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스톡옵션

스톡옵션

1960년대 미국에서 CEO의 보수는 평균적인 노동자의 보수의 40배 정도였다. 그리고 현재는 400배에 달한다.(다른 나라에서의 차이에 비해 현격하게 높다) 비슷하게, 1990년에서 2005년까지 평균적인 노동자의 보수가 4.3% 오른 반면(물가상승률을 조정하여) CEO의 보수는 300% 올랐다.[중략] 이러한 CEO에 대한 보수의 정당화 논리는 물론 CEO들과 임원들이 그들의 의사결정과 행동을 통해서 주주의 부를 창출해준다는 것이다. [중략] 불름버그 비즈니스위크가 보도한 보수 문제에 관한 전문가 Graef Crystal 의 최근 연구는 CEO의 보수와 주주의 이익 사이에 어떠한 관계도 없음을 밝혀냈다.

하바드비즈니스 웹사이트에 올라온 “Rethinking the Assumptions Behind Executive Pay”라는 제목의 글 일부다. 저자는 CEO의 보수가 주주이익과 관계가 없는 이유가 CEO의 행동 이외에도 수많은 요소들이 – 거시 경제 상황, 산업 트렌드, 정치 문제 등 – 관련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주가에 따라 CEO 및 임원 진들의 보수를 지급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이들에 대한 보수가 어떠한 가정에 근거해야 하는 것인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화두로 글을 마무리하고 있다.

CEO 및 임원들의 보수가 해가 갈수록 평균적인 노동자의 임금보다 높은 비율로 상승한 것에 대한 근본적인 배경은 하바드비즈니스도 언급하고 있다시피, CEO의 보수가 주주이익 극대화의 동기가 될 것이라는 믿음의 실행, 즉 주주자본주의의 대리인으로서의 CEO에 대한 동기부여가 한 몫 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황은 미국의 CEO 및 임원들의 보수가 다른 자본주의 국가의 그것에 비해 높다는 사실을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 차이는 미국의 독특한 보수 지급체계와 관계가 많다.

한 자료에 의하면 2004년 미국 회사의 CEO 보수와 종업원 평균 임금의 비율은 531:1에 이르렀는데 이는 영국의 25:1, 프랑스의 16:1, 독일의 11:1, 일본의 10:1 등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것이다. 미국 기업과 유럽기업 최고경영자 보수는 규모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그 내용면에서도 미국의 경우 스톡옵션의 비중이 대단히 크다는 차이를 가진다. 2001년 기준으로 S&P 500 기업 CEO들의 보수에는 스톡옵션 비중이 66%를 차지하고 있다. 이 비율은 1990년에는 8%에 불과하였다.[이사회 운영원리와 법률적 책임, 김화진, 박영사, 2005년, pp72~73]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성공한 CEO의 월계관인양 거론되었던 스톡옵션이 미국과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의 임원 보수 차이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위 인용문에서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왜 미국 기업은 어느 날 갑자기 어떤 이유에서 이러한 보상체계를 강화시켰을까? 이는 또한 앞서 언급한 1990년대 미국에서의 주주자본주의 경향 강화와 관련 있다. 즉, 스톡옵션 역시 넓게 보아 주주자본주의 작동원리에 따른 것이다. ‘네가 주가를 떨어트리면 너의 보수도 깎이니 각오해라’라는 무언의 압박인 셈이다.

한편, 스톡옵션이 1990년대 이후 미국에서 전면적으로 유행한 것에는 또 다른 원인이 있다. 즉, 미국내 대부분의 기업들은 스톡옵션을 재무제표상에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주석란의 각주로만 표시하여 기업의 당기 순이익을 과대 계상하는데 활용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비용화되지 않은 금액은 해가 갈수록 늘어나자 이를 시정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의원의 입법화 시도도 있었고 미국 재무회계기준위원회의 회계처리방안 마련 시도도 있었다. 하지만 실리콘밸리 등 기업들의 엄청난 로비에 밀려 입법화에 실패하였다.

결국 스톡옵션에 대한 비용처리는 엔론 사태라는 초대형 회계 스캔들이 터지고 나서야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전통적인 스톡옵션은 줄어들고 양도제한주식이나 스톡그랜트 등 보완적인 형태의 지급방식이 늘어나게 된다. 스톡옵션 혜택은 실리콘밸리의 엔지니어들에게는 줄었다. 하지만 거대기업의 CEO들은 예외였다. 그들은 심지어 회사가 망할 때조차 엄청난 보수를 받았다. 구제금융으로 연명하는 씨티그룹 CEO 비크람 팬디트는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 등에 힘입어 2008년 3822만 달러를 챙겼다.

한번 커진 위장은 쉽게 줄어들지 않고 나중에는 왜 과식을 해야 하는지조차 까먹는 법이다.

531:1

한 자료에 의하면 2004년 미국 회사의 CEO 보수와 종업원 평균 임금의 비율은 531:1에 이르렀는데 이는 영국의 25:1, 프랑스의 16:1, 독일의 11:1, 일본의 10:1 등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것이다. 미국 기업과 유럽기업 최고경영자 보수는 규모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그 내용면에서도 미국의 경우 스톡옵션의 비중이 대단히 크다는 차이를 가진다.1 2001년 기준으로 S&P 500 기업 CEO들의 보수에는 스톡옵션 비중이 66%를 차지하고 있다. 이 비율은 1990년에는 8%에 불과하였다.[이사회 운영원리와 법률적 책임, 김화진, 박영사, 2005년, pp72~73]

같은 책에 보면 구미에서 경영진 보수가 CEO의 전권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상위원회(compensation committee)가 활용되었다고 한다. 물론 보상위원회가 경영진의 성공적인 기업경영에 대한 적절한 보상도 지급하게끔 추인하는 기능도 하였으나 역시 위의 인용에서의 상황을 보면 보상위원회가 보상에는 충실하되 견제에는 부실하였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 같다. 이에 비해 유럽은 왜 경영진의 보수가 미국보다 현저히 낮은가에 대한 힌트를 잠깐 주자면 독일 대기업의 경우 종업원들이 경영진의 보수를 결정하는 감사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 물론 유럽기업들의 이런 관행도 점차 영미식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주주 자본주의가 크게 강화된 현대 자본주의 회사체제에서 경영자의 높은 보수, 특히 스톡옵션은 대리인으로서의 경영자가 어떻게 회사의 장기 비전이랄지 핵심역량 강화랄지 하는 중장기적 전략보다는 보다 단기적인 주주이익 극대화와 이해관계를 같이 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해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투자은행들의 광란의 질주도 그런 관점에서 바라보면 흥미로운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