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예측

가장 최근의 사례로는 2004년 12월 달러가 최저점을 기록했을 때를 들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주간지로 꼽히는 <이코노미스트>의 표지 기사 제목은 ‘달러의 실종’이었다. 얼마 뒤 <뉴스위크>는 ‘믿을 수 없는 달러화 위축’이라는 제목의 머릿기사를 실었다. 그리고 워렌 버핏이 막대한 규모의 달러화 공매도를 한 것을 놓고 수많은 사람들이 글을 썼으며, 또 다른 유명한 투자가는 달러화 공매도가 소위 ‘대박’을 터뜨릴 것이라고 했다. [중략] 사실 나도 이 광풍에 휩쓸려서 달러화 공매도를 했다. 그런데 어떻게 되었던가. 달러는 그 광풍이 한창이던 때에 최저점을 기록한 뒤 곧바로 반등을 시작해서 달러 지수를 거의 10% 이상 끌어올렸다. [중략] 2005년 늦봄에도 언론은 새로운 광풍을 일으켰다. 주택 가격의 거품이 꺼지면서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부동산 활황은 새로운 골드러시이며 거대한 거품이기 때문에 재앙이 임박했다는 경고가 쏟아졌다. 늘 믿을 만하던 매체라 생각했던 <비즈니스위크>의 2005년 4월 11일자 특집 제목은 ‘주택 호황 이후를 생각한다 : 곧 다가올 경기 후퇴는 경제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일까?’였다. <포춘>, <워스>, <이코노미스트> 그리고 <뉴욕타임스> 모두 이 합창에 목청을 높였다. 정말 놀라운 일이다.[투자전쟁(원제 : Hedgehogging), 바턴 빅스 지음, 이경식 옮김, Human & Books, 2006년, pp245~246]

부유한 은행가의 자식으로 태어나 예일대를 졸업한 후, 모건스탠리와 헤지펀드에서 활약한 뛰어난 투자가 바턴 빅스의 투자일지 ‘투자전쟁’의 일부다. 이 글은 ‘시장이 극단으로 달릴 때 개미 군단은 늘 잘못된 선택을 한다’라는 작은 절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읽어보면 익히 알겠지만 빅스는 경제지나 전문가들마저 추세예측에 실패한다는 것을 달러화와 부동산 활황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예로 들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정말 부동산 시장이 붕괴되고 말았으니 이번에는 <비즈니스위크>가 맞았고 빅스가 바로 스스로 지적한 “잘못된 선택을 한 개미 군단”이 되고 말았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하다. “정말 놀라운 일이다.”

책을 읽어보면 빅스는 철저한 가치투자자이다. ‘가치투자자’란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경제를 거시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향후 예측되는 추세에 따라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행태를 일컫는 것이라 할 수 있다.(주1) 실제로 ‘투자전쟁’의 다른 부분을 보면 빅스가 전체 경제상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원유가격 공매도에 나선 일화가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양반이 불과 몇 달 후를 내다보지 못하고 부동산 활황을 경고한 언론은 비웃었다.

나는 이 글에서 빅스의 어리석음을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니다.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만큼 경제예측이란 어렵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다. 실제로 경제위기가 몰아닥쳤을 때 대부분은 달러의 폭락을 예측했다. 하지만 달러는 보란 듯이 강세로 – 최소한 보합세로 – 돌아섰다. 이에 대한 사후분석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어려울수록 달러’라는 신화가 재연된 것이다. 마치 금태환 정지를 선언한 1970년대 달러가 더 강고한 기축통화가 되었듯이 말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경제예측은 힘들까? 말할 필요도 없이 그것은 모든 계(界)중에서도 가장 복잡한 계이기 때문이다. 주요변수들은 존재하지만 그밖에도 수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 때로 하찮은 변수라 여겨졌던 것들이 주요변수로 수시로 급변하기도 한다. 심지어 사후적인 분석조차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러하기에 경제관은 늘 좌우로 갈라지며 각각의 입장에 대한 백가지 변명이 존재한다.

또 하나 이유를 들자면 그 예측 자체가 또 하나의 변수가 된다는 사실이다. 실로 경제는 여타 분야와 달리 예측을 하는 그 자신이 그 시스템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스스로도 변수가 되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른바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 가장 잘 먹히는 곳이라는 이야기다. 개개 경제주체들이 실상은 멀쩡한데도 어느 한 은행이 망할 것이라는 심리적 불안감 때문에 그 은행의 예금을 인출한다면? 정말 망한다. 이것이 bank run이다.

그래도 경제예측은 해야 한다. 현재의 경제 시스템은 예측을 하지 않으면 정부와 기업들은 경제정책을 수립할 수도 없고 경제활동을 할 수도 없는 구조다. 그런데 또 그 예측에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편견이 개입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둘러싸고 정치사회적 반목을 일으키고, 어떤 이는 횡재를 얻기도 하고 또 어떤 이는 쪽박을 차기도 한다. 이것이 시장에서의 경제예측 및 계획의 근본한계다. 완벽한 예측과 계획은 있을 수 없다. 다만 그에 접근해갈 뿐이다. 그럼에도 어떤 이가 자신은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선전한다면 그는 ‘완벽하게’ 사기꾼이다.(무슨 ‘주가大예측’ 이런 문구 들어가면 100% 사기라 할 수 있다)

 

(주1) 그래서 이들은 기술적 투자, 모멘텀 투자를 혐오한다고 알려져 있다

17 thoughts on “경제예측

  1. Henry

    완벽한 예측은 신의 영역이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그런 예측을 하는 사람은 앞장서서 떠들 필요가 없겠죠..^^;;

    Reply
  2. daremighty

    Hedgehogging이 투자전쟁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군요.. ^^ 재미있는 책이긴 한데, 과연 한글제목과 내용의 괴리가… =_=..

    Reply
  3. ryuhda

    경제예측이 잘 들어맞지 않는 이유쯤이야 잘 아실텐데,, 모든 경제이론의 출발점인, 이른바 인간의 rational choice 자체가 실은 그리 합리적(퍽이나!)으로 결정되지 않는 다는 것… 가까운 시기의 효용은 과대평가하고 먼 후일의 그 것은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언제나 존재한다는 것… 그럼에도 예측은 해야하고 예측을 이용한 블러핑이 월가를 비롯한 각국, 심지어 국내의 금융시장에도 통용되고,,, 이즈음 국내 현, 선물 시장을 보면 답답한 마음에 한 숨이 절로,,,참고로 현재 월가의 초대형은행들이 주로 초고속매매 (HFT)로 거래량 70%를 넘겼다는,,,

    Reply
    1. foog

      모든 생산과 소비가 Just in time으로 측정되고 그것이 중앙집적화되어 그날 그날의 경제지표가 실시간으로 체크된다면…. 예측이나 정책수립이 어느 정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 하는 상상을 해봅니다. ^^; (완전무결 계획경제 사회에서나 가능한 일이겠지요만은…)

      Reply
  4. 푸르메

    경제라는 분야가 완벽한 효용을 가지고 있다면 예측이 가능할텐데요. 인간의 비이성적인 판단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부분이 이런 분야가 아닐까 싶네요. 글 잘읽고 갑니다ㅎㅎ 좋은 한주 되세요 (–)(__)

    Reply
    1. foog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실증과 이에 수반하는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니 비이성적인 주장이 난무하죠 🙂

      Reply
  5. charmless

    이제 언론들은 ‘위기의 끝, 호황의 시작’을 장담하는 경제 전문가들의 발언을 연일 대서특필하던데요. 야구 전문가들의 시즌 전 팀 순위 예측 기사를 보는 듯한 느낌이에요. 경향성은 분명히 있지만 시즌이 끝난 후에 보면 맞는 것 보다는 틀린 예측이 항상 더 많더라고요.

    Reply
  6. bj

    투자전쟁 읽긴 읽었는데 굉장히 지루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번역이 이상해서 그런가

    기억나는 건

    내일자 월스트릿저널을 하루 전날 볼 수 있는 신비의 사나이에 대한 이야기,

    Reply
    1. foog

      저는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이전에 읽었던 비슷한 유의 책이 너무 지루해서 상대적으로 돋보이는 것일수도 있겠죠. 🙂 저자의 점잖은 품성이 드러나는 에피소드들도 나름 읽는 재미가 있네요.

      Reply
  7. enmerkar

    우연히 구글링을 하다가 님의 포스팅을 읽었는데, 대체로 취지는 공감하는 바가 많습니다.

    한가지…. 딴지를 굳이 걸자면……. 경제가 예측이 불가능한 이유가 복잡계(Complex system)이기 때문이라는 말씀은 아마 옳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복잡계가 예측이 어려운 이유가 반드시 다루어야 할 변수의 갯수와 관련된 건 아닙니다. 복잡계는 단지 두 개의 변수만 있어도, 비선형성(non-linearity) 때문에 초기조건의 약간의 차이가 시간이 지날수록 엄청나게 변동합니다. 비록 결정계라도 비선형성이 있으면 마찬가지죠. 다시 말하면, 변수간의 상호작용과 feedback때문에 문제가 어려워지는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유명한 P vs. NP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물론 경제현상엔 변수가 엄청많지만, Linear programming같은 경우 변수가 수천개라도 크레이 수퍼컴으로 몇 시간(!)안에 완전히 풀 수 있습니다.

    즉 변수가 너무 많거나 복잡계라서가 아니라, 다른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는 거죠. 경제현상을 충분히 다룰 수 있을만큼의 변수들로 모델링할 수 있을 가능성도 여전히 있거든요. 다만, 인류의 지식이 아직 미흡해서 그 변수들을 제대로 찾아내지 못해 적절한 설명모델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어느 분이 bounded rationality와 관련한 언급을 하셨는데, 현재 행동경제학같은 분야에서 심리학적 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모형을 만들려고 노력중이니 어쩌면, 경제현상에 대한 어느정도 쓸만한 예측모형을 만들어낼 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어쩌면 – 정말로 희망적인 예측이지만 – 경제현상에 대한 중기적인 예측에 충분히 작은 오차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지도 모릅니다. 여러 피드백으로 얽힌 연립방정식들이 충분히 적은 오차를 만들어내는, 현재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상황도 올 수 있으니까요.

    또 실제로 많은 과학적 발전이 그런 식으로 이루어졌으니까요. 전공이랑 관련되다보니 쓸데없는 말이 많아졌는데, 하여간 글은 잘 읽었습니다.

    p.s. 근데 기술적분석 중에서도 쓸만한 게 있긴 있습니다. 좀 경험이 필요하긴 하지만, 상승장에서 그리고 지금처럼 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선, 거래량과 지수의 추세만으로 swing trade를 하면 안정적으로 비교적 높은 수익을 올릴 수는 있습니다. 단 경험이 필요합니다. 좀 많이요. ^^

    Reply
    1. foog

      알찬 댓글 잘 읽었습니다. 이런 댓글을 선물받게 되면 글쓴 보람이 있죠. 🙂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서도 틈나는대로 공부해봐야겠습니다. 그나저나 영 적응이 안 되는게 기술적분석인데 말씀이 사실이라면 공부해봐야겠군요! 저도 한번 스윙트레이드로 높은 수익을? ㅎㅎㅎ

      Reply
  8. 쿨짹

    학교를 쫌 더 열심히 다니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거 같다.. 는 생각을 뒤로.. ㅋㅋ 댓글 한 번 남기고 갑니다. ㅎㅎ

    Reply
  9. Pingback: 월스트리트 게임의 법칙 | foog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