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Libor

바클레이스의 LIBOR 조작 스캔들 단상

영국의 투자은행 바클레이스의 LIBOR 조작 스캔들의 여파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 사건은 금리를 민간 기업이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이 조작이 정부당국의 묵인 하에 이루어졌을 개연성이 있다는 사실로 인해 시장에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금리는 어떤 의미에서는 금융회사에게 있어 생산원가나 같은 의미다. 그런 의미에서 금리 조작은 가격담합과 같은 의미를 가지기에 이번 행위를 셔먼 반독점법 위반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셔먼법 제1조는 부당하게 거래를 제한하는 계약(contract), 담합(combination) 또는 결탁(conspiracy)을 금지하고, 제2조는 단독의 독점행위 및 독점의 시도 행위와 함께 독점하려는 결탁을 금지한다. 그리고 클레이튼법 제3조는 임차인이나 구매자가 임대인이나 판매자의 경쟁자의 상품을 이용하거나 거래하지 않는다는 조건, 합의 또는 양해 아래 체결된 임대차 또는 상품 매매계약을 위법하다고 규정한다. (…) [The Sherman Antitrust Act (1890), 출처, 재인용]

이 사건은 당초 내부고발자의 고발에 따라 미국의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2008년 5월부터 수사에 착수한 건이다. CFTC는 2010년 봄에 금리조작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가지고 영국의 금융당국에 협조를 요청했고, 이후 사건수사는 영미의 공조 하에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관련 기사 보기) 현재 바클레이스는 혐의사실을 인정하고 법정에 가지 않는 대신 영미의 규제당국에 4억5천만 달러의 합의금을 내는 것으로 면죄부를 받았다.

그렇다면 바클레이스는 왜 Libor를 조작했는가? 은행은 2007년 후반기부터 2009년 5월까지 자체 조달 금리를 낮게 보고한 것을 인정했는데, 은행이 금융위기 동안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고(속이고?) 싶었고 다른 은행들도 다 그렇게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라 한다. 또한 트레이더들이 파생금융상품에서 돈을 벌기 위해 금리신고에 부당하게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관련 기사 보기) 금리조작으로 투자자도 속이고 돈도 벌고 일석이조인 셈이다.

리보를 기준으로 산정된 이자를 받는 채권 투자자는 은행들이 금리를 낮게 조작하면 그만큼 손실을 보게 된다. 금리가 올라갈 경우 이득을 보는 파생상품을 보유한 투자자들 역시 손실을 입는다. 영국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리보를 조작한 뒤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 부당한 이익을 얻은 것으로 보고 조사 중이다. 현재 리보에 연계한 금리 파생상품의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약 800조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못믿을 리보…소송 확산 가능성]

한편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은 허술한 Libor 산정 방식 때문이다. Libor는 영국은행협회(BBA)가 매일 오전 16개 은행으로 구성된 패널이 제출한 금리 가운데 중간값 평균으로 정한다. Libor는 사실상 자체 조달 금리인데, 이 금리를 당사자가 보고한 셈이다. 그런데 BBA는 금리를 물어보지만 사실여부 체크는 안 한다. 트레이더는 매일 몇 베이시스포인트 씩 금리를 낮추는 것이 일반적으로 용납되고 있다고 말했다.(관련 기사 보기)

주) 몇 개 은행이 금리를 제출하는지는 보도마다 다른데 어떤 언론은 20개라고 하고, 예전에 번역하여 정리한 자료에는 15개의 금리라고 한다. 하나금융연구소의 보고서에서는 18개라고 서술하고 있는데 개별 은행들의 리스트를 적어놓아 가장 신뢰도가 높다.

그렇다면 맑고 깨끗한 금융시장에서 바클레이스만이 악랄하게 금리를 조작한 것인가? CFTC는 이번 조사 과정에서 여러 은행들이 공모해 금리 조작을 조직적으로 진행해왔을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씨티그룹, HSBC, RBS, UBS 등도 함께 조사하였다. 특히 영란은행(BOE)이 바클레이스의 행위를 공모했을 것이란, 그리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역시 이 상황을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혐의는 사태의 의미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이 시점에서 ‘금리라는 것이 무엇일까’하는 물음을 던져봐야 할 것 같다. 금리는 돈에 대한 가격이다. 경제학자 로버트 라이시는 “은행 시스템이 미래의 돈의 가치에 대한 최상의 추측에 기초해” 결정할 것이라고 우리가 생각하는 그 금리가 틀렸을 상황을 가정해보라고 말하고 있다. 금리란 것이 전능한 존재가 우리에게 던져주는 어떤 “주어진 가격”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 약삭빠른 인간들이 금리를 자기들 이익을 위해 조작하는 경우 말이다.

우리는 은행 시스템이 미래의 돈의 가치에 대한 최상의 추측에 기초해 오늘의 이자율을 결정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우리는 그 추측이 결국은 미래 돈의 공급 및 수요와 관련한 전 세계 수없이 많은 채권자와 채무자의 무수한 시장 예측에 기반하고 있다고 여긴다. 하지만 우리가 틀렸다고 해보자. 은행가들이 이자율을 조작해 당신이 빌리거나 그들에게 되갚아야할 돈을 두고 내기를 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자. 그 내기는 그들에게 막대한 이익을 안겨줄 것이다. 그들은 시장이 실제로 어떻게 흘러갈지에 대한 내부 정보, 당신과 공유하지 않을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리보 스캔들’, 월가가 바닥을 뚫고 들어갔다”]

금리의 제일 밑바닥 금리는 각국의 중앙은행, 더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에서 책정하는 정책금리에 바탕을 둔다고 할 수 있다. 지급불능의 위험이 사실상 없다고 간주하는 이 금리는 정부의 신용도를 바탕으로 하는 돈의 가격이며, 그 다음 단계로 금융기관, 기업, 가계 등이 자신의 신용도에 따라 가산 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금리가 정해질 것이다. Libor는 이 중에서도 벤치마크 금리로 인기 있는, 신용도 높은 금리로 행세해왔다.

하지만 금융위기 당시 신용이 깨지면서(credit crunch) 정책금리를 내리는데도 시장은 서로를 믿지 못하여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는 상황에 직면했다. 이 와중에 바클레이스는 스스로의 신용을 조작하기 위하여 Libor를 조작한 것이다. 일반기업으로 치면 회사가 멀쩡하다고 선전하기 위해 회사채를 낮은 금리에 발행하는데 성공했다고 사기를 친 셈이다. 자신의 조달 금리를 스스로가 보고할 수 있는 금융회사의 특권을 악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한 토론에서 경제전문가인 Max Keiser는 바클레이스의 이러한 조작, 이를 방임 내지는 공모한 영란은행의 행위를 두고 “공산주의적 방식”이라고 비난하였다. 그러면서 시장이 가격을 결정하게 내버려 두라고 말한다. 하지만 문제는 시장이 결정하는 그 가격의 기초가격은 다른 가격과 달리 중앙은행의 정책금리를 통해 결정되는 태생적 한계가 – 물론 정책금리는 중앙은행이 원하는 시장금리로 유도하는 역할에 그치지만 – 있음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즉, 금융업이 스스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1,2차 산업 가치생산의 촉매 역할을 통해 가치를 전유(appropriate)하는 것이라는 ‘노동가치론’적 입장에서 본다면, 그 체제가 공산주의든 자본주의든 정책입안자는 거시경제 이익률의 선순환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정책금리를 정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금리와 시장금리에 괴리가 발생하면 이를 조정하고 싶은 유혹에 빠져든다. 그런 면에서 담합이나 가격조작은 사실 국가 차원에서는 합법이다.

참고할만한 글

바클레이스의 LIBOR 조작 사건에 관한 비디오 하나

영국의 투자은행 바클레이스의 LIBOR 조작 사건이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LIBOR는 런던은행간제시금리(London Interbank Offered Rate)의 약자로 은행간 차입비용을 산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LIBOR는 영국은행연합회(BBA)가 매일 주요 은행 간 차입금리 수집해 최고 및 최저 금리 일부를 제외해 평균치를 산정해서 고시하고 있다.(우리의 CD금리도 비슷한 방식으로 고시하고 있다.)

LIBOR는 전 세계적으로 벤치마크 금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은 매우 심각한 의미를 가진다. BBC는 심지어 자본주의 작동방식의 근본적 회의를 불러일으키는 사건이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금융이라는 체제의 기저에 자리한 업태의 근본원리에 관한 문제여서 단순한 엄살이라고만은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사건과 관련한 비디오를 소개하고, 시간될 때 이 사건의 의미를 되짚어보도록 하겠다.

12분 28초 부분 보시면 포복절도할 일이 발생함. 멋진 분이시네. ㅋㅋㅋㅋㅋ

No surprise then that lots of people are asking if this and other scandals suggests that there is something fundamentally wrong with the way capitalism is working.[Remedies for capitalism’s malaise]

비디오 보기

Libor에 관한 비밀

세계 도처의 금융기관들은 모기지 대출에서부터 복잡한 금융도구에 이르는 모든 것들에 대해 지불하는 이자를 정하기 위해 Libor – 런던 은행간 거래 금리(the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의 준말 – 를 사용한다. 그러나 그 금리가 조작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들이 지금 제기되고 있다. 여기 Libor가 어떻게 당신에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이 있다.

Libor가 정확히 무엇인가?

Libor는 150조 달러에 달하는 금융상품에 금리를 책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국제 금리 벤치마크이다. 매일 런던에 있는 영국은행가협회(BBA)에서는 16개 은행이 그들의 동료은행에게 하루짜리 대출에서부터 12개월 만기에 이르기까지의 현금을 빌려주는데 얼마나 금리를 매겼는지를 조사한다. 15개의 다른 만기를 가진 보고된 금리를 바탕으로 BBA는 최상위와 최하위의 네 개를 버리고 중간의 여덟 개의 평균을 내서 금리를 계산한다. 5월 27일 6개월 Libor는 2.84938% 였다.

Libor가 나와 무슨 상관인가?

Libor 는 소비자 대출 금리를 정하는데 인기 있는 도구다. 모기지 분야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2005년과 2006년에 Inside Mortgage Finance(주택대출시장 전문조사업체:역자주)의 출판인인 Guy Cecala에 따르면 서브프라임의 약 75%가 금리를 책정할 때 이를 사용하였으며, 7조 달러에 이르는 변동금리 모기지(ARMs)의 40%가량이 또한 Libor에 연동되었다. 현재 사설 학생대출의 반절가량이 Libor에 연동되어 있다.(이 금리는 고정금리를 사용하는 스태퍼드 대출과 같은 연방 학생대출에는 영향이 없다.)

최근의 논쟁은 무엇인가?

연이은 신용위기의 후유증으로 상대적으로 미국 채권에 비해 높은 Libor가 자본이 모자란 금융기관이 더 깊은 수렁에 빠지는 리스크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고 있다고 시장 리서치 회사인 Global Insight의 Brian Bethune이 말했다. 몇몇 산업계 내부인사들이 은행들이 일부러 조사시에 금리를 낮게 보고해서 Libor를 끌어내리고 대출환경에 장밋빛 환상을 심어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은행들이 그들이 가장 일상적으로 빌리는 금리가 아니라 가장 좋은 금리를 보고하는 경향은 많은 것 같다고 Bethune은 이야기하고 있다. BBA는 5월 30일까지가 만료인 이른바 “정기 감사”라는 것을 시행하고 있다. 한편 Libor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더 많은 은행을 조사하는 것에서부터 다른 대안 금리를 통해 Libor를 탈피하는 것까지 여러 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만약 내 대출이 Libor에 연동되고 있다면 걱정거리인 것인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Libor는 그래야 하는 것보다 낮을 수도 있다. 즉 소비자들은 사실상 그들이 지불하여야 하는 것보다 낮은 이자를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금융기관이 잘 굴러가지 않고 있는 경우에서는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혜택에 있어서는 먹혀들어가는 셈이죠.” HSH Associates의 모기지 조사관 Keith Gumbinger의 말이다. 만약 BBA가 금리가 조작된다는 것을 발견한다면 대출 금리는 그들이 재조정할 다음 번에는 뛰어오를 것이다. Gumbinger는 어쨌든 연방준비제도가 금리인하를 중지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 아마도 ARMs의 금리를 높일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릴 수조차 있기에 그런 경우(Libor가 오르는 것:역자주)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당신이 만약 ARMs – Libor 또는 다른 것 – 을 쓰고 있다면 빠져나오는 것을 고려해보길 원할 것이다.” 그의 말이다.

from Business We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