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Harry Palmer

최근에 본 영화들 단상

밀양
홍상수의 영화 속 등장인물은 영화에 나올 것 같지 않은 인물들이 현실에서는 하지 않을 것 같은 행동을 하는 반면, 이창동의 영화 속 등장인물들은 영화에 나올 것 같지 않은 인물들이 영화 속에서 하지 않을 것 같은, 진짜 일상생활에서 할 것 같은 행동들을 한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박하사탕’, ‘시’에서도 느껴지는 그의 공력이 이 작품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된다. 줄거리를 알고 봤음에도 주인공이 느끼는 슬픔이 고스란히 전해져 온다. 특히 살인자뿐만 아니라 주변인물 모두가 보여주는 그 뻔뻔한 넓은 오지랖들은 너무 현실적이어서 소름이 끼칠 정도다. 특히 송강호가 전도연의 허락도 없이 피아노 교실에 가짜 상장을 못 박는 장면.

피아노
이 작품이 유명해진 이후에도 왠지 칙칙하다는 느낌 때문에 일부러 찾아보지 않다가 최근에야 보았다. 한마디로 멋진 영화. 세상과 피아노를 통해서만 대화를 나누는 여인과 그를 둘러싼 주변 인물들과의 갈등이 입체적으로 그려져 있었다. 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감정은 집착이다. 피아노에 대한 집착, 땅에 대한 집착, 사랑에 대한 집착. 이 세 가지가 얽혀서 끔찍한 비극을 탄생시킨다. 마지막 장면은 만약 내가 연출했더라면 조금 다르게 했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남는 장면.

The Ruling Class
교수형 매듭을 만들어 놓고 거기서 노는 것을 즐기는 한 괴짜 부자가 실수로 정말 매듭에 매달려 죽고 만다. 이후 저택에 돌아온 그의 후계자는 자신을 예수라고 생각하는 과대망상의 Jack. 부르주아 사회에 대한 조롱으로 가득 찬 흥미로운 작품. Jack은 어쨌든 자신이 예수가 아니라 Jack 이란 사실을 인정하지만, 그마저도 또 하나의 과대망상이라는 점이 反轉.

Death on The Nile
최근에 원작소설을 읽고 있어서 다시 꺼내본 영화. 아가사 크리스티 작품 특유의 고풍스럽고 긴장감 넘치는 세팅이 매력적으로 묘사된 작품. 다른 에큘 포와르를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의 캐릭터에 독특하고 인상적인 해석을 부여한 피터 유스티노프와 수많은 명배우들이 등장하는 것도 매력적이고, 이집트의 찬란한 유물들도 즐거운 눈요깃거리. 범인을 알아도 재밌다.

Zelig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인종, 직업, 행동들을 마치 카멜레온처럼 흡수하여 동화된다는, 독특한 정신병에 시달리는 레나드 젤릭이라는 인물에 관한 가짜 다큐멘터리. 언제나 그렇듯 우디 알렌 특유의 유머코드가 곳곳에 촘촘하게 박혀 있고 수잔 손택과 같은 진지한 학자들이 인터뷰를 통해 천연덕스럽게 젤릭이란 인물의 성격을 분석한다. 그런데 젤릭이란 인물에 열광하는 대중의 이중적인 태도도 어떻게 보면 젤릭이 겪었던 그 정신병 증상과 다르지 않다는 점이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아닌가 생각된다. 하긴 멀리 가지 않더라도 우리 사회도 비슷한 증상이 많다.

George Harrison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3시간이 넘는 상영시간이 지루하지 않은 – 물론 내 옆의 고등학생은 보는 내내 몸을 배배 꼬았지만 – 조지 해리슨에 관한 다큐멘터리. 메이저 중의 메이저, 비틀즈에서 약간은 마이너인 조지 해리슨이란 독특한 캐릭터에 주목한 마틴 스콜세지. 영화를 다 보고 나면 그 선택이 탁월한 선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조지 해리슨이 비틀즈의 음악과 멤버들의 삶에 결코 지워지지 않는 뚜렷한 각인을 남긴 이었음을 이 작품을 보면 분명히 알 수 있다. 어느 음악프로에 영화전문 기자가 나와서 에릭 클랩톤과 조지 해리슨, 그리고 그의 아내 사이에 정확히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아는 것만으로도 이 다큐를 볼 가치가 있다고 했다는데, 뭐 딴에는 틀린 말도 아니다. 그 사건 역시 조지의 삶에 있어 중요한 변곡점이었으므로. 영화를 본 후 에릭 클랩톤의 Layla를 들어보면 감회가 새로울 것이다.

Billion Dollar Brain
해리 팔머 시리즈에 대해선 예전에 한번 종합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어쨌든 오랜만에 다시 찾아봤는데 볼수록 매력적인 작품. 당시 어떻게 이런 삐딱한 작품을 만들 생각을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 제작과정이 결코 순탄하지 않았을 듯. 1967년에 제작된 스파이물인데 주적이 반공(反共)주의자 자본가다!

Memorias del subdesarollo(저개발의 기억)
쿠바 혁명에 적극 동참하였으면서도 ‘관료주의자의 죽음’ 등을 통해 사회주의에서 만연한 관료주의를 비판하는 등 반골기질을 잃지 않았던 토마스 구티에레스 알레아의 대표작. 혁명 이후 그의 지인들이 모두 쿠바를 떠나는 와중에도 하바나에 남은 부르주아 세르지오의 눈을 통해 바라본 쿠바를 그렸다. 이 영화는 어찌 보면 정치와 성(性)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긴장감과 무료함을 다뤘다는 점에서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감각의 제국’과도 비슷하다. 그렇지만 굳이 그러한 정치적인 함의를 따지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매력적인 플롯이다. 정치와 사랑에 희망은 있을까? 그건 영화를 본 사람이 답해야 할 몫인 것 같다.

Midnight in Paris
입소문을 타고 꾸준하게 인기를 모으고 있는 우디 알렌 감독작. 소설 쓰기를 꿈꾸는 주인공이 여자 친구와 함께 들른 파리에서 시간여행을 통해 헤밍웨이나 스콧 핏츠제랄드와 같은 인물들을 만난다는, 어찌 보면 좀 식상한 설정. 하지만 그 식상함이 우디 알렌 식의 프리즘을 거쳐 일정 수준 이상의 만족도는 보장하고 있다.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우디 알렌의 과거 작품 중 ‘카사블랑카여 다시 한 번’과 ‘라디오데이즈’를 합쳐놓은 듯한 느낌.

Cléo de 5 à 7(다섯 시부터 일곱 시까지의 클레오)
건강검진의 결과를 기다리는 여가수 클레오의 감정 기복을 실시간 진행에 따라 보여주는 영화. 이 흥미로운 시도는 매우 성공적이다. 인간이란 찰나에도 감정이 왔다 갔다 하는 동물인데 두 시간이라면 얼마나 더 많은 인생의 희로애락이 담겨져 있을 것인가? 불행한 것 같고, 행복한 것 같고, 세상 사람이 다 나를 미워하는 것 같고… 이런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OOO인 것 같다.

아웃사이더의 스파이 스릴러, Harry Palmer 시리즈

Len Deighton and Michael Caine Ipcress File.jpg
Len Deighton and Michael Caine Ipcress File” by http://www.twochapstalking.com/gazette/gazette32.htm. Licensed under Wikipedia.

스파이물은 100%(또는 99.9%?) 냉전시대의 유산이다. 미국의 개척시대가 없었다면 서부영화라는 장르가 존재할 수 없듯이 냉전과 스파이물의 관계도 그러하다. 그렇기에 불가피하게 우리가 어려서부터 즐겨왔던 007시리즈로 대표되는 스파이물은 서방을 선(善)의 세력으로, 소련을 비롯한 서방의 적대세력을 악(惡)의 세력으로 하는, 이분법적 구도를 당연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구도는 소련제국이 붕괴되는 시점에서 비로소 다변화되기 시작하였고 극히 최근에야 Jason Bourne시리즈와 같은 수정주의적 스파이물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냉전의 적대감이 기승을 부리던 1960년대에 영국 영화계 한편에서는 단순명쾌한 구도와 다양한 볼거리(첨단무기, 액션, 나체의 여인 등)로 무장한 007시리즈와는 확연히 다른 묘한 스파이물이 존재하였다. 바로 Len Deighton 원작의 Harry Palmer 시리즈다. 이 작품 역시 동서의 냉전구도를 기본모순으로 깔고 가고 있다는 점에서는 그 당시의 전형을 답습하고 있으나 영화를 보고 있자면 그것이 과연 선악의 구도인지 의심스러울 때가 있을 정도로 묘한 냉소와 모호함이 느껴진다. 즉 이 시리즈는 시대를 앞선 수정주의적 스파이물이었다.

이 시리즈는 개봉 당시 ‘생각하는 사람들의 James Bond’라는 별명을 얻으며 60년대에 세 편, 90년대에 두 편 영화로 제작되었다. 주인공 Harry Palmer는 요즘 The Dark Knight에서 Bruce Wayne의 집의 집사역을 맡고 있는 Michael Caine이 맡았는데 그가 아니었으면 누가 맡을 사람이나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시니컬 그 자체인 공작원의 캐릭터다.(물론 60년대 영국영화에서 Michael Caine이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가졌는지 잘 모르는 이에게는 그리 와 닿지 않겠지만 말이다) 검은 뿔테 안경을 쓰고(Mike Myers 가 Austin Powers에게 검은 뿔테 안경을 씌워준 이유는 바로 Harry Palmer의 캐릭터를 염두에 둔 것이다.) 냉소적인 유머를 특기로 하는 “노동계급” 스파이, 그가 바로 Harry Palmer다.

여기 1960년대에 제작된 세 편의 Harry Palmer시리즈를 소개한다.

The Ipcress File(1965)

아웃사이더의 스릴러 Harry Palmer 시리즈 중 가장 먼저 영화화된 작품이다. 자그마한 아파트에 살면서 요리하기를 좋아하고 월급이 얼마 오를지에 대해 신경을 쓰는 “노동계급” 스파이 Harry Palmer. 동시대에 같은 제작진에 의해 만들어진 James Bond 와 유일한 공통점이라면 여자를 밝힌다는 점. 그가 유혹하려는 여자와의 대화다.

Courtney: “Do you always wear your glasses?”(언제나 안경을 쓰나요?)
Palmer: “Yes – except in bed.”(네. 침대에서는 빼고)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정부를 위해 일하는 과학자들이 석연치 않은 이유로 일을 그만두는가 하면 Radcliffe 박사는 기차에서 실종된다. Harry Palmer의 상관 Dalby는 납치용의자로 Bluejay 라는 암호명의 사나이를 지목하고 Dalby의 부서는 그를 찾아 나선다. 은밀한 뒷거래로 Radcliffe 박사를 찾았지만 그는 악당에 의해 브레인워시를 당한 상태였다.

한편 Harry Palmer가 실수로 미국의 스파이를 죽인 후 미국정보국은 그를 감시한다. 그러던 중 Harry의 차를 빌려 탔던 동료가 죽고 Harry의 집에 그를 감시하던 미국 스파이의 시체가 발견되자 Harry는 서둘러 유럽으로 탈출하기 위해 기차에 몸을 싣는다. 하지만 곧 누군가에 의해 감옥으로 납치되고 그 곳에서 Radcliffe 박사가 당했던 브레인워시 실험의 제물이 된다.

감시, 유명인사 보호, 비밀접선지역, 비열한 뒷거래, 이중간첩 등 스파이 세계의 실체를 현실감 있게(얼마나 현실적 인지야 모르지만) 보여주는 장면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영상은 아방가르드 필름을 연상시킬 정도로 감각적이지만 액션은 James Bond 와의 차별성을 위해 일부러 자제하고 있다. Harry 의 냉소와 반항기질이 막판 반전에 결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재밌다.

Harry 의 두 상관 Dalby 와 Ross 가 Harry 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사.

Dalby: “Incidentally, the Americans have put a tail on Palmer.”(우연히도 미국인들이 팔머의 뒤를 미행하고 있어)
Ross: “How very tiresome of them.”(그치들 참 피곤하겠네요)

감독은 Sidney J. Furie

Funeral in Berlin (1966)

베를린이 2차 대전 이후부터 베를린 장벽의 붕괴까지 지니고 있는 그 독특한 공간적 특성 때문에, 당연하게도 그 도시는 언제나 음모, 배신, 스파이 등의 단어를 은유하고 있었다. 이 작품은 그러한 베를린의 후광을 담보로 다른 도시들은 감당해내지 못할 얽히고설킨 협잡과 음모의 스토리를 풀어내고 있다.

여러 면에서 오손 웰즈의 ‘제 3의 사나이’를 연상시킨다. 각각 베를린과 비엔나라는 공간적 특수성에서 뿜어져 나오는 독특한 분위기가 그렇고 작품의 큰 축이 되는 상황설정인 거짓 죽음, 그리고 영화 곳곳에서 느껴지는 허무주의가 그렇다.

Harry Palmer 는 역시 한냉소하는 직속상관 Ross로부터 소련의 한 고위 장성을 서베를린으로 망명시키라는 명령을 받는다. 베를린에 도착한 첫날 한 아름다운 여인의 유혹에 빠지지만 그는 의혹의 끈을 놓지 않는다. 한편 장군의 탈출 시나리오는 장례식을 가장한 탈출. Palmer 는 동베를린에서 서베를린으로 빠져나온 관에 장군이 있으리라 기대하지만 그 속에는 탈출계획을 대행하던 전문가 크라우츠만의 시체가 있었다.

그 와중에 그 아름다운 여인은 이스라엘의 정보기관 소속인 것이 밝혀지고 이야기는 복잡한 실타래처럼 엉켜 들어간다. 모두가 속이고 모두가 속는다. Palmer처럼 냉소적이지 않다면 그 업무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했을까 걱정될 정도다. 특히 결말 부분에서 Palmer가 자신으로 착각하게끔 자신의 코트를 입은 독일전범이 한때마나 사랑했던 그 여인의 지시로 죽었을 때,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여인의 눈을 바라보았을 때 느꼈을 배신감은 당시 앞에 놓여 있던 베를린 장벽만큼이나 우울하고 암담하였을 것이다.

숀 코넬리가 제임스 본드로 있을 시절의 007 시리즈를 담당한 스파이물의 거장 Guy Hamilton이 스파이에게 총 대신 냉소와 머리를 건네주고는 그래도 충분히 재미있다는 사실을 증명해보였다. 흥미롭게도 감독은 또한 앞서 언급한 ‘제3의 사나이’의 조감독이기도 했었다.

Billion Dollar Brain(1967)

Harry Palmer 시리즈 중 세 번째 작품이다. 이전까지 Sidney J. Furie, Guy Hamilton 등이 맡았던 감독은 괴짜 감독 Ken Russel에게 넘어갔다. 그 덕에 그렇지 않아도 냉소적이었던 Harry Palmer 는 더 괴짜가 되었고 내러티브는 거의 블랙코미디 수준으로 치닫는다.

Ross 대령에게 시달리던 Harry 는 직장을 때려치우고 사설탐정으로 나선다. Ross 대령이 친히 방문하여 복귀를 설득하지만 요지부동이다. 그 와중에 익명의 남자 – 그런데 목소리는 마치 컴퓨터로 조작한 듯한 목소리다 – 로부터 어떤 물건 하나를 핀란드 헬싱키까지 배달해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그곳에 도착하여 그가 만난 이들은 놀랍게도 오랜 친구였던 텍사스 출신의 미국인 Leo Newbigin 과 그의 아름다운 정부 Anya. Harry 가 배달한 물건은 치명적인 바이러스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Leo 로부터 미지의 조직에서 같이 일할 것을 제의받는다.

한편 다음날 Harry는 그가 진짜 접선하려던 이는 이미 살해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그 곳을 뜨려하지만 어느새 나타난 Ross 대령의 협박과 회유 – 참 희한한 직장상사 – 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조직에 몰래 잠입하여 바이러스를 되찾기로 한다. 소련 땅인 라트비아에서 죽을 위기를 맞기도 하나 Funeral in Berlin 편에서 친분관계를 쌓은 소련의 Stok 대령의 도움으로 살아난다.

마침내 조직의 우두머리는 텍사스의 철저한 반공주의자인 석유재벌 Midwinter 임을 알게 되고 그를 만나 그가 사설 군대를 끌고 소련을 침공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결국 한 광기어린 자본가의 전쟁 놀음에 냉전의 교묘한 균형관계가 깨질 것을 두려워 한 Harry 와 Stok 대령은 각자 Midwinter 를 막기 위해 행동에 나선다.

아직 냉전 이데올로기가 전 세계를 뒤덮고 흔들 무렵 이런 영화가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놀랍다. James Bond가 아직도 명백한 선악 구도를 추호도 의심치 않으며 빨갱이 사냥에 한창일 때에 Harry는 소련을 침공하려는 자본가를 저지하려 하다니 말이다. James Bond 는 냉전이 끝난 한참 후 Tomorrow Never Dies 에서나 겨우 시도하던 일이 아닌가 말이다.

이렇듯 원작도 그렇겠지만 영화는 지독히도 냉소적인 블랙코미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가령 라트비아에서 Harry가 어설픈 강도짓을 하다 몰살당한 현지인들 시체를 헤치고 나오는데 군인이 다가와서 혁대를 풀자 Harry 가 반격자세를 취하는데 그대로 화장실에 들어가 버리는 그런 식이다. 대체 다른 당시 – 요즘도 마찬가지 일듯 – 스파이물에서는 시도조차 못할 캐릭터가 여봐란 듯이 등장한다. 그래서 무척 맘이 흐뭇하다. 🙂

풍자의 압권은 바로 이러한 한바탕 해프닝을 주도한 것이 바로 대형 컴퓨터라는 사실이다. 제목의 ‘백만불 짜리 두뇌’는 바로 Midwinter 가 전적으로 신뢰하였지만 고철 덩어리로 판명된 슈퍼컴퓨터였다. 1,2 편보다 훨씬 스케일이 커진 로케이션(헬싱키, 텍사스, 소련(으로 믿어지는 어떤 지역)) 덕택에 시원시원한 눈풍경을 볼 수 있는 것도 즐거움 중 하나였다.

* Leo의 정부로 출연하는 아름다운 여인 Francoise Dorleac의 낯이 익다 했더니 Catherine Deneuve 의 언니였다. 안타깝게도 스물다섯의 젊은 나이에 차사고로 사망했다. 그리고 이 작품이 유작이다.

Fan Site

Trailer of Funeral in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