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창업

많이 빌리고, 적게 벌고, 빨리 망하는 한국의 자영업자들

지난 번 글 ‘생계형 창업의 탑클래스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 자영업의 현실’에서 살펴본 것처럼 우리나라는 자영업 창업자들 중 “생계형 창업” 비중이 41.5%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높다. 이는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라는 단체에서의 조사치에 근거한 것이었는데, 이 보고서의 정의에 따르면 생계형 창업이라 함은 “다른 노동의 선택권이 없고 소득원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하는 바, 바람직한 창업 유형이 아님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의 비중은 어느 정도나 될까?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말 현재 28.2%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OECD 평균 15.9%를 크게 상회하고, 순위로는 OECD 가입국 중에서 터키, 그리스, 멕시코에 이어 4위다. 이렇게 높은 수치는 “1 인당 국민소득이 높은 국가일수록 낮게 나타”난다는 보고서의 지적에서도 알 수 있듯이 취업구조의 건전성 측면에서 그리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중과 생계형 창업 비중을 곱하면 11.7%로 거칠게 보았을 때 우리나라 취업자 중 이 정도가 생계형 자영업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이 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인 것은 KB의 보고서에서도 잘 알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사업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3.4년, 생존비율은 24.6%에 불과”하다. 휴폐업률이 높은 업종은 주점, 정보통신, 음식점 등으로 역시 생계형 창업자가 더 열악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이 휴폐업을 하지 않고 영업을 계속한다 하더라도 경제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 KB의 보고서가 재인용한 중소기업청의 2010년 ‘전국 소상공인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소상공인” 중 57.6%가 월평균 수익 100만 원 이하의 영세사업자다. 총부채 규모는 평균 8,455만원으로 전체 평균 5,205만원에 비해 1.6배 높다. 결국 우리나라 자영업자들은 상용 노동자에 비해 더 많이 빌리고, 더 적게 벌고, 더 빨리 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른 글 ‘경제민주화의 핵심은 박정희 체제의 종식’에서 지적한 것처럼, 이렇듯 한계상황에 놓인 자영업자들은 정부의 주요 경제수치인 실업률 산정에서 엄연히 취업자로 계상되어 일종의 실업률 착시현상을 초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즉, 다른 나라에 비해 자영업자 비중이 높고, 생계형 창업의 비중이 높고, 경제상황이 열악함에도 경제수치 상으로는 엄연히 취업자로 분류되며, 나라 전체적으로 낮은 취업의 질이 윤색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한편 자영업자의 영업은 왜 부진할까? KB의 보고서는 “창업 준비 부족, 업종 쏠림 현상, 부채 및 고정비 부담” 등을 지적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여기에 대기업의 프랜차이즈에 의한 경쟁력 약화를 더하고 싶다. 확실히 길거리만 둘러봐도 최근 몇 년간 전통적인 골목상권에 대한 대기업의 공세는 강화되었다. 이에 새로운 창업자들은 프랜차이즈에 속하기 위해 또는 그에 맞서기 위해 부채 및 고정비 부담이 늘고, 돈은 더 적게 벌 개연성이 크다.

드문드문 ‘시장에서 새우젓 파시는 할머니가 대학재단에 XX원을 기부했다’ 유의 미담이 기사화되곤 한다. 그런 기사를 보면 돈을 많이 버신 것이 신기하기도 하고, 그 돈을 욕심 없이 기부하신 것에 내 좁은 마음이 부끄럽기도 하다. 한편으로 과연 이제 밑천 없이 하는 그런 자영업으로 그 돈을 벌 수 있는 시대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몇 억 들여 프랜차이즈 빵집을 내도 알바를 쓰면 남는 돈이 없다고 하는 괴담도 간혹 들리기 때문이다.

“생계형 창업”의 탑클래스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 자영업의 현실

Think Progress 라는 매체에서 “더 많은 미국인들이 생계를 위해 창업하고 있다”는 기사를 웹사이트에 올렸다.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이하 GEM)라는 단체에서 각 나라에서의 창업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았는데, 이를 기초로 작성한 기사다. 미국경제가 갈수록 좋지 않은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비관적인 내용인데, 정작 내 눈을 잡아끄는 것은 우리나라의 “생계형 창업” 수치였다.


출처
 

이미 엄청난 실업예비군을 자영업자 수치에 감춰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나라답게 기사의 그래프 상으로는 1위다. 창업의 41.5%가 이른바 “생계형 창업”이다. 다만, 기사가 인용한 GEM의 보고서를 살펴보니 조사대상 54개 국가 중 1위는 아니고 5위였다. 우리를 앞서는 국가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이란, 폴란드, 파키스탄 등이었다. 경제수준을 감안할 때는 역시 우리나라가 여타 유사수준 국가에 비해 높은 셈이다.

다른 한편으로 인상적인 수치는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와 같은 북구 사민주의 국가들의 수치다. 이들 나라의 수치는 “생계형 창업” 수치가 4~7%대에 머물고 있다. 이들 나라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잘 정비된 사회안전망, 적절한 실업자 대책, 높은 노조조직률 등 기업 내의 노동자로서의 삶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타 국가에 비해 매우 낮은 창업비율은 이러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이 보고서가 정의하고 있는 “생계형 창업”은 창업자들이 “다른 노동의 선택권이 없고 소득원이 필요한(have no other work options and need a source of income)” 경우를 의미한다. 결국 이러한 창업은 사회적인 노동 시스템에서 비자발적으로 내쫓긴 이들이 그만큼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수치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그 국가의 노동에 대한 안전망이 후진적임을 의미한다.

전후 현대 자본주의의 발전은 노동의 대규모 집적, 노동자의 정년보장 또는 실업대책 강구, 은퇴 후 연금지급 등의 사회적 약속을 통해 노동자들이 안심하고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시스템을 통해 가능했다. 그런데 이제 이 나라는 그 궤도에서 벗어나 비정규직의 증가, 정규직의 조기퇴직, 전반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구직난에 직면해 있고, GEM의 조사결과가 그러한 과정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그러한 점에서 이번 대선에서 뽑힐 차기 정권이 노동 이슈에 대해 어떠한 자세로 접근하느냐가 향후 우리나라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여태 하던 식으로 실업자의 상당수를 “생계형 창업”의 집단에 꼬불쳐 두고, 불안한 고용의 실상을 무시한 채 실업률이 낮다고 우긴다면 노동의 질은 계속 낮아질 것이고, 이 사회는 점점 더 살벌한 정글 자본주의로 퇴색해 갈 것이다.

Social Network를 보고..

남자들은 여자에게 차일 때 어떤 반응을 보일까? 보통 굉장히 찌질해진다. 평소에는 유치하다고 듣지도 않던 사랑 노래가 갑자기 내 사연이 되어버리고, 술 마시며 그녀의 휴대전화로의 통화버튼을 누를까 말까하고, SNS에서 들어가서 그녀가 나 때문에 괴로워하지는 않는지 살펴본다. 가장 찌질한 경우는 그녀의 SNS에 가서 친구신청을 하는 경우인데 바로 영화 소셜네트워크에서의 마크 주커버그가 그 경우에 해당된다.

하지만 그 점을 제외하고는 마크의 행태는 다른 평범한 찌질이의 그것과 큰 차이를 보이는데, 그는 실연의 에너지를 창업의 원동력으로 썼다는 점이다. 극적반전을 위해 허구가 뒤섞인 면이 적지 않겠지만 어쨌든 희대의 기업가인 마크는 – 적어도 극중에서는 – 여자한테 차였다고 술 먹고 찌질거리는 대신 교내 여자들의 사진을 비교하는 사이트 facemash.com을 만드는 geek적인 찌질함으로 슬픔을 승화시킨다.

결국 엄청난 트래픽때문에 학교의 네트웍을 마비시킨 죄로 처벌을 받기는 하지만 이를 계기로 이상한 이름의 엄친아 쌍둥이 형제를 만나 세상을 바꿀 그 어떤 아이디어를 제공받게 된다. 바로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고 같이 교류하는 소셜네트워크 사이트를 만든다는 아이디어. 마크는 결국 이 아이디어를 가지고 – 쌍둥이 형제는 생까버리고 – 그의 친구 왈도와 함께 작업하여 TheFacebook.com을 런칭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냅스터의 창시자 숀파커가 끼어들면서 마크와 왈도의 우정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서로 궁합이 맞지 않았던 숀과 왈도, 그 과정에서 서서히 왈도가 권력 밖으로 밀려나기 시작한다. 결국 마크는 페이스북의 엄청난 성공으로 부와 명성을 얻지만 이름이상한 쌍둥이 형제와 왈도를 적으로 돌리게 되고 엄청난 금액의 송사에 시달리게 된다. 영화는 이러한 현재와 과거를 교차하여 보여준다.

영화를 보는 내내 드는 생각은 오늘날 인터넷 라이프에 큰 영향을 차지하는 페이스북의 역사가 불과 7년 전에 한 찌질한 청년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사실이었다. 어떤 자본주의적인 기업가 정신도 없지 않았겠지만 결국 마크를 그 짧은 시간에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은 창업으로 이끈 그 어떤 다른 동기 – 실연으로 인한 정욕? 열정? 단순한 재미? – 는 도대체 어떤 경영학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할까하는 의문이었다.

물론 적지 않은 부분이 픽션이 섞여있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 영화지만 상당수의 혁신이 이와 유사하게 – 그만큼 극적이지는 않더라도 – 전혀 예상치 못한 상태에서, 또는 어떤 예상했던 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으로 발전하여 왔다는 사실에서, 때로 나는 역사에 특히 경제사에 있어 역사적 합법칙성에 의한 선형적 발전에서 때로 궤도를 심각하게 벗어나는 비선형의 그 어떤 경향에 대해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특정 기업의 성공에 있어서는 그러한 경향이 적지 않음에 주목해야 한다. 만들기만 하면 척척 팔리는 것이야 교과서적인 상황이고 – 아니지 마르크스도 생산물이 상품으로 전환하기 위해선 “필사의 도약”을 해야 한다고 했던가? – 실제로는 어떤 티핑포인트에 도달하기까지 영화에서와 같은 수많은 좌절과 운이 작용해야 하는 것이다. 그 성공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대개 사후적으로 인정이 될 뿐이다.

그래서 나는 아직 창업을 못하고 있다. 천재도 아니고 새가슴인 관계로… (돈도 없다)

왜 신생기업은 망하는가?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전문가의 조언

Forbes 의 최근 기사 Why Your Start-up Will Fail 에서는 인터넷 기업들의 생존전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간단히 그 글의 요약을 싣도록 하겠다.

한 연구에 따르면 신생기업의 3분 2만이 2년 이상을 살아남는다고 한다. 그리고 그 절반 이하만이 4년을 버틴다고 한다. 무엇이 이렇게 신생기업들의 생존을 어렵게 하는 것일까? Forbes 의 최근 기사에 따르면 ‘집중의 결여’라고 한다.

즉 신생 기업가들은 한 번에 너무 많은 문제를 풀려하거나 너무 많은 기회를 추구하려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는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한 채 주저앉고 마는 것이다. 그러면 왜 이렇게 기업가들은 의욕에 넘치는 것일까? 그것은 그들이 역설적으로 너무 의욕적이기 때문이라 한다. 그들은 몽상가이기 때문에 어떠한 제약이나 제한은 자연스럽지 못한 것이다.

우선 하나의 아이디어를 완벽하게 하라(Perfect One Idea First)

Kiko라는 인터넷 기업은 2005년 의욕적으로 첫발을 내딛었다. 이들의 온라인 칼렌다 서비스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언론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았다. 그런데 1년 후 회사는 이베이에 25만 달러에 매물로 나왔다.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많은 이들은 Google의 새로운 칼렌다 서비스가 Kiko의 몰락을 재촉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회사의 설립자와 투자자에 의하면 그들은 그들의 상품에 집중하지 못하였다는 사실이 더 큰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투자자 Paul Graham은 “Kiko는 회사의 설립자들이 다른 프로젝트에 수개월의 시간을 낭비하면서 죽어가기 시작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그는 “만약 그들이 그 대신 Kiko에 집중하였더라면 Google에 대항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많은 문제를 한 번에 풀려하지 마라(Don’t Attack Too Many Problems At Once)

TiVo라는 회사는 영화에서 음악에 이르는 홈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웍을 구축하고 싶어 했다. 곧 회사는 그들의 매력적인 셋탑 박스가 인스톨하기에 복잡하여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회사는 우선 하나의 killer application에 집중하기로 하고 이후에 그것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그 ‘killer application’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나 DVR 이었고 TiVo의 현재 시장 점유규모는 6억달러에 달한다.

진정한 기회를 밝혀내라(Identify The Real Opportunities)

유명한 사진 공유 사이트 Flickr 은 처음에 “Game Neverending”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이라는 전혀 다른 컨셉으로 시작하였다. 곧 제작자들은 사진 공유 개념에 눈뜨기 시작하였다.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낼 시간과 자원이 없다는 것을 깨달은 제작자들은 Flickr으로 그들의 노력을 집중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그들은 성공한 기업이 되었다.

당신이 잘하는 것에 집중하라(Stick To What You’re Good At)

그렇다. 세계는 기회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돈을 버는 길은 당신이 경쟁자보다 더 잘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Dell 컴퓨터, 홈디포, 베스트바이 같은 기업들은 하나의 간단한 개념을 기초로 성공적인 프랜차이즈를 구축하였다. “한 가지에 잘 하라”

고등학교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을 기억하라. “간단하게 생각해. 멍청아.”

관련기사
http://www.forbes.com/home/entrepreneurs/2007/09/24/yahoo-google-tivo-ent-manage-cx_ws_0924startupfailur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