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홈페이지

인터넷 진화에 대한 단상

인터넷이 생긴 이래, 그중에서도 특히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이 보편화된 이래 많은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또 사라지고 있다. 초기를 생각해보면 지금은 거대기업이 된 각종 사이트들도 정말 단출하다 할 정도의 서비스들을 제공했었다. 당시 대표적 인터넷 기업인 야후는 어찌 보면 검색엔진이라기보다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가까웠고, 지금은 우리나라의 최대 포탈이 되어버린 네이버도 초기 모습은 지극히 단순했다. 공짜 이메일과 공짜 홈페이지 제공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서비스였다.

그 뒤 블로그라는 전달방식이 생기면서 이전의, html을 직접 짜는 등 기술적인 숙련이 어느 정도 필요하고 포털이 제공하는 레이아웃에 의존해야 했던 ‘홈페이지’에서 좀 더 사용이 용이하고 독립적인 개인 미디어가 생겨났다. 여전히 홈페이지에서 보던 신변잡기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미디어라는 자각 역시 보다 강화되면서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매체가 되었다. 한편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블로그마저도 귀찮게 여기던 수많은 개인들이 엮여서 거대한 무리를 이루게 되었다.

요컨대 지금은 기업형 포털이나 SNS, 그리고 그 서비스에 의존하거나 또는 독립된 개인 미디어들이 공존하면서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단계로 여겨진다. 사실 포털에 대한 이슈 독점이나 SNS 거대화에 따른 폐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특히 페이스북)도 있지만, 확실한 것은 인터넷 초기,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공급되어왔던 콘텐츠가 이제는 개인들의 활발한 참여(블로깅, 트윗 등)가 있고 그것들이 상호 링크되는 기능이 제공되면서, 어느 정도 대중의 목소리도 높아져가는 과정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신용위기 이후 각국의 대중시위에 블로그, 유투브, 그리고 SNS가 적극적으로 이용되는 상황인데, 비록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역시 개별 자본으로서 그들이 인민의 편에 서있달 수 있는 그 어떤 증거도 없지만,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인민에게 일종의 대자보와 같은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좀 더 활발한 대중운동의 한 축을 담당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지배계급은 그러한 현상에 크게 당혹하며 SNS 친화적으로 거듭나겠다고 하고 선언하기도 하는데 이는 매체의 특성을 모르는 코미디에 가깝다.

결국 과거에는 일종의 신변잡기와 같은 역할을 했던 홈페이지가 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블로그로 진화하고, 자유게시판과 같았던 댓글 기능이 댓글 그 자체가 또 하나의 콘텐츠가 되는 트위터 등으로 진화하고, 또 이것들이 공유 버튼 등을 통해 상호교류하면서 그 창시자들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을 거대한 지식이나 의식공유의 생태계를 만들어나가고 있는 셈이다. 정리되어야 할 주제에 대한 저장고 기능을 담당하는 블로그, 순간적이지만 놓쳐선 안 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SNS의 조화로운 역할분담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p.s. 어제 트위터에서 시청 앞 한미FTA 반대시위에 경찰이 물대포를 쏘는 악랄한 탄압을 생중계하는 동안, MBC 9시 뉴스는 저 멀리 이집트 시위 소식을 전하고 있었다 한다. 이쯤 되면 미디어 전쟁이다.

SNS 이용자들을 위한 팁 하나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개인의 발언권’은 가히 혁명적이라 할 만큼 신장되었다. 비록 온라인 내로 국한된 것이기는 하지만 이전에 소위 매스미디어가 독점하고 있던 발언에 대한 공표(publish)가 엄청나게 싼 비용으로 가능해졌고, 월드와이드웹의 이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그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도 증가되어왔다.

되돌아보면 처음엔 조악한 형태였다. 지금은 블로그로 일반화되어 있는 개인화 페이지의 효시는 소위 ‘홈페이지(homepage)’였다. 지오시티스(geocities.com)가 무료 홈페이지 호스팅 기능을 제공하며 그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내용은 주로 자신들이 좋아하는 가수, 배우에 대한 헌정 페이지거나 자신들의 가족을 소개하고 간단한 게시판 기능을 붙여놓은 형식이 대부분이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기술적인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트래픽을 모으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점 등 여러 제약조건으로 말미암아 홈페이지는 게토(ghetto)적인 성격을 극복하지 못했다. 그런 홈페이지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된 계기는 블로그(blog)로의 전환을 빼놓을 수 없다. 페이지 구성, 업데이트, 상호교류 등이 이전의 형식에 비해 비교가 안될 만큼 쉬운지라 그 성장속도는 폭발적이었고, 오늘날 일부 블로그들은 도저히 가능하리라 생각하지 못했던 기성 매스미디어의 영역에까지 침범하고 있다.

블로그가 이전의 홈페이지와 확연히 다른 점 중 지적할 것 하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획기적인 기능개선이다. 이전에는 상당한 작업을 요하는 상호 링크의 기능이 블로그에서는 트랙백 등으로 용이해졌고, 거기에다 소위 메타블로그(meta blog)라는 플랫폼이 서로를 연결시켜주고 분류해주면서 게토(ghetto)를 상당 부분 허물어버린 것이다.

그리고 SNS 개념은 블로그는 물론 다른 사이트에도 적용되어 왔는데 이미 거대 기업이 되어버린 facebook, youtube 등을 비롯하여 twitter, friendfeed, digg, delicious, flickr 등이 속속 등장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서비스는 우리의 인터넷 생활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국내에도 싸이월드, me2day, margarin 등의 SNS서비스가 인기를 얻고는 있으나 이용인구의 한계 등으로 말미암아 영어권과 같은 상호연결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다.

한편 그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들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이제 그들은 시시콜콜한 개인사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그것이 급속히 퍼져가며, 때로 이것이 다시 오프라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등 온라인에서의 삶이 가지는 비중이 커져가고 있다. 물론 이전의 홈페이지에도 물론 감기 걸렸다는 등의 개인사, 또는 정치적 주장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앞서 말한 이유 등으로 말미암아 그 전파가 제한적이었다면 SNS기반 서비스에서는 전파력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그리고 그것은 다시 실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부정적이든 긍정이든 간에 … 다음은 부정적인 사례다.

경찰관 롭 와드는 런던의 시위대들의 첫날인 4월 1일 오후 페이스북에 글을 남긴 것으로 보인다. 경시청 대변인은 “그 상황이 기록에 남겨져 있고 이는 합당하게 조사할 것입니다.” [중략] 그 경찰관의 소셜네트워킹 사이트인 페이스북 프로파일 페이지에는 4월 1일 20시 17분에 와드가 쓴 것으로 보이는 메시지가 있었다. 이는 “롭 와드는 G20에서 긴 머리가 덥수룩한 히피들을 두들겨 패는 것을 기다리기 어렵다.”라고 적혀있었다.

Pc Rob Ward apparently put the note on Facebook on the evening of 1 April, the first day of City of London protests. A Scotland Yard spokeswoman said: “The matter has been recorded and will be investigated appropriately.” The police officer’s profile page on social networking site Facebook contained a message apparently written by Pc Ward at 2017 BST on 1 April. It stated: “Rob Ward can’t wait to bash some long haired hippys up @ the G20.”[Pc ‘eager to hit G20 protesters’]

한 경찰관이 페이스북에 적은 글로 인해 경시청이 조사에 나서게 된 것이다. 시위대에 적대감을 가지고 있는 경찰관이 동료 경찰관과 담배를 피우면서 사담으로 나눌 이야기가 페이스북에 올라와 사회문제가 된 사례다. 롭 와드라는 이가 특별히 그 글로 인해 벌어질 사태의 심각성을 이해 못할 만큼 어리석은 이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 생각엔 오늘날 많은 인터넷 사용자가 그렇듯이 인터넷, 특히 개인화 페이지의 급속한 전파력을 가늠하지 못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나뿐 아니라 많은 이들이 인터넷에서 생각 없이 사적인 이야기 – 이는 반드시 일상사를 소재로 한다는 의미가 아닌 개인의 담화를 의미한다 할 수 있다 – 를 늘어놓는다. 그런데 이것들이 롭 와드의 경우처럼 나중에 뒤통수를 칠 수도 있다. 싸이월드에 적은 신상정보가 악의적인 이에 의해 공개된달지, 게시판에 올린 글이 엄청난 영향력을 가지게 되며 정부 당국의 주목을 받는달지 하는 등의 경우도 있다.

사람은 다양한 욕망이 있다. 성욕, 식욕, 물욕 등등… 명예욕과 과시욕 또한 사람이라면 대부분 가지고 있는 욕망이고, 사실 블로깅이나 여러 인터넷 활동들은 이 두 가지 욕망을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충족시켜주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욕망을 충족시키는 데에 있어, 스스로 지켜야할 주의사항이 산적해 있음도 명심해야 할 것 같다. SNS 서비스의 전파력을 잊은 채 지나치게 사적인, 또는 통상적인 정서에 반하는 이야기를 늘어놓다가는 PC앞에 앉아있던 당신의 등 뒤로 누군가가 다가올지도 모를 세상이기 때문이다.

이회창 홈페이지를 갔다가 모욕감을 느끼다

대통령 선거 후보 등록일을 얼마 안 남겨두고 출마를 선언하시어 ‘마라톤 중간부터 달리기’라는 새로운 스포츠 종목을 개척하신 이회창 후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였다. 현재 스코어 20%를 상회하는 지지율로 후보군 2위를 달리고 있는 막강 후보시기에 유권자 된 도리로 방문하였던 것이다.

나는 이것저것 젖혀두고 정책을 중요시 여긴다. 정책이 아니면 도대체 국정을 어떻게 이끌어 나가겠다는 이야기냐 하는 생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장한 출마선언문은 무시하고 ‘정책창’ 폴더로 갔다. 그런데 어이없게도 올라온 글은 3일 전에 올린 ‘대한민국을 살리겠습니다.’ 란 제목의 포스팅 달랑 하나. 굴하지 않고 열어보았다.

좌절하지 않을 수 없었다. OTL

최근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캐치프레이즈, 심지어 폰트까지 표절했다고 의심받고 있는 바로 그 ‘대한민국을 살리겠습니다’ 구호의 이미지뿐이다. 그리고는 “준비 중입니다.”

정말 심하게 좌절하지 않을 수 없었다.

헌정 50년이 넘는 이 공화국에서 유력 대권후보가 아무리 서둘러 출마를 결심했다고 쳐도, 아직 채 완성되지 않은 홈페이지라고 쳐도 이건 너무하다. 도대체 유권자를 뭐로 보기에 정책이 “준비 중입니다” 달랑 하나란 말인가. 말장난이 아니라 이건 유권자 모독이다. 정책선거를 말살하려는 음모다.

한때 4수 하던 김대중 할아버지가 “준비된 대통령 후보”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유행시킨 적도 있었지만 이제는 이회창 씨가 “준비 안 된 대통령 후보”로 역발상을 한 모양이다. 아무리 칩거를 하면서 장고를 쳤는지 장고를 하였는지 하느라 시간을 다 까먹었다 쳐도 측근을 통해 그동안 2번이나 후보로 나섰을 때 뿌렸던 공약집이라도 스캔해서 올려놓을 시간도 없었던 말인가.

당선되면 핏자를 의무적으로 돌려야 한다고 해서 빈축을 사고 있는 초등학교 반장 선거도 이것보다는 정책이 많을 것이다. 반드시 남녀 함께 짝꿍이 되도록 하겠다든지 월마다 한 번씩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시간을 갖게 하겠다든지 하는 것 말이다.

도대체 유권자의 20%는 지금 어디를 보고 이회창 씨를 지지하는지 한번 통렬한 심정으로 묻고 싶다.

그가 ‘대쪽’이라서?

홈페이지에 보니 참 염치도 없이 “살아있는 원칙 이회창”이라고 적혀 있다. 하지만 그의 대국민 출마선언에 보면 “그런 제가, 오늘은 스스로 국민 여러분께 다짐했던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된 것을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한번 다짐한 약속을 지키지 못하였으면 그는 더 이상 “살아있는 원칙”이 아니다. 좋게 봐줘도 “반쯤 정신 나간 원칙”이다.

아니면 그가 “원칙”이 아니더라도 “좌파정권이 앗아간 잃어버린 10년”을 되찾아줄 것 같아서?

이것은 더 말할 것도 없이 ‘착시현상’이다. 이미 손석춘 씨의 정곡을 찌르는 글에서 잘 드러나 있듯이 이 나라에는 “좌파정권”도 없고 보수우익에게 “잃어버린 10”년도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10년 동안 조성된 남북화해무드와 갈팡질팡하는 경제정책으로 말미암아 자산가에게는 더욱 뿌듯한 10년이었다.

그저 이제 와서 생각해보니 ‘면장감도 못 되는’ 사람이 대통령이라고 앉아 있는 꼴이 못마땅한 것이다. 그동안 얼치기 우파정권이었으니 이제 제대로 된 우파정권 한번 만들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있는 자들의 잔치에 기득권도 없으신 일부 열혈애국자 분들께서 정치공학의 거미줄에 걸려 부화뇌동하고 계신 것이다.

선택은 자유다. 진정한 자유민주주의 체제 하에서는 자신을 대변할 정치인으로 극좌를 뽑을 수도 있고 극우를 뽑을 수도 있다. 다만 바라건 데 진정 자신을 대변할 정치인을 뽑자. 정말 이기적인 마음으로 말이다. 자신의 정치적 입장, 경제적 지위, 사회적 비전 등을 고려하여 이기적으로 뽑아야 한다. 그런데 그러자면 정치인이 무슨 정책을 지니고 있는지 봐야 한다. 반드시 봐야 한다. 그런데 그 정책이 “대한민국 살리겠다는” 그 말뿐인 사람은 어떻게 봐야 하는 가 말이다.

왜 이회창을 찍으려 하십니까? 핏자 라도 한판 돌린답니까?

이회창 후보 홈페이지 http://www.leeh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