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정의

“경제도 중요하지만, 정의를 세우는 게 더 중요”가 아니고요

특검이 이재용 씨의 구속영장을 청구하기로 한 사실에 대한 브리핑의 캡처 이미지를 트위터에서 봤다. 자막에는 “특검 ‘경제도 중요하지만, 정의를 세우는 게 더 중요’”라고 쓰여 있었다. 개인적으로도 처음에는 무딘 칼날이 되지 않을까 염려했던 특검의 결기를 느낄 수 있는 브리핑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조금 아쉬움도 있는 발언이다. 오히려 “경제를 세우기 위해 정의를 세워야 한다”는 식의 브리핑을 했더라면 어땠을까? 어느 발언이 더 합당한가에 대한 물음은 정의가 경제를 희생하고서라도 이 사회가 지켜야 할 상보(相補)적 성격의 개념인지, 아니면 정의(正義)와 경제가 함께 가는 것이라는 – 또는 부정적 효과를 가지는 – 상관(相關)적 성격의 개념인지에 대한 고민이 우선해야 할 것이다.

우선 정의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몇 해 전 우리나라에는 인문학 서적으로는 보기 드물게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하며 그 저자가 내한공연(!)을 열만큼 신드롬을 연출했던 책이 있다. 바로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이다. 이 책은 명불허전 우리가 정의에 관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을 많이 깨부수면서도 동시에 대중의 통념을 위로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결국 정의는 공동체의 정서를 지켜내는 것이다. 국어사전에서 정의하는 “사회나 공동체를 위한 옳고 바른 도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공동체가 계급, 성별, 인종별 분화를 거듭하게 되면 정의의 정의(定義)가 달라지는 것이 문제다. 특히 분단 상황에서 “국가-재벌 동맹자본주의”1 체제를 유지한 남한에서는 특히 그렇다.


정의를 제멋대로 정의한 유신 시대의 포스터 (c) 민족문제연구소

이재용 씨의 혐의는 무엇인가? 뇌물공여를 통해 소위 “삼성그룹” 내의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안에 대한 주주의 의사결정을 왜곡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이 사태의 진행상황은 이 블로그에서도 몇 번 글로 적은 바 있는데, 과연 합병이 옳은 결정이었는지 아닌지는 우선 논외로 하겠다.2 문제는 문명이 발달하면서 기능적 분화를 유지해야 할 현대사회에서 이재용 씨가 그 기능적 분화를 정치적 압력으로 무마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즉,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정부가 아닌 보통사람의 돈으로 운용되는 투자도구이니 만큼 그들에게 있어 “정의”는 보통사람의 경제적 이익에 복무해야 하는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오히려 엉뚱한 “국익”을 내세운 사적이익 추구에 복무한 것으로 보이는 혐의다.

분화는 근대사회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핵심적인 개념들 가운데 하나이다. 근대사회는 기능적으로 분화한 세계이다. 전체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교육 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분화한다. [중략] 이렇게 분화한 각 사회적 단위들에는 저마다의 고유한 기능이 주어진다. [중략] 그리고 다양한 영역이나 조직은 갈등하거나 투쟁할 수 있다. [중략] 아니 갈등하거나 투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굳이 다양한 국가기관과 그 기관들에 속한 수많은 국가관료가 존재할 필요가 없다.[국가이성비판, 김덕영 지음, 다시봄, 2016년, pp121~122]

정의의 문제로 돌아가자. 근대사회의 한 기능인 기금운용본부에게 있어 정의는 무엇인가? 연금 납입자의 경제적 이익이다. 운용본부가 그 이익을 위해 결정을 했다면 본부가 합병을 찬성했든 반대했든 그 결정을 존중해줄 합리적 이유가 있다. 그런데 만약 외압에 의해 합병을 찬성했다면 정의가 무너졌다고 여길 합리적 이유가 있다. 이때 실현된 정의는 “국가-재벌 동맹자본주의” 상층부를 위한 정의다. 한편, 그렇다면 이 정의가 최소한 국가 단위의 공동체의 경제적 이익에 부합하는가 하는 문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재벌 체제에 내재화된 경제신문들은 하나같이 특검 때문에 나라 망한다고 곡소리가 났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주가로 관찰할 수 있는 시장은 별로 반응이 없다. 재밌는 일이다.

기금운용본부의 기능적 분화 무력화 시도가 경제에 장단기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논외로 하겠다.3 하지만 원론적인 부분에서 살펴볼 때 이재용 씨의 혐의가 사실이라면 그는 시장의 본원적 기능, 즉 균형가격의 탐색을 방해했다고 봄이 타당하다. 그가 기금운용본부의 의사결정에 개입하지 않았다면 본부는 시장의 합병할 양사의 합병비율이 균형가격에 부합하는지 독립적으로 판단했을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시장주의자들이 경제발전의 대전제로 여기고 있는 이상향임은 분명하지 않은가? 즉, 기능적 분화를 거친 독립적 기관의 각각의 정의가 서야 원론적 경제가 바로 서는 것이다. 이재용 씨는 시장의 균형가격 탐색을 방해한 자본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자본가는 적어도 시장주의자가 아니다.

경제학에 있어서의 ‘평균’과 ‘정의’

회사를 인수할 때는 변호사들이 마지막 서류를 고급호텔에서 작성하는 동안 파티를 하면서 한 병에 백만 원짜리 샴페인을 마신다. 하지만 그 서류에는 생계를 잃는 수천 명의 직원들 이름이 들어 있었다. 그때는 그냥 얼굴도 없는 ‘이름’뿐이었다. [중략] 한번은 GE캐피탈이 어느 회사를 인수한 후 계열사인 다른 생명보험사로 자산만 옮긴 다음, 단 1명의 직원도 남기지 않고 모두 해고됐다. 지금 생각해보면 가슴이 너무 아프다. 너무 잔인했다. 내가 결정한 일은 아니지만 같이 했으니…..[김경준 저, BBK의 배신, (주)비비케이북스, 2012년, p251]

BBK사건으로 유명한 김경준 씨가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 석사를 마치고 들어간 GE캐피탈에서 했던 일에 관한 묘사다. 당시 그는 GE만이 할 수 있는 가치분석 기법을 동원해 저평가된 생명보험사를 인수하는 일을 담당했다고 한다. 2년 동안 20여개의 생명보험사를 인수하였고, 이를 통해 GE는 단숨에 미국 최대의 생명보험사가 되었다고 한다. 당시 GE의 CEO는 중성자탄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잭 웰치 Jack Welch 였다. 건물은 그대로 남겨둔 채 사람만 없애는 중성자탄의 실력이 보험사의 인수에도 그대로 드러난 셈이다.

사람들이 정확하게 미리 인식해야 할 사실은, 경제학은 ‘평균’을 강조하기에 ‘Justice’, 즉 정의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보자.

Scenario #1 : 2사람 중 사람A는 100억 원이 있고 사람B는 0원이 있다.

Scenario #2 : 2사람이 각자 50억 원씩 있는 상황.

위 두 가지 상황을 비교할 때, Scenario #1에서 사람A에게 101억 원이 있으면 평균적으로 Scenario #1이 높으니 Scenario #2보다 더 좋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Scenario #1은 정의 또는 정당하게 볼 수가 없다.[같은 책, pp245~246]

앞서의 인용문을 읽고 생각난 그 앞의 글이다. 평균을 강조하는 경제학의 입장이1 생명보험사의 M&A 과정에서의 참여자들의 행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준다는 면에서 흥미롭다. 즉 호텔에서 서류를 작성하던 변호사들에게 그들의 작업으로 인해 직장을 잃을 이들이 눈에 밟히지 않은 이유는 그들의 눈앞에 “백만 원짜리 샴페인”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변호사 개인으로서야 당연히 한계수익이 한계비용보다 훨씬 컸을 것이고, 중성자탄 잭 웰치나 또는 평균을 강조하는 경제학자에게 실직은 문제가 될 것이 없었을 것이다.

세계 최대의 사모펀드 중 하나인 블랙스톤에 관한 책을 읽어보면 저자는 M&A 과정에서 반드시 위와 같은 살인적인 해고 등을 통한 단기이익 실현에 주력한 것만은 아니라고 항변한다. 실제로 기존 주주들과 마찬가지로 장기적인 경영전략을 통해 기업 가치를 재고하려는 노력도 적잖다. 문제는 M&A 또는 일상적인 기업 경영에서 기업 가치를 단기적으로 극대화시키는 가장 좋은 전략은 여전히 사람자르기라는 점이다. 그리고 주류 경제학이 정의에 대한 고려 없는 평균에 의한 최적화만 신경 쓴다면 이런 행태는 줄어들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