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액션

Mad Max : Fury Road 感想文

WARNING 스포일러 만땅

A man muzzled, standing and pointing a gun in one direction. A woman crouched beside him pointing her gu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itle in large letters fills background.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http://www.impawards.com/intl/australia/2015/mad_max_fury_road_ver13.html, Fair use, Link

2015년 여름 영화팬들에게는 뜻밖의 선물이 안겨졌다. 1970~80년대를 풍미했던 Mad Max 시리즈의 4편이 나타난 것이다. 게다가 전편보다 더 강력한 하드코어 액션과 탄탄한 시나리오, 그리고 시대선도적인 페미니즘 세계관까지 얹어져서 그야말로 ‘정치적으로 올바른 말초신경 자극 헤비메탈 무비’가 탄생하여 최고의 수작으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일흔이 되신 조지 밀러 님께서 이 정도의 박력과 진보적인 세계관으로 무장하고 계신 것을 보니 나이 탓만 하고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는 내 자신이 부끄러워질 따름이다.

지금 온라인에서는 “이 영화는 페미니즘 영화다”, “아니다. 너희들의 오버이고 페미니즘 영화가 아니다”, “국내의 얼치기 꼴페미와는 다른 진짜 페미니즘 영화다” 등 페미니즘 함유량을 두고 말이 많지만 이 글에서 그 논쟁에 숟가락을 얹을 생각은 없다. 다만 예술이란 사회적 맥락과 수용자의 시각에 상호 조응하여 메시지가 전파되거나 발전하기 때문에 기계적 규정화는 큰 의미가 없다는 의견을 말해두고 싶다. 발표 당시에는 여성 해방적 메시지를 담고 있던 ‘오만과 편견’이 오늘 날에는 로맨틱 코미디가 된 것이 그 좋은 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페미니즘 영화’의 테두리에 두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그 장르를 뛰어넘는 ‘로드 무비’로서의 미덕을 살펴보고 싶다. “분노의 도로”라는 부제가 붙은 만큼 이 영화는 길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그 여정 상에서 캐릭터들이 정신적으로 성장하게 된다는 로드 무비 고유의 본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희한하게 뭉친 구성원들은 서로 반목하고 조력하다가 어느덧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스스로의 정신적 굴레로부터도 치유된다. 그러한 면에서 영화는 ‘스탠바이미’나 ‘델마와 루이스’와 닮아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임모탄 조의 씨받이” 중 막내인 치도를 들 수 있다. “The Fragile”이라는 예명이 붙을 만큼 연약해서 탈출을 포기했다고 했던 그녀는 급기야 사령관 퓨리오사가 임모탄 조를 처치하는데 도움을 줄만큼 성장하게 된다. 맥스 역시 여정을 통해 마음의 치유를 받는다. 환상으로 나타나던 딸의 모습은 그를 옳은 길로 인도하고 최후에 미소 짓게 만든다. 이미 없어져 버린 “녹색의 땅”을 찾아 헤매고 소금사막을 건너려던 퓨리오사는 결국 시타델로 돌아가자는 맥스의 조언을 수용하며 고통을 우회하지 않고 직시하게 된다.

시타델을 탈출했다가 결국 무수한 희생을 치르면서 다시 원점인 시타델로 돌아온 꼴이 되고 말았지만 – 게다가 그들의 접수한 권력을 어떻게 써먹을 것인지에 대한 궁리도 없지만 – 정신적으로는 모두들 성장하고 치유를 받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여정이었다. 그리고 시타델로의 회군은 개개인의 성장이 일반대중으로까지 전파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발전적이다. 또한 부발리니 여전사 할머니가 보관하고 있던 씨앗이 시타델에 온전히 옮겨졌다는 점에서, 그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희망을 품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덕을 갖추고 있는 영화지만 또한 영화의 액션에 대한 상찬을 빼놓을 수는 없다. 우리는 이 영화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올바름’이 영화가 고유하게 지니고 있는 풍성한 액션으로 멋지게 포장되어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무성 영화가 우리가 현재 쓰는 영상언어 문법을 만들어냈다고 믿는다”고 감독이 이야기했듯이 이 영화는 자질구레한 배경 설명을 과감히 생략하고 그 시간을 액션으로 채워 넣었다는 점에서 무성영화의 미덕을 성실하게 재현하고 있다. 특히 감독이 언급한 버스터 키튼의 작품 중에서 ‘The General’과 닮았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는 ‘텔마와 루이스’와 ‘The General’을 오버랩시킨 영화다.

살파랑 (殺破狼 SPL, 2005)

피비린내와 살 냄새 진하게 나는 ‘싸’나이들의 홍콩 느와르 액션영화다.

영화는 처절한 교통사고현장을 비추면서 시작된다. 암흑계의 거두 왕보(홍금보)를 평생 감옥에서 썩게 할 재판의 중요한 증인이 탄 차였다. 증인과 그의 부인은 즉사하였고 함께 타고 있던 형사 진국충(임달화)과 증인의 딸은 살아남는다. 왕보는 결국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나고 진국충은 뼈를 깎는 분노에 떨며 복수를 다짐한다. 그로부터 3년후, 암으로 시한부 인생을 살고 있는 진국충의 공직생활도 얼마 남지 않고 팀장 직도 새로 부임한 마장관(견자단)에게 건네줄 판이다. 그 와중에 그들이 왕보의 조직에 심어두었던 형사가 살해당한 채 발견되고 이를 몰래 찍은 필름을 손에 얻게 된다. 하지만 불행히도 왕보의 폭행 장면에 이어 결정적인 한 방은 다른 하수인의 짓임을 알게 된다. 왕보를 살인죄로 잡아넣기 위해 진국충 팀은 증거를 조작하려 시도하고 이를 안 마장관은 그들과 충돌한다.

이 작품은 확실히 보다 진보한 홍콩 느와르 액션의 현 주소를 말해주고 있다. 많은 영화에서 조연과 조감독으로 잔뼈가 굵은 엽위신 감독은 블루톤의 현란한 영상, 유려한 선의 호쾌한 무술, 군더더기를 배제한 명확한 갈등구조(그래서 어설픈 면도 있지만), 이를 받쳐주는 다소 과장되고 연극적이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극의 호소력을 불어넣는 연기 등을 총지휘하며 탐미주의적인 액션 영화의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특히 견자단의 박력 넘치면서도 물 흐르듯 유연한 무술연기는 정말 오랜만에 브르스리의 포쓰가 느껴질 정도로 매력만점이다. 프라이드, UFC 등 신종 격투기의 세계에 익숙한 이들이라면 그와 홍금보, 오경 등이 벌이는 이종격투기를 결합한 현란한 무술연기에 환호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막판에 상상을 초월하는 반전은 다소 작위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지만, 그럼에도 잠시 멍해질 정도로 충격적이고 감독의 삶에 대한 철학을 어렴풋이 느낄 수 있는 장면이다. 2005년 개봉되어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을 거두었고 2편까지 제작되었다.

The Bourne Ultimatum(2007)

The Bourne Ultimatum (2007 film poster).jpg
The Bourne Ultimatum (2007 film poster)” by International Movie Poster Awards (Direct link). Licensed under Wikipedia.

아마도 개인적으로 시리즈로 개봉된 영화중에서 유일하게 모든 작품들을 개봉관에서 감상한 케이스가 아닌가 싶다. 제목도 ‘본 : 최후통첩(The Bourne Ultimatum)’인데다가 이제 그 없이 다른 Jason Bourne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확실히 팬들의 뇌리에 자리 잡은 Matt Damon이 더 이상의 Bourne은 없다고 선언했으니 더더욱 그러하다.

Robert Ludlum의 베스트셀러에 기초하긴 했지만 기억을 잃은 스파이라는 기본줄기만을 남겨두고 새롭게 각색되어 2002년 개봉되었던 The Bourne Identity는 나름 신선한 매력이 있긴 했지만 그저 이전의 007유의 블록버스터형의 스파이 물과는 다른 안티히어로형의 스파이물이 등장했다는 – 선배 Harry Palmer가 있긴 하지만 – 사실만 인지시키는 수준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어떤 면에서는 Geena Davis가 호쾌한 액션을 선보였던 1997년작 The Long Kiss Goodnight의 남성 버전 정도가 아닌가 생각도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2004년 개봉된 The Bourne Supremacy는 이러한 ‘짝퉁’ 의혹을 일소한 청출어람의 속편이었다. 전편이 고뇌하는 Jason Bourne이 자신의 정체도 몰라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이제 이 작품에서는 악이 오른 Bourne의 액션이 제대로 펼쳐지기 때문이다. 특히 느닷없는 연인 Marie의 초반의 비명횡사는 Bourne뿐만 아니라 관객들까지 황당했을만한 과감한 시도였고, 이 뼈아픈 분노가 Bourne의 전투력을 몇배 증가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2007년 개봉된 The Bourne Ultimatum은 이전의 두 작품 모두를 합친 것보다 더 강렬한 액션씬을 선보이며 Bourne 시리즈의 종결을 자축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자신이 킬러였다는 사실을 깨달은 한편으로 이를 후회하는 Bourne의 방어적인, 그럼에도 전광석화 같은 무술솜씨가 관객들에게 묘한 쾌감을 불러일으킨다. 화장실에서 한때 동료였을 암살자를 목 졸라 죽이고 나서 순간적으로 비치는 그의 자괴감 섞인 표정은 ‘살인면허’가 있다고 자랑하던 007시리즈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Bourne 시리즈만의 장점이기도 하다. 또 한편으로 이전 작품과 같이 첨단무기와는 거리가 먼 Bourne의 임기응변적인 무기를 보는 것도 매력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매력적인 요소는 바로 마치 현장에 있는 것같은 착각이 느껴질 만큼 긴박감 넘치는 핸드헬드 영상으로 잡아낸 각종 추격장면이다. 런던의 워털루역, 모르코의 탕헤르, 그리고 뉴욕 한복판에서 펼쳐지는 추격신은 완급의 조절이 완벽하게 이루어진 명장면들이다. 사실 거의 모든 장면들이 핸드헬드로 찍은 것들인데 출연진들의 대화장면에서 흔들거리는 숄더샷 너머로 비춰지는 반쯤 가린 얼굴과 같은 장면들은 숨 가쁜 액션씬에 감추어진 또 다른 감칠맛 나는 볼거리이기도 하다.

‘궁극적으로’ 이 영화가 스파이물의 걸작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미덕은 아이러니칼하게도 스파이물 자체에 대한 ‘수정주의적인 자기성찰’이다. 냉전이 끝나 자본주의가 전 세계를 지배하는 작금의 현실에서 북한이나 이란 같은 몇몇 잔챙이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현존하고 분명한 위험’을 찾기 어려운 이 시점만큼 Bourne과 같은 캐릭터가 어울리는 시점이 있을까싶을 정도다. 그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외부의 적이 아닌 내부의 적을 향해 이빨을 드러냈고 그 결과 자신의 전 직장 CIA의 불법적인 암살 작전의 거대한 음모를 밝혀내고 만다.

한때 드러내놓고 자랑삼아 사람을 죽이던 스파이물들이 모두 이 작품에서 까발려지는 불법적인 블랙브라이어 작전의 일환이거나 짝퉁임이 밝혀졌으니 이건 흡사 마술사의 영업상의 기밀인 마술 속임수를 공개한 거나 진배없다. 그리고는 Bourne은 깨끗이 양심선언 해버렸으니 어찌 보면 이 작품은 Bourne 시리즈의 종결뿐 아니라 스파이물의 종결까지도 선언해버린 것이다. Clint Eastwood가 서부영화 가게 문을 닫게 한 장본이라면 Matt Damon은 스파이물의 가게 문을 닫게 하는 장본인이 될 확률이 농후해졌다. 지난번 Syriana까지 연타석 홈런이다.

결국 Sunday Bloody Sunday 등 사회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해오던 영국 감독 Paul Greengrass가 헐리웃에 건너와서 맡은 장르가 흥미롭게도 스파이물이었는데 그 작품이 오히려 장르의 해체를 주장하는 꼴이니 딴에는 그가 트로이의 목마일지도 모를 일이다. 헐리웃 스파이물을 무력화시키라는 특명을 받고 온 영국 ‘스파이’ 감독. -_-;; 비록 본인은 상업적 장르니만큼 정치적인 의미는 부여하지 말라고 했지만 그 멘트 또한 정치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정도로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는 적어도 장르적으로는 심각하다는 생각이다.

어쨌든 이번 Bourne 시리즈는 역대 Bourne 시리즈 중에서도 최고의 흥행성적을 세웠으니 당연히 제작사 입장에서야 당연히 다음 편 욕심이 날 터인데 그게 그리 쉬울지는 잘 모르겠다. Jason Bourne 이 다른 누군가의 얼굴로 성형수술을 하고서 활동한다는 The Bourne Surgery 정도가 나오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렇게 되면 시리즈 모두를 극장에서 본 개인적인 기록은 깨지겠지만….

* 엔딩타이틀에 흐르는 Moby의 Extreme Ways는 최고의 엔딩곡 중 하나이다. 마치 화룡점정과 같은 곡이었다. 한편으로 Moby의 곡이 주제곡이라는 사실은 좀 비틀어 생각하면 의미심장하기도 하다. Moby는 사회비판적인 메시지의 곡을 자주 선보여 한때 그의 곡들은 ‘사회비판적인 이들이 죄책감 없이 클럽에서 춤출 수 있는 춤곡’이라는 평을 듣기도 했다. 그러니 ‘사회비판적인 이들이 죄책감 없이 극장에서 스파이물을 감상할 수 있는 영화’에 이 이상 딱 어울리는 아티스트가 있겠느냐 말이다.(비틀어도 너무 비틀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