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산업자본

“초당 6개 이상의 택배”를 토해내는 컨베이어벨트

StateLibQld 1 133053 Agamemnon (ship).jpg
By Item is held by John Oxley Library, State Library of Queensland., Public Domain, Link

노동강도의 증대는 같은 시간 내의 노동력 지출의 증가를 의미힌다. 그러므로 노동강도가 보다 높은 노동일은 노동강도가 보다 낮은 노동일에 비해서, 비록 각각의 노동일은 같다고 하더라고, 더욱 많은 양의 생산물로 체화된다. [중략] 그리하여 노동일의 길이가 불변인 경우, 강도가 높아진 하루의 노동은 증대된 가치로, 그리고 [화폐가치가 불변인 경우에는] 더욱 많은 화폐로 나타날 것이다. 1노동일에 창조되는 가치는 그 강도가 사회적 표준강도로부터 이탈되는 정도에 따라 변동한다. 그리하여 주어진 노동일은 이제는 더이상 불변의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가변의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다.[자본론 I하, Karl Marx 저,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1994년, p659]

칼 맑스는 매뉴팩쳐 시대에서 대공업 시대로 넘어가는 19세기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자본가가 어떻게 노동자로부터 잉여가치를 창출해내는가를 밝히기 위해 자본론을 집필하였다. 맑스는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자본을 불변(不變)자본과 가변(可變)자본으로 분류한다. 그는 대공업 시대에 등장한 기계라는 생산수단은 기계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가치를 가감 없이 생산물에 이전하는 불변(不變)자본으로 기능하는 반면, 노동력이라는 상품은 필요노동보다 더 많은 잉여노동을 생산물에 체현하는 가변(可變)자본으로 기능한다고 보았다. 이 상황에서 자본가는 시장의 경쟁에서 이기고자 “사회적 표준강도”를 초과하는 노동강도로 노동력이라는 상품을 쥐어짠다.

오후에 트럭이 도착하자 컨베이어벨트가 택배를 울컥울컥 토해내기 시작했다. 초당 6개 이상의 택배가 눈앞을 지나갔다. “하나씩 들고 옮길 시간 없어. 그냥 던져요, 빨리!” 지시와 함께 박스가 날아다니기 시작했다. ‘취급주의’, ‘위험’, ‘유리’ 등 경고문을 신경 쓸 여력이 없었다. 1초의 휴식시간도 없이 작업은 이어졌다. 분류 파트에 있던 노동자가 다리가 아팠는지 탁자에 걸터앉자 관리자의 불호령이 떨어졌다. “작업장에서 앉는 거 아니에요. 일어나세요.” 작업의 종료를 알린 건 관리자도, 시계도 아닌 컨베이어벨트였다. 주간 물량을 마감하는 오후 5시 30분이 되자 컨베이어벨트가 작동을 멈췄다. 컨베이어벨트가 돌아가는 4시간 반 동안 휴식시간은 0초였다.[“이곳은 21세기 막장”···기자 5인이 뛰어든 쿠팡 물류센터]

“초당 6개 이상의 택배”를 토해내는 컨베이어벨트는 맑스의 분류에 따르면 불변자본이다. 컨베이어벨트는 우직하게 기계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가치를 아낌없이 배송물에 이전한다. 또 한편으로 기계는 자신과 공동으로 작업을 하고 있는 노동자, 즉 가변자본의 보다 많은 가치 창조를 위해서도 최선을 다한다. 즉, 기계는 노동자가 잠시도 앉아서 쉴 틈이 없을 정도로 높은 노동강도로 작동하여 같은 노동일에 더 많은 가변의 가치를 창조하게끔 하는 것이다. 분류가 빨리 끝나면 배달을 빨리할 수 있고 [화폐가치가 불변인 경우에는] 더욱 많은 화폐로 나타날 것이다. 또한 사회적 표준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배달을 하면 업계의 시장점유율도 높아질 것이다.

노동시간의 강제적 규제를 공장주에 대하여 노동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며 도매상에 대하여 공장주 자신을 보호하는 것으로 보는 런던의 한 공장주는 다음과 같이 발한다. “우리 사업에 대한 압력은 수출업자들 때문에 일어난다. 왜냐하면 그들은 범선으로 상품을 발송하여 일정한 계절이 시작될 때 목적지에 도착하게 하여, 범선과 기선 사이의 운임의 차액을 착복하려고 노력하거나, 또는 그들이 경쟁자들보다 먼저 외국시장에 나타나려고 두 개 기선 중 빠른 편을 택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아동노동 조사위원회 제5차 보고서 p117, 자본론 I하 p605에서 재인용]

사실 자본론은 상당 부분 산업자본에 대해서 다루고 있고 쿠팡과 같은 유통자본에 대한 서술은 많지 않다. 하지만 인용문에서도 보다시피 유통자본은 당시에도 공장주를 닦달할 만큼 노동강도에 대한 욕망이 강했다. 우리는 유통자본이 운임의 차이로 인한 차액, 빠른 도착을 통한 시장 독점 등의 욕망이 있었기에 공장주로 하여금 노동시간을 늘리도록 강요하였다는 사실을 그의 증언을 통해 알 수 있다. 최근의 일련의 사태를 보며 우리는 오늘날 플랫폼 경제 시스템 속에서도 유통자본의 이런 욕망이 크게 식지 않았음을 잘 알 수 있다. 오히려 컨베이어벨트나 AI와 같이 제조업을 흉내낸 최신 기계의 도입으로 노동강도에 대한 욕망은 더욱 집요해지고 조밀해졌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동걸 원장의 이임사 中에서

“여러 가지 사례를 들 필요도 없습니다. 현 정부가 금과옥조처럼 여기는 금산분리 완화정책을 살펴봅시다. 재벌에게 은행을 주는 법률 개정안을 어떻게 ‘경제살리기 법’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까. 어떻게 ‘개혁입법’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까. 그것을 어떻게 국제적 조류라고 감히 주장할 수가 있습니까. 어떻게 우리나라가 전세계에 유래가 없을 정도로 금산분리가 가장 철저한 나라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까. 정부의 주장과는 달리, 그리고 일부 보수집단 금융이론가들의 주장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전세계 선진국에는 유래가 없을 정도로 산업자본의 금융지배가 가장 많이 허용된 나라입니다. 그 폐해도 가장 많이 경험한 나라입니다.

여러분들은 외국의 경우 은행이든 증권사든 보험회사든 산업자본의 지배 아래 있는 세계적 금융기관을 보신 적이 있습니까. 제가 과문해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아직 산업자본의 지배 아래 있는 세계적 은행, 세계적 증권사, 세계적 보험사의 예를 듣지도 보지도 못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은행을 제외하면 증권, 보험 등 제2금융권의 주요회사들은 거의 대부분 산업자본 즉, 재벌의 지배 아래 있습니다. 이래도 저희 나라가 전세계에서 금융과 산업이 가장 철저히 분리된 나라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불행히도 재벌의 지배 아래 있는 우리나라의 증권사, 보험사들은 비록 국내시장에서는 1류 행세를 하지만 국제시장에서는 2류, 3류 수준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재벌의 소유를 금지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증권사, 보험사가 세계시장에서 2류, 3류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래도 재벌의 은행소유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금융산업이 국제적인 수준으로 발전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습니까. 그렇게 주장하기 전에 우선 재벌들은 자기들이 소유한 증권사, 보험사를 국제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금융사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은행을 재벌에 주어야 한다는 주장은 마치 프리메라 리그의 꼴찌 축구팀에게 야구를 하도록 해주면 월드시리즈 챔피언이 될 거라는 주장과 다르지 않습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경제이론을 내세우기도 전에 이런 평범한 상식적 결론을 현 정부는 왜 진솔하게 인정하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저희 연구원으로서는, 그리고 저 개인으로서도 — 원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금융학자로서 — 정부의 금산분리 완화정책을 합리화할 수 있는 논거를 도저히 만들 재간이 없습니다. 정부의 적지 않은 압력과 요청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동걸 원장의 이임사 中에서(2009년 1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