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물화

숫자가 삶의 토대가 된 현대사회

기업 활동의 결과는 (항상 현실의 단면만 제공할 뿐인) 컴퓨터로 기록되고 요약된 후 묻지도 않고 처리된다. “컴퓨터는 ‘노’라고 하지 않는 법이다.” 그런 후 수치를 기초로 결정을 내린다. 정반대 결정을 수십 번 반복할 수 있을 만큼 유연한 수많은 인간의 머리는 아무도 쳐다보지 않는다. 결국 숫자가 자신의 토대가 되는 현실을 강조한다. 이를 두고 물화(reification)라 부른다.(‘res’는 ‘사물’, ‘facere’는 ‘만들다’라는 뜻이다.) 한 대기업이 예상보다 적은 수익을 올렸다는 발표 하나가 미미한 공포를 몰고 오더니 곧장 주식 폭락으로 이어져 결국 공포가 자기충족적 예언이 되고 마는 지금의 증시가 대표 사례일 것이다.[우리는 어떻게 괴물이 되어가는가, 파울 페르하에허 지음, 장혜경 옮김, 반비, 2015년, p138]

어제 글의 같은 작가가 주장한 것처럼 경제는 – 혹은 신자유주의적 서사는 – 현재 우리 사회의 문화와 정체성을 정의하는 주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새로운 서사의 영웅들은 다윗이나 삼손이 아니라 애플이나 엑슨모빌과 같은 기업 – 또는 루크 스카이워커? – 이다. 이 슈퍼히어로의 파워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늠자는 재무제표를 통해 알 수 있는 영업수익이나 이런 실적 등이 반영된 주식가격이다. 현대 사회에서 슈퍼히어로가 슈퍼히어로로 인정받으려면 저자가 말한 물화(reification)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문제는 이 물화 과정이 우리가 통상 믿는 것처럼 그렇게 정확하지 않거나 심지어 조작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고대 수학자가 수학을 연구한 이유가 신의 세계가 숫자로 표시되므로 연구를 통해 신의 섭리를 깨달으려 했다는 일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단 숫자로 표현된 것에 우리는 보다 객관적이라 여기고 강한 믿음을 갖는 게 인지상정이다. 그런 믿음을 발전시켜 현대 경제에서 기업은 재무제표를 만들고, 신용평가사는 그런 기업의 신용등급을 매기고, 정부는 경제와 관련된 숫자를 모아 이를 토대로 정책을 수립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들은 경제가 발달하면서 어느 정도 객관성이 검증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기업에 대한 복식부기를 통해 자산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고, 신용평가가 기업이나 국가의 건전성을 가늠하는 유효한 잣대가 됨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고1, 인구센서스 등을 통해 경제계획을 수립함이 타당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문제는 이런 제도의 아웃라이어들이 점점 늘어날 때다. 물화의 과정이 더 이상 내적으로 누적되어온 아웃라이어를 통제할 수 없어서 체제가 붕괴된 경험이 바로 지난 금융위기다.2

그 물화 과정을 통한 통제의 어려움에 대해서 좀 더 이야기하자면 금융위기 이전에도 그런 사례는 여러 번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인용문의 저자도 따로 예로 든 엔론(Enron) 사태다. 에너지 기업에서 금융 기업으로 거듭 나면서 매년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거론되곤 했던 엔론이 실천했던 “혁신”은 물화 과정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분식회계 혹은 수많은 도관체를 활용한 “첨단금융기법”이었다. 이런 슈퍼히어로의 붕괴는 위험조정영업이익도, 재무제표도, 이사회도, 신용평가도, 감독기관도 막지 못했다.

그 뒤 금융위기라는 자본주의가 거의 붕괴될 뻔한 – 어쩌면 지금 그저 고사중인 – 사태가 발생했어도 나를 포함한 경제주체들은 제도를 버리지 못하고, 그 근간을 이루는 숫자와 경험주의적 데이터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이는 경제학 분야에서도 두드러진 경향이라고 한다. ‘경제나 경제학이란 것이 원래 그런 것이 아닌가?’라고 묻는다면 경제학에서도 과거에는 이론적인 부분이 다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던 것이 요즘에는 숫자에 의존한 이른바 “실증적” 연구로 비중이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이 실증적 연구가 갖는 문제점은 현실경제에서 숫자로 구성된 제도가 갖는 문제점과 유사하다. 실증적 연구는 “정반대 결정을 수십 번 반복할 수 있을 만큼 유연한 수많은 인간의 머리”가 뒤에 숨어있다는 점이 편의적으로 무시된다는 점이다. 재무제표에 담긴 자산의 가치평가, 충당금 규모, 부외금융에 대한 숫자가 작성자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것처럼 실증적 연구가 연구자의 가치평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은 우리가 숫자에 대해 갖는 경외심에 의해 압도당하는 것이 문제다. 숫자는 사회전반을 지배해가고 있다.

요는 회귀분석기법을 통한 논문이 통과되기가 쉽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