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6월 1일 The Beatles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가 발매되었다고 하니 얼추 50년을 채워가고 있다. 반세기 전에 나온 음반이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여전히 귀에 착 감기는 명곡들로 빽빽이 들어차 있는 명반이다. 앨범 수록곡 중에 When I’m Sixty-Four를 들어보자. 자신이 64살이 되어도 밥은 먹여 달라는 화자의 넉살이 코믹스럽다. 이 음반이 나올 당시 십대였던 이들중 […]
[카테고리:] 문화
“몇 명의 사람이 감방에 실지로 갇혔나요? 제로.”
Matt Taibbi라는 작가가 “The Divide: American Injustice in the Age of the Wealth Gap,”이란 제목의 책을 내놓았다. 이 책에 대해 Democracy Now가 작가와 인터뷰를 가졌는데 흥미로운 부분을 약간 해석해 보았다. 이 인터뷰를 읽어보면서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것이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의 상처는 아직도 치유되지 않았다. 그 위기의 해소 과정에서 자행된 수많은 부조리는 정치적으로 […]
도널드 덕의 이미지 어떻게 전재할 것인가?
이야기의 줄거리와 이것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되는 삽화들 – 키만투가 디즈니 사의 허가 없이 실은 삽화들이기도 하다 –을 보면, 디즈니가 이들 나라 사람들이 한편으로는 순진무구하고 고귀한 야만인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정치 혁명 분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략] 따라서 이 책을 미국 내에서도 손쉽게 구입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했으나, 여기에 저작권 문제가 끼어들었다. [중략] […]
새로운 셀던 위기에는 무엇이 해법이 될 것인가?
“그러면 이게 내 조건일세. 자네는 경제적 매수 행위나 가전제품 무역 같은 서투른 정책을 버리고 우리 선조가 시험을 끝낸 외교 정책으로 되돌아가야 해.” “선교사를 보내서 이웃 나라를 정복하는 정책 말인가?” “맞아.” [중략] “셀던 위기란 개개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역사적 힘에 의해서 해결되는 거야. 해리 셀던이 옛날 우리 미래를 계획했을 때 그가 믿은 건 훌륭한 영웅이 아니라 경제와 […]
올해 읽은 중 인상적이었던 책들
올해가 아직 한 달 조금 넘게 남았지만 글 올리는 것도 뜸하고 해서 올해 읽은 책들 중에서 인상 깊었던 책 몇 권을 소개할까 한다. 대한민국 만들기, 1945~1987 : 경제 성장과 민주화, 그리고 미국 냉전 시기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에 대한 전문가인 그렉 브라진스키의 저서다. 저자 스스로도 좌우 어느 쪽으로부터도 환영받지 못할 것 같다고 말할 정도로 독특한 시각을 […]
The Wolf of Wall Street 오피셜 트레일러
마틴 스콜세지가 월스트리트에 관한 영화를 만들었다. 주연은 레오나도 디카프리오. 트레일러만 봐도 어떤 식으로 이 거리를 묘사하려는 것인지 대충 감은 잡힌다. 미국에선 11월 쯤 개봉한다니 우리나라도 그쯤이 될 듯. 올리버 스톤의 월스트리트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는 것도 재밌을 듯. 아~ 개인적으로는 좋아하는 배우인 조나 힐이 출연해서 더 반갑다. 오피셜트레일러
아무래도 가을엔 고전 스릴러에 빠져 지낼 것 같다
지난주는 레이먼드 챈들러(Raymond Chandler)에 푹 빠져 있던 한주였다. 회사 도서관에서 그의 대표작 ‘기나긴 이별(The Long Goodbye)’을 빌려 읽었는데, 책이 너무 낡아 너덜너덜한 탓에 정말 오랜만에 소설책을 돈 주고 구입하기도 했다. 처음 읽는 그의 저서이지만 이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로버트 알트만(Robert Altman) 감독의 동명 영화는 이미 본지라 전혀 낯설지는 않은 작품이었다. 술 한 잔 즐기기에도 피곤한 […]
Joe Strummer: The Future Is Unwritten
Punk를 정확히 언제 누가 발명(!)하였는지는 갑론을박이 있을 수 있겠지만 The Clash가 그 많고 많은 펑크밴드들 중에서도 가장 위대한 밴드들 중 하나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그 위대한 펑크밴드의 중심에는 Joe Strummer가 있었다. 영국 외교관의 아들로 태어나 터키, 멕시코 등을 돌아다며 컸던 Joe는 영국으로 돌아와 부모와 떨어져 그의 형과 함께 기숙학교에 다니며 험한 세상에서 살아남는 법을 배워야 […]
요즘 읽은 책들 단평
진정 회개할 곳은 교회다 스스로가 목사인 저자 권영진 씨가 한국 개신교계의 문제를 내부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책. 그는 성경을 근거로 하여 한국 개신교계가 어떻게 성경을 편의적으로 해석하였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교회의 일탈을 정당화하고 있는지를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다. “자본주의”의 비인간성에 대안을 제시해야 할 교회가 가장 “자본주의”적이 된 오늘날의 한국교회의 현실을 좀 더 선명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
재밌지만 씁쓸한 뮤직비디오 “나는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어요”
금융위기 이후 실업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하다. 이러한 실업의 특히 심각한 문제는 청년실업률이 여타 실업률보다 높다는 점, 그리고 “학력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는 점 등에 있다. 금융위기 태풍의 핵이었던 미국도 예외가 아니다. 미국의 2012년 청년실업률은 약 16%로, 국가 전체 실업률의 두 배 수준이다. 학력 인플레이션도 심각해서 학위가 필요 없는 직종에까지 학위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다보니 예전에는 한국과 일본에서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