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즐거운 살인 : 범죄소설의 사회사(Delightful Murder)

사실 개인적으로도 스릴러를 즐겨 읽기는 하지만 그 안에 녹아있는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는 늘 맞지 않는 옷을 입고 있는 것처럼 불편하였다. 물론 간혹 그러한 한계를 뛰어넘는 작품들도 있으나 대개의 스릴러는 이 사회가 – 즉 부르주아 사회가 – 범죄라고 정의하고 있는 행위에 대한 단죄의 성격이 강하기에, 그리고 그 속성상 선악구도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기에 당연히 체제수호적일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눈에 거슬렸다.

이러한 모습은 특히 개인적으로 더 선호하는 이른바 고전적 추리소설에서 더 자주 접하게 된다. 이들 소설은 대개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따라 부르주아의 망중한에 찾아든 살인이나 절도 등의 일시적 혼란을 천재적인 주인공에게 의뢰하고, 그 천재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력에 의지하여 사건을 해결한다는 형식미를 추구한다. 소재 면에서는 예를 들자면 유럽의 정치안정을 위해 왕이 정부(情婦)에게 보낸 연애편지를 찾아준다는 등의 부르주아적 가치수호에 치중한다.

콜린 윌슨의 저서 ‘잔혹’에서도 잘 설명되어 있듯이 범죄는 시대적 산물이다. 범죄 역시 그 사회적 맥락과 물적 조건이 축적될 때에 발현된다는 유물론적 이치다. 이 글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어네스트 만델의 ‘즐거운 살인’은 이러한 이치를 범죄 자체에 들이대기보다는, 그러한 범죄의 사회상의 거울이랄 수 있는 범죄소설의 영역에서 관찰한 책이다. 이 책은 이를 통해 앞서 손에 잡히지 않던 나의 불편함의 이유를 명쾌하게 해석해주는 동시에, 앞으로 이 장르의 소설을 읽을 때의 마음가짐 등에 대한 하나의 팁을 제시해주고 있다.

책의 명민함은 추리소설을 비롯한 유사 장르들을 범죄소설로 묶어내고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추리소설을 범죄소설의 서브장르로 둠으로써 추리소설의 형식이 제한하고 있는 사회에 대한, 그리고 범죄에 대한 시각을 확장시키고 있다. 한 예로 작가는 좁은 의미에서의 추리소설과 이후의 스파이 소설이 만나는 접점, 거기서 불거지는 이념적 생채기에서 범죄소설의 한계와 함께 그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유희적 텍스트로써의 범죄소설을 사회적 콘텍스트로 격상시킨다. 범죄소설의 팬이 범죄소설에게 줄 수 있는 ‘즐거운 선물’인 셈이다.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치열한 삶을 살았던 작가가 약간은 부끄러운 자신의 취미를 과감하게 공개하고, 그 취미와 자신의 철학을 혼합하여 단순한 범죄소설 입문서 이상의 가치를 창출해낸 수작이다. 각각의 장이 하나의 테마를 이루고 있어 심심할 때 한 챕터씩 쓱쓱 읽어 내려가도 좋을 듯 하다. 또한 번역판 색인에 빼곡하게 적혀 있는 작가 목록은 향후 관련 소설들을 찾아 읽을 때에 소중하게 쓰일 수 있는 또 하나의 별미다.

관련 추천 글

Who wants flowers when you’re dead?

‘호밀밭의 파수꾼’은 살아오면서 한 대여섯 번 읽은 것 같다. 내 장점이자 단점이 하나 있는데 상상을 초월하는 건망증이다. 대여섯 번을 읽었음에도 이번에 다시 읽으니 – 거의 몇 년 만이긴 하지만 – 에피소드들이 처음 읽은 것처럼 신선하다. 빌어먹을. 앞서 말했듯이 하나의 “장점”인 것이 책값이 덜 든다는 점일 것이다. 읽은 것 또 읽으면 되니까.

또 기억나지 않는 것이 이 소설을 읽었던 그 어린 시절의 느낌이다. 공감을 했었는지 반감을 가졌었는지… 당최 기억이… 어쨌든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에 여태 읽고 있는 것이겠지. 가장 좋아했던 대목은 Holden이 그의 여동생 Phoebe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었던 것만은 기억한다.

각설하고 이번의 느낌은 공감이니 뭐니 떠나 골때리게 웃긴다는 것이다. 정말이지 Holden은 – 정확하게는 Salinger겠지만 – 냉소유머의 달인이다.(J준씨는 밀렸음) 오늘 출근길에 읽은 재밌는 냉소 유머 한 구절 소개한다.  

정말이지 내가 죽었을 때 누군가가 센스가 있어서 나를 강이나 다른 곳에 내다버렸으면 좋겠다. 사람들이 일요일 몰려와 내 배 위에 꽃 한 다발과 온갖 잡동사니를 놓는 그런 빌어먹을 공동묘지에 처박아두는 대신에 말이다. 누가 죽었을 때 꽃을 바라겠는가? 노바디.
I hope to hell when I do die somebody has sense enough to just dump me in the river or something. Anything except sticking me in a goddam cemetery. People coming and putting a bunch of flowers on your stomach on Sunday, and all that crap. Who wants flowers when you’re dead? Nobody.

사족 : 많은 소설이나 영화가 “제2의” 호밀밭의 파수꾼을 꿈꾸었을 텐데 과문해서 어떤 작품이 “제2”로 인정받았는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감상목록의 범위 안에서 생각해보면 Will Smith가 호연을 펼쳤던 Six Degrees of Separation가 아닐까 싶다.

리바이어던 살인

무엇보다 고전적인 아가사 크리스티 풍의 세팅이 맘에 든다. 여러 국적의 유럽인들이 모여서 저마다의 우아함을 뽐내지만 결국은 잿빛 세포의 소유자인 에큘 포와르라는 탐정의 명민함 앞에 무릎 꿇게 되는 결론 부분의 회합 부분이, 이 소설에서도 세계 최대의 여객선 리바이어던의 윈저홀에서 오마쥬처럼 재현된다. 그렇지만 아쿠닌은 한걸음 더 나아가 프랑스인 고슈 경감이 연출하고자 했던 그 장면이 대망의 하이라이트가 아니라 오히려 이후의 추가적인 사건을 예고하는 암시였을 뿐이라는 것을 밝히며 일종의 변칙플레이를 시도한다. 그 시도 역시 제법 맘에 든다. 이외에도 단순히 고전을 답습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 변칙플레이는 다양한 인칭을 사용한 글의 서술방식에서 발견할 수 있다. 주인공인 에라스트 판도린을 제외한 여러 명의 탑승객은 일기 또는 편지를 쓰면서 사건을 자신의 시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입체적 조명은 내 어설픈 단편에서도 가끔 시도되었던 것이지만 글을 입체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다. 잘만 쓰면 꽤 쓸 만하고 이 소설 역시 그 시도는 성공적이었다. 특히 외로운 동양인 아오노에 대한 묘사는 당시 유럽인들의 인종적 편견에 대한 고발 형식을 띠면서도 웃음을 선사하는 그런 것이었다. 국내에 아쿠닌의 추리소설이 두 편 소개되었다고 하는데 이 소설은 그 중 한편이다.

경제학에 관해서요. 좀 책을 통해서 공부하고 싶은데 어떤 책으로 보는게 잘봤다고 소문이 날까요? 초심자들이 보기 좋은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from]

다른 것들도 그렇겠지만 나에게는 책 추천을 부탁받는 것만큼 난처한 일도 없을 것 같다. 왜냐하면 내 독서습관은 아주 형편없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아무렇게나 읽는데다 여러 권을 함께 읽기도 하고 일부만 뜯어 읽기도 한다. 그래서 나의 이런 후진 책 읽는 방식이 다른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되면 그야말로 시간낭비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여하튼 종횡무진님의 부탁도 있고 하니 짧은 독서량 안에서 나름 의미가 있었던 책을 몇 권 나열하는 수준에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다. 그러니 부탁드릴 것은 내가 나열하는 책들이 꼭 걸작이라거나, 또는 최소한 양서(良書)라는 편견을 갖지 말아 주십사 하는 것이다. 난 나쁜 책도 읽는다.

경제사

얼마 전 미네르바가 추천하였다고 해서 유명해진 레오 휴버맨 Leo Huberman의 ‘자본주의 역사 바로알기(원제 Man’s Worldy Goods)’를 나 역시도 추천한다. 80년대 ‘경제사관의 발전구조’라는 80년대틱한 제목으로 출간되었다가 절판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여하튼 다시 나와서 반갑다. 꼭 경제사에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에릭 홉스봄 Eric Hobsbawm 의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등 이른바 ‘~의 시대’ 시리즈도 당시의 경제상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얼마 전 소개해드린 다니엘 예르긴 Daniel Yergin 의 ‘시장 대 국가(원제 The Commanding Heights)’는 시장위주의 경제체제와 국가위주의 경제체제가 어떻게 우위를 점하여왔는지에 대한 역사를 상세히 알려준다는 점에서 추천할만하다.

금융사

굳이 경제사와 따로 떼놓는 이유는 자본주의 역사에 있어 금융, 특히 월스트리트의 성장이 가지는 의미는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존 스틸 고든 John Steele Gordon 의 ‘월스트리트 제국(원제 The Great Game)’은 월스트리트라는 이름의 기원에서 시작하여 월스트리트 및 세계 금융자본의 흥망성쇠를 잘 묘사하고 있다. 헨리 브랜즈 Henry Brands 의 ‘머니맨(원제 The Money Men)’은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상호보완적으로 읽기에 적당하다. 위 두 책이 금융의 관점을 중심으로 담았다면 레오 휴버맨 Leo Huberman 의 ‘가자 아메리카로!(원제 We, The People)’은 그 금융자본이 어떻게 미국의 실물경제를 쥐고 흔들었고 갈등을 빚었는지를 보여준다.

경제학 이론

경제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담는 것이 당연히 경제를 이해하는 초석이 됨에도 이와 관련 하여는 딱히 추천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경제교과서나 유명 경제학자들의 각종 명저들은 이미 충분히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국부론’, ‘일반이론’, ‘자본론’ 등을 비롯한 경제학자들의 고전들을 인내심을 가지고 읽어보면 충분할 것이다. 한 가지 불행한 사실은 국내 출판계에 이런 너무나 당연한 고전들이 사실 그렇게 잘 눈에 띄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케인즈의 ‘일반이론’만 하더라도 한동안 나오지 않다가 얼마 전에야 다시 햇빛을 보게 되었다. 고전을 무시하는 사회랄까. 고전들을 읽을 시간이 없다고 투정한다면 토드 부크홀츠 Todd G. Buchholz 의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원제 New Ideas from Dead Economists)’라도 읽어두시길.(유모씨가 이 책을 베꼈다는 설이 한동안 회자했던) 좀 더 여유가 된다면 중상주의, 중농주의 등 경제학의 기초가 되었던 사조를 개별 도서로 살펴보는 것도 좋다.

경제사건

역사 속에서 일어났던 경제에 관한 굵직한 사건을 미시적으로 다룬 책들도 경제에 대한 인식을 넓히는데 좋은 계기를 마련해준다. 특히 로저 로웬스타인 Roger Lowenstein 의 ‘천재들의 실패(원제 When Genius Failed)’는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 사건을 다룬 책으로 현재의 금융위기의 축소판을 보는 듯한 모습이어서 흥미롭다. AOL사와 타임워너의 합병을 다룬 나나 뭉크의 ‘버블의 붕괴(원제 Fools rush in : Steve case, Jerry Levin and the unmaking of AOL time)’는 M&A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세부적인 경제지식

사실 큰 그림에서 체제의 모순을 솜씨 있게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미시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따지고 들면 중언부언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현대 자본주의, 특히 금융 분야에서의 미시적인 세포분열이 매우 활발해서 그렇다. 이런 분야의 텍스트가 그리 많지도 않다. 결국 ‘투자론’이나 ‘금융공학’에 관한 교과서를 파고드는 방법이 있고 더 세부적으로는 개별 텍스트를 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전공을 하거나 그걸로 밥 벌어 먹고 사는 사람이 아니라면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싶다.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경제연구소나 각종 연구기관에서 제공하는 무료(또는 여유 되시면 유료라도) 보고서를 보시는 것이다. 개별사안에 순발력 있게 접근할 수 있고 시간도 얼마 들지 않는다. 삼성경제연구소나 한국금융연구원의 뉴스레터를 추천한다.

두서없이 몇 권 추천하였지만 서두에 말했다시피 이 책들은 나의 일천한 독서역량 안에서 나열한 것들일 뿐이다. 세상엔 이보다 더 훌륭한 경제관련 도서들이 널려있을 것이다. 일단 사서 읽어보고 그 중에서 관심이 가는 분야에 추가적으로 도서를 구입하던지 인터넷을 이용하여 지평을 넓혀가는 것을 권해드린다. 지식에 테두리라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런 관계로 사실 새 책보다는 헌 책을 권하고 싶다. 그 많은 경제관련 책들을 새 책으로 사다가는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내가 주로 이용하는 곳은 신촌에 있는 ‘숨어있는 책방’ 지하층이다.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

맛에 관한 일본만화 ‘맛의 달인’을 보면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생략하고 엉뚱한 장난질로 음식을 만들었다가 낭패를 보는 장면이 종종 연출되곤 한다. 음식이란 우직하게 생산해낸 재료로 정직하게 만들어야 제 맛을 낸다는 주장이다. 백번 옳은 소리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몇 달 전에 적은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맛의 달인’의 주인공인 우미하라나 지로처럼 절대미각을 가진 이들은 현실에서 극히 드물다. 이 책의 저자 아베 쓰카사가 강연을 다니면서 만든 화학첨가물로만 조리된 고기스프에 거의 모든 소비자들은 깜빡 속아 넘어간다니 두말할 것 없다.

그러니 절대다수의 식품회사의 모토는 자연히 ‘더 싸게 더 근사하게’를 주장할 수밖에 없다. 아베 쓰카사는 이러한 식품회사의 기호에 맞게 식품첨가물을 조언해줘 최고의 실적을 올렸던 영업사원이었다. 그런 그가 어느 날 큰 충격을 받고 식품첨가물의 위해함을 알리는 전도사가 된다.

“산업폐기물이자 쓰레기 같은 고기, 여기에 첨가물을 무차별 투입해 만든 ‘식품 아닌 식품’, 그것이 바로 오늘 내 딸과 아들이 맛있게 먹던 미트볼이었다.”

큰 딸의 생일잔치에서 자신이 만든 가짜 미트볼을 아이들이 맛있다고 먹자 큰 충격에 빠졌던 당시 상황을 묘사한 글이다. 이후 지은이는 회사를 그만두고 진짜 음식을 만드는 작업을 시작하고 동시에 식품첨가물의 위해함과 그 대안을 알리는 강연활동도 펼쳐오고 있다고 한다.

이 책,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은 이렇듯 한때 새로운 음식문화를 창조한다는 사명감에 불타 일하던 한 영업사원이 자신의 가족 또한 자신의 가짜 식품의 소비자임을 깨달은 뒤에 내부고발과 함께 그 대안을 모색한 책이다. 라면, 삼각김밥, 참치샐러드 등 우리에게 친숙한 음식들이 얼마만큼 유해한지를 실증적으로 설명해준다.

솔직히 읽고 나서 약간 우울하고 막막해졌다.

인간의 증명(人間の証明)

‘인간의 증명(人間の証明)’을 다시 읽었다. 내가 어릴 적 좋아했던 일본의 추리작가 모리무라세이치(森村誠一)가 1975년 ‘야성시대(野性時代)’에 연재한 것을 1976년 단행본으로 발간한 작품으로 500만부가 팔려 가히 그의 대표작이라 할 만한 작품이다. 한번 읽은 적이 있는데도 줄거리가 전혀 생각나지 않아 마치 새로 읽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읽어버렸다. 이럴 때는 건망증 증세가 심한 것이 도움이 된다.

여하튼 …

그의 작품은 사실 서구권 작가들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드라마틱한 반전(反轉)은 별로 없다. 그의 작품이 맘에 드는 점은 그러한 반전보다도 등장인물들을 마치 실험 상자에 넣고 요리조리 흔들어 그들의 반응을 즐기는 듯한 그의 상황설정과 사건전개가 맘에 들기 때문이다. 다분히 새디스틱한 감정이다. -_-; 이러한 인간에 대한 실험정신은 무릇 다른 추리작가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해볼 때 무리무라세이치가 더욱 맛깔스럽게 해낸다.

이 작품은 전쟁 통에 엄마와 헤어져 뉴욕의 할렘가에 내팽개쳐진 동양인과 흑인의 혼혈인 조니 헤이우드가 일본에 남은 어머니를 찾아 나섰다가 한 빌딩 엘리베이터에서 살해당하면서 시작한다. 인간에 대한 증오가 가득한 형사 무네스에가 이 사건을 맡아 결국은 사건을 해결해낸다는 것이 큰 줄거리다.

앞서 말했듯이 이 작품에서 큰 반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한 중반 정도 읽다보면 이미 유력한 용의자도 밝혀진다. 그 밝혀지는 과정도 약간은 억지스럽다 싶을 정도다. 그럼에도 끝까지 소설을 읽어 내려가게끔 만드는 매력은 앞서 말했듯이 무리무라세이치의 집요한 인간성 탐구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잘못된 일인 줄 알면서도 자신의 아집과 이기심 때문에 극한으로 몰고 가는 인간 군상들의 몸부림이 매우 선명하게 느껴진다.

다시 이 소설을 읽으면서 검색해보니 우리나라에선 이 소설을 1991년도에 출간된 문고판으로밖에 구할 길이 없다고 한다. 내가 가지고 있는 책도 그 책이다. 한편 이 소설은 일본에서 1977년부터 몇 차례 극화되었었다고 하고 2004년에도 미니시리즈로 극화되었다. 2004년 판은 이미 구했고 – 어둠의 경로를 통해 ^^; – 느긋하게 감상할 생각을 하니 뿌듯하다.

요즘 읽기 시작한 책

Nomi Prins 의 “Jacked : How “Conservatives” are picking your pocket whether you voted for them or not”(줄여서 Jacked)이라는 긴 제목의 책이다. 우선 눈길을 끄는 점은 저자 Nomi Prins 의 독특한 이력이다. 현재 저널리스트이자 공공정책 싱크탱크인 Demos에서 일하고 있는 그의 전직은 골드만삭스와 베어스턴스의 임원이었다. 그런 그가 잘나가는 직장을 때려치우고 험난한 좌파 저널리스트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그를 처음 알게 된 것은 Doug Henwood 가 뉴욕의 지역방송에서 진행하는 시사프로그램 Behind The News에서다. 그는 이 프로그램에 두어 번 패널로 참여하였는데 약간은 새침하지만 밉지 않은 코맹맹이 톤으로 야무지게 이야기하는 그의 발언이(참고로 그는 여자다) 인상적이었다. 더군다나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자본주의의 심장 월스트리트 임원 출신이라는 점도 흥미를 자극했다.

그래서 결국 그의 저서를 구입하게 되었다. 여기서 또 하나 재밌는 점은 책을 구입한 경로다. 나는 팟캐스트로 저장된 Doug Henwood의 프로그램을 들으면서 그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되었고 이베이(ebay.com)을 뒤져 그의 저서를 찾아낸 후 페이팔(paypal.com)으로 결제하였다. 바야흐로 국제화와 네트웍화의 시대이기에 가능한 구매행위였다. 역시 글로벌라이제이션은 좋은 것이다. 다만 공평한(fair) 조건 하에서 말이다.

책은 이제 막 십여 페이지를 나갔을 뿐이다. 책이 쓰여진 시점은 카트리나가 뉴올리언즈를 강타했던 시점이다. Nomi는 이런 뉴올리언즈를 비롯하여 미국 방방곡곡을 직접 돌아다니며 취재하고 느낀 점을 실증자료와 버무려 소개하고 있다. 책상머리에 앉아 부시 행정부와 공화당, 그리고 자본의 범죄를 통계적으로만 고발하는 글과 그런 점에서 차별화되고 있다.

더 책을 읽어나가면 나올 것으로 여겨지지만 개인적으로 그의 책에서 기대하고 있는 것은 월스트리트에서의 그의 개인적 경험이다. 그가 그곳에서 무엇을 느꼈고 어떻게 행동하였는지,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대안은 무엇인지 제시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것이 고백성사일 필요는 없다. 월스트리트에 있었다는 사실이 범죄나 도덕적 타락이랄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시스템의 핵심에서 목도한 사실이 궁금할 따름이다.

여담이지만 작가는 묘한 매력을 풍긴다. 사진을 보면(사진 및 작가소개 보기) 상당히 쉬크한 스타일의 여성이다. 살고 있는 곳도 한 스타일 한다는 트렌디 드라마 Sex And The City와 Ugly Betty, 그리고 Wall Street 의 공간적 배경인 뉴욕이다. 그런데 이제는 좌파 지식인의 길을 걷고 있다. 이쯤 되면 왠지 정치적으로 개과천선한 사라 제시카 파커라는 희한한 캐릭터가 머리에 그려진다. 아~ 나의 퇴폐적인 지적허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