협상을 했었다는 생각이 든다. 자의식 과잉의 딕 펄드는 이전 협약당사자였던 워런 버핏, 모건스탠리,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에 그랬듯이 주제 넘는 고압적인 자세로 리먼의 자산에 대해 착각에 가까운 자부심을 가지고 산업은행에게 무리한 조건을 요구했다. 이러한 태도는 시장의 관점과도 거리가 멀었을 뿐 아니라 다른 경영진 등 내부자의 관점과도 다른 것이었다.

가격협상이라는 것이 매도희망가와 매수희망가의 간극을 좁혀나가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관점이 다른 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또한 당시 리먼을 포함하여 많은 투자은행들이 가지고 있던 부동산 자산이라는 것이 여러 희한한 프로세스를 거친 증권화 상품이었다는 점에서 정확한 시장가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도 충분히 감안할 수 있는 정황이다. 하지만 산업은행과 협상을 할 즈음은 이미 그 복잡한 증권화 상품의 민낯이 드러난 시기였다. 그럼에도 펄드는 저런 허풍을 떨었던 것이다.

Richard S. Fuld, Jr. at World Resources Institute forum.jpg
By World Resources Institute Staff – http://flickr.com/photos/wricontest/369118382/, CC BY 2.0, Link

매서운 외모만큼이나 투박한 성격으로 유명한 딕 펄드는 자신이 쌓아올린 제국인 리먼브라더스가 무너져 내릴 즈음에는 거의 인지부조화에 가까울 정도의 심적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인용한 책에 보면 그가 이사회에게 당시 금융시장의 심각성을 설명하기 위해 초청한 라사드의 한 전문가가 부정적인 이야기를 이어가자 이 발언을 제지하고 나중에 “넌 해고야!”라고 했다고 한다. 산업은행과의 이 협상자리도 애초 리먼 측이 배드뱅크 설립을 전제로 협상하던 자리에 갑자기 나타나 저런 발언을 했다고 한다. 황당한 노릇이다.

사이코패스는 다른 이들보다 보상의 규칙은 재빨리 알아채고 이를 활용하는 반면, 처벌의 규칙에는 둔감하거나 그리 신경 쓰지 않았던 것이다. 또 다른 연구기관은 이런 상황이 실제 뇌활동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연구하였는데, 사이코패스 성향이 강한 집단은 쾌락과 행복감에 관련된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사이코패스 성향이 약한 집단에 비해 4배 이상 배출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연구팀은 “사이코패스는 타인이나 자기 자신이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가 오더라도 끝까지 보상을 추구하도록 뇌의 회로가 프로그램돼있다”고 분석했다.[당신 회사의 CEO는 사이코패스일까?]

해당 전문가가 아닌지라 사이코패스가 명확하게 병적 징후로 규정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유난히 그러한 성향이 강한 이들을 집단화할 수 있다면 딕 풀드는 당연히 사이코패스 성향의 집단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처벌의 규칙에 신경 쓰지 않고 끝까지 보상을 추구했다가 망한 인물이 바로 그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뿐만 아니라 당시 많은 투자은행의 임직원들은 이런 사이코패스적 인지부조화에 전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결과 유명한 “이익의 사유화, 손실의 사회화”란 문구가 회자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금융자본주의 혹은 신자유주의적 가치관에는 어느 정도 이런 사이코패스적인 매몰참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다른 직종에 비해 보수가 많지 않았던 금융시장이 세계화/증권화되기 시작하면서 엄청난 보수를 받기 시작했다. 이렇게 되자 금융업자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보상에 따른 쾌락을 더 중요시하기 시작했고, 그 대표적인 사례로는 LTCM 사태랄지 엔론 사태1, 그리고 결정적으로 지난 금융위기가 있다. 한 사회의 뇌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다.

당신 회사의 CEO는 사이코패스일까?

사이코패스들은 보상, 그러니까 당근에 너무나 이끌리는 나머지, 채찍이란 처벌을 걱정하지 않는 성향이 강하다. [중략] 교도소 수감자 집단보다 기업 최고경영자 집단에서 사이코패스 성향이 강한 사람을 더 많이 찾는 까닭을 설명해 준다.[천재의 두얼굴 사이코패스, 케빈 더튼 지음, 차백만 옮김, 미래의 창, 2013년, pp171~172]

이 부분은 이 책에 등장하는 한 실험을 통해서 내린 결론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서던캘리포니아대학의 심리학자이자 뇌과학자인 애드리언 레인은 사이코패스와 사이코패스가 아닌 이들의 학습능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다. 실험에서 참가자가 답을 맞히면 아무 일도 없지만, 틀리면 전기 충격이 가해지는 방식이었다. 실험 결과 사이코패스는 사이코패스가 아닌 이들에 비해 게임의 규칙을 훨씬 늦게 알아챘다. 반대로 이번에는 정답을 맞힐 경우에 대해 금전적 보상을 하자 사이코패스들이 사이코패스가 아닌 이들보다 훨씬 빨리 그 사실을 알아챘다는 것이 실험결과다.

즉, 사이코패스는 다른 이들보다 보상의 규칙은 재빨리 알아채고 이를 활용하는 반면, 처벌의 규칙에는 둔감하거나 그리 신경 쓰지 않았던 것이다. 또 다른 연구기관은 이런 상황이 실제 뇌활동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연구하였는데, 사이코패스 성향이 강한 집단은 쾌락과 행복감에 관련된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사이코패스 성향이 약한 집단에 비해 4배 이상 배출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연구팀은 “사이코패스는 타인이나 자기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가 오더라도 끝까지 보상을 추구하도록 뇌의 회로가 프로그램돼있다”고 분석했다.

아널은 모질로보다도 매몰찬 경영자로 알려져 있다. 한 중역이 회상한다. “아널은 직원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많았고 참을성이 없었습니다.” 아널은 열심히 일하도록 직원들을 독려했지만, 원한 성과를 모두 달성한 다음에는 완전히 무관심했다.[모든 악마가 여기에 있다, 베서니 맥린/조 노세라 지음, 윤태경/이종호 옮김, 자음과 모음, 2011년, p59]

컨트리와이드와 함께 미국 최대의 서브프라임 대출기관이었던 ACC캐피털 홀딩스의 창업자인 롤랜드 아널(Roland Arnall)에 대한 묘사다. 때로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로 여겨지는 이런 덕목에 대해 케빈 더튼은 사실은 그것이 진정한 리더십이라기보다는 사이코패스 성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는 또한 노골적인 사기대출과 정치권에 대한 로비로 유명했는데, 물론 이러한 행동은 사이코패스가 아닌 이들도 저지를 수 있는 부패에 관련된 행동이긴 하지만, 처벌에 둔감한 사이코패스의 행동과 완전히 무관하다고만 할 수도 없는 행동이기도 하다.

딕 풀드는 리먼 브라더스를 오래도록 통치해오는 내내, 결코 강한 대리인을 둔 적이 없었다. 그런 회사 운용법은 2004년 5월, 54세의 조 그레고리가 사장이자 최고운영책임자로 임명될 때도 지속되었다. 조 그레고리가 그 자리에 임명된 주요한 요인은 그에게 최고경영자가 되겠다는 야심이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상식의 실패, 로렌스 G. 맥도날드/패트릭 로빈슨 지음, 이현주 옮김, 컬처앤스토리, 2009년, p152]

롤랜드 아널보다 더 유명세를 떨친 금융인 리챠드 풀드(Richard S. Fuld, Jr.) 역시 아널에 못지않은 광기와 뉘우침 없는 행동으로 유명했다. 인용문에서 묘사되는 그의 모습은, 비록 관찰자의 모습일지라도 확실히 리더십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권력을 찬탈하고 이를 수성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중세 유럽의 잔혹한 군주를 연상시킨다. 그러고 보면 헨리8세 등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많은 군주들에게서 보였던 마키아벨리즘적으로 보였던 모습이 또한 한니발 렉터에게서 보았던 냉혈함과 닮아 있다. 둘의 차이는 성안에 있고 감옥 안에 있었다는 차이정도?

개인적으로 지난 신용위기의 원인을 “인간의 탐욕”으로 해석하는 것은 공감하지 않는다. 즉, 다만 탐욕이 제어되지 못했을 뿐으로 이를 제어할 시스템을 정비하면 만사가 해결된다는 대안이 현 상황에서 적절치 않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이 학문적으로 사이코패스로 정의되든 아니든 간에 현대기업의 경영자들은 후진적인 과거의 군주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은 분명하고 이런 인사시스템이 하나의 체제 실패원인일 수도 있다는 설명에는 고개를 끄덕거린다. 그들은 점점 더 보상에 민감하고, 처벌에 둔감하며, 자기기만적으로 상황을 합리화하기 시작한다.

FBI수사관 출신으로 CFE(Certified Fraud Examiner, 각족 금융 사기와 화이트칼라 범죄를 적발, 조사하는 공인 전문가 자격증) 협회를 창설해 회장을 맡고 있는 조지프 웰스 Joseph Wells는 사기꾼의 특징으로 ‘합리화, 즉 사기 행위를 그럴듯한 이름으로 부르는 능력’을 꼽는다. 예를 들어, 장부를 조작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회사에 숨통을 틔워주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둘러대는 것. 사기에 연루된 대기업 간부들은 이렇게 말한다. “나는 회사에서 일하는 모두의 이익을 위해 이런 일을 하는 것이다. 나는 훔치는 게 아니라 빌리고 있을 뿐이다.”[치팅컬처 거짓과 편법을 부추기는 문화, 데이비드 캘러헌 지음, 강미경 옮김, 서돌, 2008년, p131]

이것은 그들이 유전적인 자질을 그렇게 타고난 후에, 뛰어난 머리로 연쇄살인범이 되는 대신 CEO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린 사이코패스여서 – 케빈 더튼의 표현에 따르면 “기능적 사이코패스” – 일수도 있고, 후천적으로 조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런 능력을 가다듬었을 수도 있다. 후자의 방식을 위한 교육은 사실 그리 드물지 않다. 우리가 노동자를 인적자원, 대량해고를 구조조정이라 칭하고, 이해관계자나 주주의 이익 대신 자신을 위한 보상만을 생각하게 된다면 어느새 조금씩 자기 기만적이고 후천적인 사이코패스가 되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메리칸싸이코 영화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