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대화

휴이넘들의 대화

나는 휴이넘(주1) 들의 대화를 듣게 된 것이 매우 기뻤다. 그들의 대화에는 유용한 것들만이 거론되었다. 그들은 서로에게 최대한의 예절을 지켰다. 말을 하는 휴이넘은, 그 말을 듣는 휴이넘이 즐거워하는 이야기를 하였다. 말을 가로막는 휴이넘도, 지루하게 이야기를 하는 휴이넘도, 화를 내면서 이야기를 하는 휴이넘도, 감정을 상하는 휴이넘도 없었다. 그들은 짧은 침묵이 대화를 대욱 좋게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나는 이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알았다. [걸리버 여행기, 조나단 스위프트, 신현철 옮김, 1992년, 문학수첩, pp343~344]

평범하지만 진리가 담긴 대화의 자세다. 요즘 블로고스피어에서의 잡음 역시 위의 사실들만 명심하면 훨씬 잦아들었을만한 사안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주1) 휴이넘(Houyhnhnm)은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말이 지배하는 나라이다. 휴이넘 나라에 사는 말도 휴이넘이라고 한다. 걸리버여행기에서는 휴이넘들이 걸리버를 야후와 다른 대접을 하면 안 된다는 토론을 하여 걸리버는 영국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말들의 노예는 사람인 ‘야후’인데, 검색엔진 야후도 그 ‘야후’에서 따온 이름이다.[출처 : 위키백과]

블로그 대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느끼고…

RSS로 구독하는 블로그가 있다. 그의 생각이 나의 생각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폭넓은 지식과 글 속에서 느껴지는 냉소적인 유머감각이 맘에 들어 자주 읽고 있다. 얼마 전에 그의 글에서 내가 생각하기에 모순된 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해 몇 자 적어 트랙백을 날렸고 이런 저런 주제로 서로간의 대화가 확대되었다. 그 와중에 또 다른 분이 수고스럽게 여러 글을 적어주셔서 심도 깊은 대화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것이 바로 블로그의 장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서로의 스탠스를 각자의 블로그에 적고 트랙백을 날림으로써 대화의 큰 맥락이 자신의 블로그에 온전히 기록되는 와중에도 일종의 네트웍이 형성되는 그러한 것 말이다.

몇몇 분들은 눈치 채셨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그 블로거와 글을 주고받는 것에 대해 ‘대화’라고 표현했다. 혹자는 ‘논쟁’, ‘말싸움’이라고 표현할지 몰라도, 그리고 그런 논쟁이 가끔 블로그에서 보이기도 하지만 적어도 이번 대화는 서로의 글에서 첨삭할 것들을 조언하며 공극을 메우는 작업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화를 나누다보니 내 스스로의 빈 공간이 많이 채워졌다. 그분들의 글로부터 모르던 사실들을 새삼 알게 되기도 하고 전에 읽었던 책들이나 인터넷을 뒤져 잊었던 사실을 새로 상기하게 되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대화방식에도 한계는 있는 것 같다. 일단은 어느 일상의 대화에서든 또는 어느 인터넷에서의 토론이든 대개 그러하지만 어느 순간 대화의 주제가 수렴되기보다는 발산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뭐 이런 한계야 굳이 이번 대화에 국한된 것이 아니니 그런가보다 할 수 있는 문제다. 사실 짜증나는 것은 댓글러들의 어리석음 때문이다. 이것은 그 분의 잘못도 아니고, 또 나의 잘못도 아니라고 보지만 마치 이걸 무슨 이종격투기인양 부추기는 댓글들을 보고 있자니 – “블로그 파이트의 효도르”, “이지스함급의 방어력” 운운 – 갑자기 나 스스로가 – 저런 댓글을 보고 순간적으로 호승심을 느낀 나 자신이 – 한심해져버렸다.

그래서 정말 아쉽지만 이제 이 대화가 더 진행된다 할지라도 동일 주제에 대한 추가 포스팅은 하지 않도록 하겠다. 막말로 내 블로그에서 내가 어떤 주제로 떠드느냐는 온전히 내 맘이므로 이런 글 올리지 않고도 그 주제에 대해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내가 먼저 옆구리 찔러놓고 그분이 추가 관련 포스팅 계획이 있다는 글까지 올려주셨는데 아무 설명도 없이 나 몰라라 하는 것도 예의가 아닌 것 같아 이렇게 몇 자 적어 트랙백을 보낼까 한다.

대꾸를 안 하겠다는 이유가 내가 생각하기에도 한심하지만 적어도 지금 마음상태는 그러하다. 그분께 본의 아니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전한다. 그리고 부디 추가 포스팅하시겠다는 계획에는 차질이 없었으면 하는 이기심 가득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