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불황

40%의 확률로 전망하기에 대해

경제학자와 통계학자들에 관해 좋아하는 오래된 농담이 하나 있다. : 미래의 불황에 대한 예측을 요청받았을 때 당신은 언제나 “약 40%입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왜? 50/50은 동전 던지기에 불과하다. 그래서 부질없다. 75/25는 너무 일방적이다. 40%는 딱 적절한 예측이다. 40%라는 예측이 유용해보이게 해주는 것은 만약 불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당신은 언제나 “내가 예측했듯이 불황은 확률이 낮은 이벤트였고 일어나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하면 됩니다. 만약 불황이 발생했다면 당신의 경고는 선견지명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당신은 발생에 대해 매우 현실적인 확률로(예를 들면 40%) 경고한 것이다.[Can Economists Predict Recessions?]

이 블로그에서도 소위 부동산 전문가들의 우리나라 주택시장에 대한 엉터리 예측을 조롱한 글을 몇번 올렸던 기억이 나는데, 사실 기존의 경제적 현상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갖춘 이라 할지라도 그 패턴을 경험삼아 미래를 예측하기란 – 물론 여러 이유로 본인의 의견과는 다른 시장이 좋아할만한 의견으로 인기를 얻기 위함도 있다 – 결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인용한 농담은 그러한 만만치 않은 경제학자(또는 통계학자, 또는 분석가)의 태생적 임무의 고단함에 관한 농담이라 생각된다.

경제에 관한 입장 차이는 흔히 미래에 대한 이러한 당파성 혹은 주관적 희망이 섞인 예측의 입장 차이에서 비롯된다. 시장자유주의자라면 시장이 어떻게든 현재의 난관을 헤쳐나갈 것이라 예측하고 사회주의자라면 시장이 가진 고유한 모순으로 인해 현재의 난관이 심화될 것이라 예측할 것이다. 그런데 누군가 이 미래예측을 40%의 확률로 자신의 입장을 피력한다면 본인의 분석력에 대해 큰 비난은 받지 않을지 몰라도 양측의 호감을 얻는데는 실패하거나 미디어적 상업성이 떨어질 것이다.

6sided dice (cropped).jpg
By Diacritica, CC BY-SA 3.0, Link

그런데 어쨌든 누군가는, 특히 경제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이는 미래에 대해 40% 이상의 확률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현재의 난관을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감세를 해야 한다’ 혹은 ‘증세를 해야 한다’의 의사결정은 40%의 확률을 본인이 원하는 더 개선된 이벤트의 확률로 전환시키기 위한 로드맵을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봤을 때에 그 과정은 상당 부분 좌충우돌이었다. 인플레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면 경제가 죽고, 금리를 낮추면 자산거품이 도래했다.

그 즈음이 되면 경제학자가 근엄한 목소리로 그 좌충우돌에 대해 ‘내가 40%의 확률로 부작용을 예측하지 않았느냐’하고 꾸짖을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런 좌충우돌이 시행착오를 통해 사회의 정치적 합의로 도출되는 것이라면 희망이 있을 텐데 오히려 그것이 아전인수격 해석으로 정치적 양분화만 가속화시킬 우려도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나아가 기후변화와 같은 돌이킬 수 없는 재앙으로 이어진다면 경제학자는 더 이상 40%의 확률을 제시할 여유가 없는 세상이 된다는 것이 비극이다.

요즘 미국경제 스케치

우리나라 경제도 죽을 맛인데 남의 나라 경제 살펴보게 되었느냐고 뭐라 할 분도 계시겠으나 역시 미국은 세계경제의 버팀목이니까 – 썩은 버팀목인지 든든한 버팀목인지는 모르겠으나 –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

우리나라 생산자 물가상승이 OECD 국가 중에서 멕시코 다음으로 높다고 하는데(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는 안 좋은 항목의 랭킹에서는 항상 멕시코 다음의 수위를 차지하는 것이 습관화되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역시 1991년 이래 가장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한다. 즉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작년 7월 이후 5.6% 상승했다. 역시 원인은 유가와 식료품값의 폭등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살인적인(?) 물가상승으로 말미암아 실제로 미국인들의 소비행태가 달라지고 있다. ‘연방도로청(th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승용차 주행거리가 현격히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이미 지난 11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주행거리가 줄어들고 있었는데 6월에는 휴가철의 시작임에도 불구하고 주행거리가 최대하락폭인 4.7%다. 놀라운 것이 전체적으로 주행거리가 지난 70년대의 석유위기 때의 그것보다 더 많이 줄었다고 한다.[관련기사]

이러다보니 실제로 연료소비도 많이 줄었다. 2007년 11월부터 줄어든 연료소비량은 전년 동 기간 대비 휘발유는 약 4억 갤런, 디젤은 약 3억 갤런 줄었다고 한다. 이러한 소비감소 덕택으로 최근 석유선물 값이 내렸다는 분석도 있다. 그런데 사실 지난 8개월 동안 줄어든 수치니 아무리 국제원유선물가격이 후행지수라 하여도 – 근데 후행지수 맞나? ^^ – 내리려면 진작 내렸어야 했다는 생각도 든다. 선물투자세력들 빠져나가면서 댄 핑계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이 와중에도 빛을 발한 곳이 있다. 바로 저가상품의 메카로 서민들의 든든한 친구(?) 월마트(Wal-Mart)다. 월마트는 2분기 순이익이 34억5천만 달러로 29억5천만 달러였던 전년도 2분기에 비해 순이익이 1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관련기사] 이러한 월마트의 탁월한 성적은 지갑이 얇아진 미국인들이 더더욱 저가상품 소비를 늘릴 수밖에 없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특히 월마트는 얼마 전 행정부가 공중살포한 ‘환급세금 수표(tax-rebate checks )’를 수수료 없이 현금으로 바꿔주는가 하면 각종 생필품 가격을 더욱 내리는 공격적인 전략을 펼쳤다고 한다.[관련기사]

어째 이런 풍경은 전 세계 어디나 비슷할 것 같은 느낌이다. 살인적인 물가에 몰고 다니던 자동차는 집에 두고(근데 우리나라는 어째 아직도 거리에 이리 차가 많은지), 씀씀이는 줄이려고 한 푼이라도 싼 가게로 순례를 하고, 그 와중에 산유국, 석유메이저, 석유관련기업, 원자재생산업자, 그리고 선물거래에 성공한 투자세력 등은 쾌재를 부르고 하는 모습들 말이다.

다른 소린데 나는 아직도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것이 정말 인플레이션과 별도로 구분하여 개념지을만한 특성이 있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사실 인플레이션이란 것이 경제가 성장하며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주2)을 일컫는 말인데 경제성장에는 대개 분배의 불평등이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사실 스태그플레이션은 좀 더 분배 불평등이 심화된 인플레이션에 불과할 수도 있다. 경기가 침체하면서 물가가 상승한다? 그것은 상대적인 의미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물가가 상승하였으면 누군가는 분명히 이득을 본다. 바로 지금 시점에서는 석유, 식료품, 기타 원자재와 관련된 세력들이다. 그들에게는 절대 현 상황이 경기침체가 아니다. 최고의 호황기다. 요컨대 나는 스태그플레이션은 좀 더 분배 불평등이 심화되는 인플레이션이라고 생각한다.

말이 옆으로 샜는데 (워~ 워~) 이 와중에 요즘 복덕방에서 장기로 세월을 보내실 것 같은 얼굴의 소유자 알란 그린스펀 할아버지가 또 이런 미국경제에 관해 월스트리트저널과 대담을 나누셨다. 솔직히 언제까지 언론들이 이 영양가 없는 할아버지의 넋두리를 넙죽넙죽 기사로 써댈지 궁금하다. 언제쯤 약발이 떨어질까? 암튼 오늘도 참 영양가 없는 소리를 해대셨다.

요는 Fed 가 프레디맥과 페니메를 처리한 방식에 심히 불만이 많은 그린스펀이 특유의 우회적인 화법을 물리치고 직설적으로 비난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거기다가 덧붙여 현재의 주택위기를 타개할 묘책을 하나 가르쳐 주셨는데 그게 바로 ‘숙련(skilled)’ 이민자들을 지금보다 더 많이 두 배 세 배 받아서 그들이 집을 사게 하면 된다는 것이다. 대충 현재 매년 80만 가구가 신규로 느는데 그 중 1/3이 이민자고, 또 그 중 15만 가구(주1) 가 바로 ‘숙련’ 이민자인데 이들 구매력이 있는 이민자 수를 늘려 현재의 과잉 공급 분을 흡수한다는 것이다.

나는 이것이 경제대통령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가 할 소리인지 심히 의심스럽다. 그린스펀은 그들이 미국 와서 아무 짓도 안하고 집만 살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일까? 이들 이민자들이 그린스펀의 주문대로 ‘두 배 혹은 세 배(A double or tripling of this number)’ 늘면 와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 직업을 구해야 한다. 현재 미국의 신규고용이 30만 개 혹은 45만 개의 ‘이민자’ 고용을 받아줄 처지인가?

수치를 들먹일 필요도 없이 미국의 고용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월街에서 사람 몇 백명 자른다는 소식은 이제 언론에서 기사화하지도 않는다. MIT 졸업생인데 실직자라고 광고를 해야 그때서야 주목을 할 정도이다. 그런데 그린스펀은 주택수요자, 즉 소비자가 곧 노동자고 고용시장이 그 노동자를 받아줄 여력이 안 된다는 사실을 알고나 지껄이는지 모르겠다. 우리나라 집값 떨어지니 우리나라 이민오고 싶어하는 돈많은 동남아 사람들 불러들여서 집을 팔자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 언론이 뭐라 할까? 아마 새날아가는 소리 하고 있다고 하겠지.

요컨대 불황은 항상 주기적으로 다가오지만 이번 불황은 참 골이 깊어 보인다. 이 블로그에서도 ‘다가오는 경제공황’이라고 설레발을 칠만큼 심각해보였었다. 내가 꼭 엄청난 허풍을 친 것은 아닌 것이 미국 관계당국이 지난 몇 달 동안 사상 초유의 조치를 일삼아서 해댔다는 사실만 봐도 그 심각성을 잘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잘 모르겠다. 소위 좌파가 이야기하는 최종심급일 수도 있고 아주 깊은 골일 수도 있겠다.

오늘 발견한 또 다른 미국식 유머코드의 경구 한마디로 글을 마무리.

“Cheer up, this may be the last crisis of the oil age.”
“힘내. 어쩌면 이번 위기는 석유세대의 마지막 위기일지도 모르잖아~”

(주1) 이 와중에 오늘자 머니투데이는 월스트리트저널 기사를 베끼면서 “15만 가구”를 “15만 명”으로 번역하는 번역실수를 저질렀는데 내가 지금 가서 링크를 달으려고 보니 그 사이 고쳐 놓았다.

(주2) 좀 유식한 말로는 사회적 총수요(소비수요와 투자수요의 합계)가 사회적 총공급(소비수요와 저축의 합계)을 초과하는 총수요 어쩌고저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