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샌프란시스코의 인공지능 개발자가 올린 트윗을 보고 느낀 단상

트위터에 올라온 글이다.

“민트플라자에서 월 700달러를 내고 30일간 머물 예정이다. 몇몇 인공지능 개발자들과 독립적인 해커들이 여기 머문다.”

라는 트윗과 함께 그가 잠을 잘 캡슐의 사진을 올렸고, 이어 타래로 제법 그럴듯한 그 캡슐이 설치되어 있는 곳의 공용 공간의 사진들을 올렸다. 많은 이들이 ‘합법적으로 지어진 공간이냐’, ‘따로 책상은 있느냐’, ‘화장실은 더럽지 않느냐’, ‘주차는 어떻게 해결하냐’ 등의 질문을 던졌고 원래의 글을 올린 이는 친절하게 답변을 해주고 있다.

어쨌든 이 공간을 보면서 생각나는 공간은 우선 창도 없이 사실상 잠만 자는 값싼 숙소의 역할을 하는 한국의 고시원이나 일본의 캡슐호텔이다. 노동자 이하 빈곤층이 장기적으로 묵는다는 점에서는 고시원이, 공간 디자인의 유사성에 있어서는 캡슐호텔이 어울린다. 요컨대 인공지능 업계에서 근무하는 실리콘밸리의 노동자가 묵을만한 제대로 된 주거지의 느낌은 아니다.

런던, 뉴욕 등 주요 대도시의 높은 임대료는 팬데믹 이후 임대료는 더욱 오르는 추세라고 한다. 어떤 노동자는 임금의 절반 가까이를 집세로 낸다며 불만을 토로하는 영상을 올렸고, 캡슐에서 지내겠다고 트윗을 올린 이가 머무는 샌프란시스코의 경우 높은 집세로 인해 도시경쟁력이 악화되고 있고, 이로 인해 도시가 공동화/슬럼화/범죄화되는 현상을 겪고 있다고 한다.

의식주 중에서 노동자가 가장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것은 주(住)다. 대도시는 생산과 소비의 입지가 우월하다는 점에서 높은 주거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는 당위를 감안하더라도 고임금의 노동자마저 감당할 수 없는 주거비용으로 인해 자산소유자가 노동소득자로부터 전유하는 몫이 계속 커진다면 그것은 공멸의 길임은 상업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사태가 잘 말해주고 있다.

부동산이나 젠트리피케이션 역시 때로 신규로 진입한 이가 주택 매입이나 권리금 차익을 통해 일정 정도 이윤을 향유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다수 노동자나 자영업자는 노동소득을 목적으로 근무지 근처에 거주하거나 장사를 한다. 그들 대부분이 이제 대출을 통해 자산을 보유하고 이에 대한 차익을 기대하기에는 자산은 너무 과점되어 있고 기대 인플레는 낮기 때문이다.

솔직히 저 트윗을 보고 처음 떠올렸던 것은 고시원이나 캡슐호텔이 아니라 19세기 말 노동자나 홈리스들이 숙소로 삼았다는 ‘관(棺)으로 만든 여관(coffin house)‘이다.

Fourpence coffin.jpg
By Unknown author – West, Rebecca (1996). London. London Crescent Books, a division of Random House Value Publishing, Inc (Avenel). Public Domain, Link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