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페미니즘

백래시의 창시자들은 누구인가

적의 얼굴을 알 수 없을 때 사회는 그것을 만들어 낸다. 하락하는 임금과 불안정한 고용, 과도한 집값에 대한 걷잡을 수 없는 불안 같은 것들은 공격 대상을 필요로 하는데, 1980년대에는 그것이 대체로 여성들이었다. 한 전직 신문 편집자는 ‘뉴욕타임스 매거진’에서 “(1980년대 물질 만능주의를 야기한 원인은) 레이건이나 월스트리트가 아닌, 그보다 더 근원적인 데 있다”면서 “여성운동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음에 틀림없다”고 결론 내렸다.[백래시 누가 페미니즘을 두려워하는가?, 수전 팔루디 지음, 황성원 옮김, 아르테, 2017년, p138]

요즘 시간이 날 때마다 야금야금 읽고 있는 책이다. 1991년 발행된 이 책의 제목은 그 뒤 여성운동이나 성평등에 반하는 인용문과 같은 온갖 언행을 규정짓는 대표적인 표현이 되었다. 어쨌든 이 책은 주로 인용문과 같이 1980년대까지의 미국 사회에 벌어진 갖가지 백래시적인 현상을 집요하게 파헤치고 있는데, 읽으면서 오늘날의 한국사회가 1980년대의 미국사회를 많이 닮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곤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급증, 이전 세대보다 자산을 덜 가지게 될 확률이 높은 젊은 세대, 과도한 집값에 대한 불안과 이를 이용해 소위 “영끌”을 부추기던 작년의 매스미디어, 루나 사태에서 보는 물질만능주의 등등 여러 상황이 미국의 80년대와 오버랩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백래시 현상은 사회에 만연해 있고 급기야 선거에서의 표심도 일정 정도 그러한 요소가 작동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들게 한다.

즉, 사회에 대한 건전한(?) 불만은 원인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통해 기득권에 저항하게 마련인데 불건전한(!) 불만은 원인을 혼동하여 여성이나 노동자 등 소수자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지곤 한다. 최근 연세대 재학생의 노동자 시위에 대한 고소 건이 비근한 예다. 그런데 인용한 책에도 분석하듯, 소위 “여혐” 성향이 강하다고 지적받는 2030 남성들은 反페미니즘의 – 또는 反노동의 – 창시자들이라기보다는 수용자에 가깝다.

쿠팡 본사 로비에서 농성 중인 쿠팡물류센터지회가 대낮부터 술판을 벌였다는 한국경제신문의 기사를 두고 공공운수노조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한국경제신문은 해당 기사에서 술판의 증거로 사진을 제시했는데, 공공운수노조는 해당 사진에 있는 캔음료는 맥주가 아닌 커피라고 정정했다. 명백한 오보지만 기사를 작성한 한국경제신문의 기자는 이같은 사실을 인지 후에도 기사를 수정하지 않고 있다. [쿠팡 노조가 ‘대낮 술판’ 벌였다고 오보낸 한경, 2022년 6월 30일]

기사에서와 같이 한국경제신문은 명백한 오보로 反노동을 부추기고서는 사과는커녕 기사도 삭제하지 않는 뻔뻔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신임 서울경찰총장은 장애인들의 시위에 대해 “지구 끝까지 찾아가서 사법처리하겠다”고 엄포를 놓는다. 권력과 매스미디어가 약자에 대한 음해와 공갈로 反소수자의 수용자들의 판단을 흐려놓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수혜자는 늘 그렇듯 혐오의 수용자가 아니라 창시자일 것이다.

여성존중은 꼰대남성의 생존전략이다

후생노동성의 <2013년 인구동태 통계월보 연계 개황>을 살펴보면, 20년 이상 함께한 부부가 이혼하는 건수는 1985년 2만 434건이었던데 비해 2013년에는 3만 8,034건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110] 그래서 부부가 합해 매달 연금 수입이 30만 엔인 경우, 재판과 조정에서 아내의 노동비율이 절반으로 인정되면 이혼 후의 수급액은 1인당 15만 엔이 된다.[p113] 내가 봐온 경험에서 아내의 경우 월 15만 엔의 생활비로도 문제없이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남편의 경우는 거의 절망적이다. 특히 베이비 붐 세대 이전 남성들의 일상생활 능력은 놀랄 만큼 낮다. [p114] 따라서 남성의 경우 이런 사태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가능한 이혼하지 않도록,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남성이 일밖에 몰랐다면 더욱 그렇다. 남자는 돈만 벌어다주면 된다는 사고방식을 버리고, 가정에서 남성의 역할을 바꿔야 한다.[p115]

후지타 나카노리가 쓴 <2020 하류노인이 온다>1라는 책에서 나온 구절을 요약해보았다. 사회복지사로서 오랜 기간 현장에서 활동하며 쌓은 빈곤, 특히 노인의 빈곤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구체적인 통계수치와 함께 버무려 쓴 이 책에서 저자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일본의 처참한 현실과 그 대책을 담담한 필체로 묘사하고 있다.

인용한 부분은 특히 급속하게 늘어가는 노령 부부의 이혼, 이른바 “황혼이혼”이 노인의 빈곤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간명하게 보여주는 상황이라 인용해보았다. 저자는 노년에 이르러 이혼까지 결심하는 – 특히 여성의 요구에 의한 – 상황을 십분 이해하면서도, 다만 이런 이혼으로 인한 경제적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저자는 경제적 악영향이 특히 집안 살림을 등한시한 남성에게2 치명적임을 경고하고 있다. 저자가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지만 같은 돈으로 여성은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아끼며 살 수 있지만, 남성은 외식으로 끼니를 때우는 등 씀씀이가 여성과 같지 않다는 것이 치명적인 문제점이다.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 보아도 익숙한 풍경이다.

저자는 “황혼이혼”으로 인해 보다 큰 피해자가 될 개연성이 큰 남성 노인들에게 “이혼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충고한다. 여성멸시와 이에 대항하는 페미니즘이 화두가 되고 있는 요즘, 노년 남성들이 배우자를 – 나아가 여성을 – 존중하고 가사를 공유하는 것은 사회시류에 대한 자각을 넘어서 생존전략임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Mad Max : Fury Road 感想文

WARNING 스포일러 만땅

A man muzzled, standing and pointing a gun in one direction. A woman crouched beside him pointing her gu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itle in large letters fills background.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http://www.impawards.com/intl/australia/2015/mad_max_fury_road_ver13.html, Fair use, Link

2015년 여름 영화팬들에게는 뜻밖의 선물이 안겨졌다. 1970~80년대를 풍미했던 Mad Max 시리즈의 4편이 나타난 것이다. 게다가 전편보다 더 강력한 하드코어 액션과 탄탄한 시나리오, 그리고 시대선도적인 페미니즘 세계관까지 얹어져서 그야말로 ‘정치적으로 올바른 말초신경 자극 헤비메탈 무비’가 탄생하여 최고의 수작으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일흔이 되신 조지 밀러 님께서 이 정도의 박력과 진보적인 세계관으로 무장하고 계신 것을 보니 나이 탓만 하고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는 내 자신이 부끄러워질 따름이다.

지금 온라인에서는 “이 영화는 페미니즘 영화다”, “아니다. 너희들의 오버이고 페미니즘 영화가 아니다”, “국내의 얼치기 꼴페미와는 다른 진짜 페미니즘 영화다” 등 페미니즘 함유량을 두고 말이 많지만 이 글에서 그 논쟁에 숟가락을 얹을 생각은 없다. 다만 예술이란 사회적 맥락과 수용자의 시각에 상호 조응하여 메시지가 전파되거나 발전하기 때문에 기계적 규정화는 큰 의미가 없다는 의견을 말해두고 싶다. 발표 당시에는 여성 해방적 메시지를 담고 있던 ‘오만과 편견’이 오늘 날에는 로맨틱 코미디가 된 것이 그 좋은 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페미니즘 영화’의 테두리에 두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그 장르를 뛰어넘는 ‘로드 무비’로서의 미덕을 살펴보고 싶다. “분노의 도로”라는 부제가 붙은 만큼 이 영화는 길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그 여정 상에서 캐릭터들이 정신적으로 성장하게 된다는 로드 무비 고유의 본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희한하게 뭉친 구성원들은 서로 반목하고 조력하다가 어느덧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스스로의 정신적 굴레로부터도 치유된다. 그러한 면에서 영화는 ‘스탠바이미’나 ‘델마와 루이스’와 닮아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임모탄 조의 씨받이” 중 막내인 치도를 들 수 있다. “The Fragile”이라는 예명이 붙을 만큼 연약해서 탈출을 포기했다고 했던 그녀는 급기야 사령관 퓨리오사가 임모탄 조를 처치하는데 도움을 줄만큼 성장하게 된다. 맥스 역시 여정을 통해 마음의 치유를 받는다. 환상으로 나타나던 딸의 모습은 그를 옳은 길로 인도하고 최후에 미소 짓게 만든다. 이미 없어져 버린 “녹색의 땅”을 찾아 헤매고 소금사막을 건너려던 퓨리오사는 결국 시타델로 돌아가자는 맥스의 조언을 수용하며 고통을 우회하지 않고 직시하게 된다.

시타델을 탈출했다가 결국 무수한 희생을 치르면서 다시 원점인 시타델로 돌아온 꼴이 되고 말았지만 – 게다가 그들의 접수한 권력을 어떻게 써먹을 것인지에 대한 궁리도 없지만 – 정신적으로는 모두들 성장하고 치유를 받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여정이었다. 그리고 시타델로의 회군은 개개인의 성장이 일반대중으로까지 전파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발전적이다. 또한 부발리니 여전사 할머니가 보관하고 있던 씨앗이 시타델에 온전히 옮겨졌다는 점에서, 그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희망을 품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덕을 갖추고 있는 영화지만 또한 영화의 액션에 대한 상찬을 빼놓을 수는 없다. 우리는 이 영화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올바름’이 영화가 고유하게 지니고 있는 풍성한 액션으로 멋지게 포장되어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무성 영화가 우리가 현재 쓰는 영상언어 문법을 만들어냈다고 믿는다”고 감독이 이야기했듯이 이 영화는 자질구레한 배경 설명을 과감히 생략하고 그 시간을 액션으로 채워 넣었다는 점에서 무성영화의 미덕을 성실하게 재현하고 있다. 특히 감독이 언급한 버스터 키튼의 작품 중에서 ‘The General’과 닮았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는 ‘텔마와 루이스’와 ‘The General’을 오버랩시킨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