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도널드 리건

“대통령의 임무는 권력으로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는 일이다.”

예전에 로널드 레이건 제40대 미국 대통령과 당시 행정부의 도널드 리건 재무장관의 이상한 관계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다. 처음에는 로널드 리건으로 불리던 그가 돌연 레이건으로 발음을 바꾼 계기랄지 레이거노믹스라 이름 붙여진 레이건 특유의 경제정책이 실은 리건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이었다.

하기는 마이클 무어의 신작 ‘캐피탈리즘:러브스토리’를 보면 도널드 리건이 보통 인물이 아니기는 하다. 대통령이 된 후 증권거래소를 찾은 레이건이 연설을 하는 와중에 노령인 탓인지 말이 상당히 느렸다. 이때 뒤에 있던 리건이 끼어들며 “빨리 좀 말하세요.”라고 하자 레이건이 “오호~”하며 놀라는 장면이 나온다. 단순히 부하직원의 충고였을까? 한국어로 잘 감이 안오면 영어로 표현해보자. “you’ll have to speed it up.” 이것이 그가 한 말이다. “have to”라는 표현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로널드 리건’이 ‘로널드 레이건’이 된 사연에 대한 고찰]

그런데 최근 백악관 취재기자를 담당하며 무려 8명의 대통령을 취재했던 백악관 취재의 산 증인 헬렌 토머스의 자서전 ‘백악관의 맨 앞줄에서’라는 책을 읽다가, 이 두 인물에 관한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언급을 발견했다. 바로 도널드 리건이 재무장관 재직 중 레이건과 사전상의도 없이 제멋대로 행동한 대목이다.

레이건의 첫 임기 동안 나에게 가장 놀라웠던 일은 베이커 백악관 비서실장과 도널드 리건 재무장관이 서로 자리를 바꾼 것이다. 결정 그 자체가 이상한 일이라기보다는 그렇게 하기로 결정한 뒤에야, 즉 기자실에 그 사실을 알릴 즈음에야 그들이 레이건과 그 문제를 상의했다는 사실에 더욱 놀라웠다. 다른 대통령들이었다면 대통령의 권위를 침해한 주제넘은 행동에 경악했겠지만, 이야기를 들은 레이건은 괜찮은 아이디어라고 대수롭지 않게 받아 들였다고 한다.[백악관의 맨 앞줄에서, 헬렌 토머스, 도서출판 답게, 2000년, p406]

그의 말마따나 정말 놀라운 일이다. 백악관의 비서실장과 행정부의 재무장관이 자기네끼리 상의해서 기자실에 내용을 알린 후 대통령에게 자신들의 거취를 “상의”한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그야말로 통수권자의 “권위를 침해한 행동”이라 여겨진다. 사실상 상의가 아닌 통보에 가까운 행동이랄 수 있다.

사람이 좋아서인 것인지 격식을 따지지 않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베이커와 리건의 행동, 그리고 이에 대한 레이건의 반응은 확실히 기이한 구석이 있다. 백악관의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아는 헬렌 토머스도 놀랄 정도로 말이다. 리건과 레이건은 어떤 관계였을까? 레이건은 정말 대통령이었을까? 아니면 여전히 배우였을까?

대통령은 거의 허수아비나 다름없다. 대통령은 아무 권한도 행사하지 않는다. 표면상으로 대통령은 정부에 의해 선출되지만, 그에게 요구되는 품성은 지도력이 아니라 정교하게 판단된 난폭성이다. [중략] 대통령은 늘 사람들을 화나게 만들면서도 매력적인 인물이어야 한다. 대통령의 임무는 권력을 휘두르는 것이 아니라 권력으로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는 일이다. 이러한 기준으로 볼 때, 자포드 비블브락스는 역대 은하계의 대통령들 중 가장 성공적인 대통령이다.[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 더글러스 아담스 지음, 김선형/권진아 옮김, 책세상, 2007년, p71]

‘로널드 리건’이 ‘로널드 레이건’이 된 사연에 대한 고찰

한국어는 여러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적혀진 한글에 대한 발음에 있어 거의 이론의 여지가 없는 편이다. 자기 이름을 ‘유인촌’이라 써놓고 사람들이 ‘유인촌’이라고 부르니까 “내 이름을 유인촌 말고 문익촌이라 읽어 달라”라고 억지를 부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표음문자(表音文字)의 특징이다. 문익촌도 나쁘진 않지만.

그런데 알파벳은 같은 표음문자라 하더라도 좀더 변용이 많은 편인 것 같다. 특히 이름과 같은 고유명사의 발음에 있어서는 기존 관행 또는 본인의 의지에 따라 달리 발음하기도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팝가수 ‘샤데이’는 스펠링이 Sade다. ‘세이드’라 발음해야 할 것 같은데 나이지리아 국적인 그녀가 그렇게 불러 달래서 샤데이다.

한편 미국 대통령 중에선 희한한 케이스가 하나 있는데 ‘로널드 레이건’이다. 그의 이름은 대통령이 되기 전까지는 ‘로널드 리건’이라 불리었다. 그런데 대통령이 된 날 ‘로널드 레이건’으로 표기가 바뀌었다. 알파벳 스펠링은 ‘리건’일때나 ‘레이건’일때나 여전히 Ronald Reagan 인데 말이다. 대통령이 될 때쯤인 1981년의 신문을 보자.

(이하 네이버 디지탈뉴스아카이브 캡처)

이때까지만 해도 ‘리건'(1980년 7월 17일 동아)

경향신문의 1981년 11월 6일자 보도에 따르면 ‘한국신문편집인협회보도용어 통일심의회(韓國新聞編輯人協會報道用語 統一審議會)’라는 거창한 단체에서 여태 ‘리건’이라 써오던 표기를 ‘레이건’으로 바꿔 쓰기로 했다고 한다. 누구 맘대로? 아무리 단체 이름이 거창해도 감히 미국의 대통령 이름을 멋대로 바꿔 쓸 수는 없다. 본인이 허락하지 않은 한은.

너무 거창한 단체 이름!(1981년 11월 6일 경향)

그런데 동아일보는 경향이 그런 사실을 보도하기 하루 전에 이미 그를 ‘레이건’이라고 표기했다. 왜 그렇게 했냐고? “본인의 희망에 따라” 그랬다는 보도도 있다. 동아는 이미 발빠르게 ‘한국신문편집인협회보도용어 통일심의회’가 바꿔 쓰기로 결정하거나 말거나 “본인”의 희망사항을 확인했다는 이야기다. 역시 그때부터 대단한 신문이었던 듯?

본인의 희망이라잖아~(1981년 11월 5일 동아)

그때 아직 소년시절인지라 많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이 사실만큼은 기억한다. 여태 ‘리건.. 리건..’하던 미국의 대통령 각하의 이름이 어느 날 갑자기 ‘레이건’으로 바뀐 그 순간 말이다. 그때 기억을 더듬어 보면 동아의 말마따나 그리고 ‘샤데이’의 경우처럼 본인이 “이제 멋없는 리건이라는 이름대신 레이건이라 불러라. 에헴!”한거라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런데~

1985년 11월에 고르바초프와 레이건의 미소 수뇌회담이 열렸다. 언론은 양자가 화해하여 동서대립이 해소된 것처럼 요란하게 보도했다. 그러나 당시 수행자들이 누구였던가? 레이건의 감시자로서 세계최고의 원자력발전소 건설회사 벡텔 사의 사장 조지 슐츠와 세계 최고의 투자은행 메릴린치의 도널드 리건이 각각 국무장관과 수석보좌관의 직함을 들고 동행하지 않았던가. [중략] 이 가운데 리건 보좌관은 재무장관에서 자리를 옮긴, 최고 실력자라 부를만한 인물이었다. 레이건이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그때까지 로널드 리건이란 이름의 발음을 로널드 레이건으로 바꾼 것도 이 헷갈리기 쉬운 스폰서인 도널드 리건을 장관으로 맞이하는 예의로서 대통령이 한발 양보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리라.[제1권력, 히로세 다카시 지음, 이규원 옮김, 2010년, pp481~482]

JP모건과 록펠러 집안이 미국과 전 세계의 권력을 좌지우지한다는 히로세 다카시의 음모론 책을 읽고 있는 와중에 만난 대목이다. 이 주장대로라면 ‘레이건’ 씨는 비록 스펠링이 Regan으로 다르긴 하지만 발음은 구분할 수 없는 차기 재무장관을 배려(?)하여 대통령으로 당선되자마자 표기를 바꿔달라고 요구한 셈이다. 대단 대단!

변방의 신문은 전체 이름을 ‘도널드 리건’이라 하기도(1980년 3월 13일 경향)

그런데 여하튼 ‘도널드 리건’이 재무장관 자리에 확정발표된 것은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지 한달이 지난 후였으니 딴에는 히로세 다카시가 오버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물론 그림자 내각이야 이미 확정되었을 수도 있고 그깟 이름에 대한 음모론은 전체 거대 음모론에 비하면 새 발의 피에 불과할 수도 있지만 말이다.

하기는 마이클 무어의 신작 ‘캐피탈리즘:러브스토리’를 보면 도널드 리건이 보통 인물이 아니기는 하다. 대통령이 된 후 증권거래소를 찾은 레이건이 연설을 하는 와중에 노령인 탓인지 말이 상당히 느렸다. 이때 뒤에 있던 리건이 끼어들며 “빨리 좀 말하세요.”라고 하자 레이건이 “오호~”하며 놀라는 장면이 나온다. 단순히 부하직원의 충고였을까?

한국어로 잘 감이 안오면 영어로 표현해보자. “you’ll have to speed it up.” 이것이 그가 한 말이다. “have to”라는 표현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입각하기 바로 직전까지 세계 최고의 투자은행(이었던) 메릴린치의 CEO ‘리건’과 변방국가의 신문조차 이름을 헷갈려 하는 전 캘리포니아 주지사 ‘리건’의 대화 톤이 굳이 주종관계를 따질 게재가 있을까?

어쨌든 답은 알 수 없다. 진실은 한 사람이 – 혹은 두 사람이 – 알고 있을 텐데 둘 다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다. 호사가의 가십거리에 불과하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소위 레이거노믹스가 투자은행, 나아가 미국 자본가들의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졌는가, 그리고 그것이 소수 지배계급에 의해 획책되었는가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위키피디어를 볼 것 같으면 레이거노믹스를 주장한 것은 사실은 ‘도널드 리건’이다. 그러니 사실 레이거노믹스의 옳은 표현은 원래 발음대로 <리거노믹스>일지도?

p.s. 한편 옛날신문을 살펴보다가 한 가지 재미있는 보도를 발견했다. 1960년대에 CIA가 광범위한 불법 활동을 자행했다는 1974년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따라 포드 대통령이 진상조사를 위한 위원회를 꾸리는데 그 위원회 이름이 위원회를 이끈 ‘넬슨 록펠러’의 이름을 딴 ‘록펠러 위원회’였고 ‘로널드 리건’이 이 위원회에 낀 것이다. 당연히 ‘넬슨 록펠러’는 록펠러 집안의 사람이다. 과연 ‘로널드 리건’은 록펠러 집안의 하수인이었을까? 🙂

‘록펠러 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한 ‘로널드 리건'(1975년 1월 15일 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