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3.0? 또는 사회주의 1.5?

다음은 저명한 경제학자 Dani Rodrik 이 Business Standard에 기고한 글 중 일부다. 전문은 sonnet님이 번역해주셨으므로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자본주의의 몰락을 예견했던 이들은 중요한 역사적 사실 하나에 대해 논박해야 할 것이다. : 자본주의는 스스로를 재창조하는데 있어 거의 무한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진정으로 이 유연성이야말로 자본주의가 몇 세기 동안 주기적인 위기를 극복하고 칼 마르크스를 비롯한 비평가들 보다 오래 살아남은 원인이다. 진정한 의문은 자본주의가 살아남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 아니라 – 살아남을 수 있다 – 세계의 지도자들이 현재의 곤경으로부터 발현될 다음 단계의 자본주의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지도력을 보여줄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Those who predict capitalism’s demise have to contend with one important historical fact: capitalism has an almost unlimited capacity to reinvent itself. Indeed, its malleability is the reason it has overcome periodic crises over the centuries and outlived critics from Karl Marx on. The real question is not whether capitalism can survive – it can – but whether world leaders will demonstrate the leadership needed to take it to its next phase as we emerge from our current predicament.[Dani Rodrik: Coming soon – Capitalism 3.0]

글의 제목부터 흥미롭다. “개봉 박두 – 자본주의 3.0”. 업데이트 되고 있는 자본주의의 현황 또는 미래를 상징해주는 가벼운 말장난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아담 스미드 시절의 ‘야경국가’가 1.0, 케인즈 시절의 ‘혼합경제’가 2.0 쯤 되고 이제 새로이 도래할 자본주의가 3.0 버전 쯤 된다. 그런데 2.0 버전 이후에 등장한 세계화와 신자유주의가 일종의 버그로 현재의 위기를 초래했다. 즉 자본주의는 자유주의적 체제가 개입주의적 체제로 거듭나며 발전했는데, 국민국가의 경제적 경계가 세계화에 의해 와해되면서 현재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필자는 자본주의는 “무한한 유연성”을 통해 생존할 수 있는데, 관건은 지도자들의 영도력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글에서 내가 “자본주의 유연성”이라는 단어에 주목하는 이유는 – 건방진 소리일지 몰라도 – 어릴 적 바로 그 똑같은 생각을 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대학생 시절, 당시 사회주의 사상에 심취해있던 한 선배와의 논쟁(?) 중에 내가 그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나는 사회주의가 교조적인 마르크스주의 때문에 경직성을 띠고 이념의 과잉 현상을 보이는 반면, 자본주의는 경제체제의 고갱이만 유지할 수 있다면 – 예컨대 사유권과 시장 – 어떠한 변태로도 수정가능하지 않는가 하고 말한 적이 있다. 특히 문화적인 측면에서 그러한 경향이 심하다고 주장했던 기억이 있다.(주1) 여하튼 그때의 치기어린 주장이 Dani Rodrik의 주장과도 어느 정도 일맥상통하지 않은가 감히 생각해본다.

그렇다면 정말 대학교 2학년 시절의 나와 Dani Rodrik이 생각하고 있는 대로 자본주의는 특유의 유연성을 통해 “자본주의 3.0”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인가? 대학생 시절의 나라면 동의했을 것이다. 하지만 오늘의 나는 조금 다르게 본다. 이제 “유연성” 그 자체가 자본주의의 생명력의 열쇠라는 Dani Rodrik의 논리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무한하게 유연하므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논리라면 극단적으로 ‘자본주의가 아니어도 좋다. 자본주의기만 하다면’ 이라는 주장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일까? 사유재산과 시장이 자본주의의 고갱이라면 봉건체제도 딴에는 자본주의라는 주장도 가능하다. 그렇다면 변태는 그때부터 시작된 것이고 도래할 자본주의는 3.0이 아니라 4.0 또는 그 이상의 버전일 것이다.

내가 굳이 위대한 경제학자의 주장에 – 그것도 내 어릴 적 생각과 신기하게 일치하는 – 딴죽을 거는 까닭은 그가 주류(주2) 경제학자로서 어쩔 수 없이 지니고 있는 ‘용어에의 집착’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그렇게 무한한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면 ‘자본주의’라는 용어에 집착할 필요도 없지 않을까? 그것이 ‘사회주의가 아니어도 좋다. 사회주의기만 하다면’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 공산당과의 체제대결에서의 우월성을 확보하는 길일 것이기 때문이다. 미래 경제체제의 진정한 문제는 용어의 폐지의 여부가 아니라 그 용어가 지키고자 하는 기득권의 폐지 여부일 것이다.

 

(주1) 예를 들자면 자본주의의 대중음악 시스템은 레게나 펑크락과 같은 반체제적인 음악이라 할지라도 그것의 상품성을 확인하면 메시지는 거세한 채 형식만을 상품화시킨다.

(주2) 주류라는 표현이 꼭 그가 보수주의적 경제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의 경제학적 철학은 상당히 반골적인 기질도 지니고 있다. 나는 그의 경제학계에서의 비중이나 입지적 측면에서의 주류적 위치를 발하는 것이다.

16 thoughts on “자본주의 3.0? 또는 사회주의 1.5?

  1. Adrian Monk

    정말로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몇 년 전에 사회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자유주의는 시민들의 내부적 수정으로 그 정치적인 생명을 지속하였으나 공산주의는 체제 자체에 매몰된 사람들로 인하여 쇠락의 길을 걸었다.’ 와 비슷한 말을 들었던 것이 기억납니다. 과연, 자본주의는 -지적하셨듯 용어의 문제를 떠나 – 인류와 함께 영속할까요?

    Reply
    1. foog

      우리가 사는 세계를 자본주의 또는 다른 것으로 규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알맹이가 중요하겠죠. 인민 대다수가 살만한 세상인가 하는 것 말이죠. 🙂

      Reply
  2. 김우재

    폴라니 30년은 오게 될런지. 그나저나 저게 자본주의가 유연해서 그런 건지, 자본주의가 구조적인 모순을 가져서 그런건지 어케 아는데?

    Reply
    1. foog

      암튼 알맹이만 남아있으면 껍데기는 무한하게 바꿔도 여전히 본질은 남는 거라… 뭐 그런 것 같습니다. 알맹이와 껍데기의 정의를 잘 해야겠지요.

      Reply
  3. 윤귀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주류학자들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그러한 단어의 정의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다른 시야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어쩌면 먼 미래에 사회주의가 일상화 되는 시대가 올 수도 있을터~

    Reply
  4. sunlight

    그런데 이런 얘기는 오래 된 것 아닌가요. 중국의 강청도 자본주의가 원래 인류 역사처럼 얘기했고(유럽의 클래식음악을 거론하면서) 오늘날의 기본 제도 또한 크게 다를 게 없는 것처럼 보여서요. 그래서 그걸 까부수려는 즉, 공산주의 이론은 기존의 없던 혁명적인 것이지요. 제 얘기가 틀렸나요?
    저는 경제학 전공을 안해서 대니 록은 잘 모르겠지만, 이 포스팅만 보면 옹고집 덩어리가 대세를 피하기 위해 비교적인데 호소하고 있다는 생각이듭니다.
    (제 말이 좀 예의에 벗어납니다. )
    주인장이 주장하는 게 뭔지 보다 확실하게 알고 싶습니다.

    Reply
    1. foog

      자본주의가 언제부터 시작되는 것이냐 하는 논의는 말씀하신대로 이전부터 많이들 싸웠던 주제고 공산주의도 원류도 굳이 따지고 들어가자면 스팔타쿠스부터 공산주의자라는 주장도 있을 정도로 오래 된 것입니다. 기존에 없던 혁명적인 것은 아니죠. 늘 챗바퀴 돌아가듯이 체제와 반체제가 서로 용어에 집착하게 마련이라는,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그 용어가 보호해주고 있는 기득권이 누구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제 주장이라고 해두죠 뭐..

      Reply
  5. Pingback: 급진적 생물학자 Radical Biologist

  6. Pingback: 급진적 생물학자 Radical Biologist

  7. sonofspace

    공공성을 보장하고, 사회적 평등을 이루고, 전 인민에게 살아갈 권리와 능력을 줄 수 있는 사회라면 그게 자본주의든 사회주의든 상관없는데 말입니다…
    말대로 ‘새로운 자본주의'(혹은 사회주의라도)가 출현한대도 여전히 불평등과 착취가 존재한다면 위기는 반복되겠죠.
    중요한 건 그 사회가 어떤 용어로 불리든 간에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구현하느냐겠죠. 그치만 왠지 “자본주의 끄덕없다, 아무 걱정하지 말아라”라는 뉘앙스의 말을 하는 양반들은 저와는 추구하는 가치가 다를뿐더러 현체제(정확히는 기득권)을 옹호하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왠지 반감을 품게 된다는 ㅎㅎ ;

    Reply
    1. foog

      물론 형식이나 네이밍이 중요하지만 우리는 또 역사에서 형식과 겉치레를 위한 – 또는 그것을 악용한 – 안 좋은 사례를 많이 봐왔죠. 그러니 때로는 집착아닌 집착을 할 수 밖에요. 🙂

      Reply
  8. 저련

    ‘자본주의는 망한다’는 주장보다는 ‘자본주의는 살아남을 수 있다’는 주장이 좀 더 맞을 확률이 높은 주장인 것은 틀림 없을 것입니다. 뒤 주장에 붙은 조동사에는 양상 개념(가능)이 들어 있지만 앞 주장에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자본주의는 망한다’는 주장은 ‘자본주의는 망할 수 있다’와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망한다’라는 두 방식으로 양상사를 붙일 수 있게 되는데, 앞 사례는 사실 ‘자본주의는 살아남을 수 있다’와 본질적으로 다른 상황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기에 치운다면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망한다’라는 주장만 남게 되니까 말입니다. 허나 심지어 자연과학에서도 필연성을 주장하는건 너무나 용감무쌍한 일입니다..

    어떤 이론, 어떤 주장들의 체계가 자본주의인 것인지는 물론 주류의 입장을 잘 정리하면 나오겠지요. ‘자본주의는 망할 수 있다’와 ‘자본주의는 살아남을 수 있다’는 양상적으로는 또는 확률상으로는 본질적으로 같은 예측이므로, 다시 말해 형식상 다를 바 없으며 각론 없이는 수사적으로나 차이가 있을 주장이므로 차이점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쏘넷님의 주장처럼 각론까지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일단 서로 시야에 들어와야 싸울 수 있다는 뭐 그런 거.

    Reply
    1. foog

      sonnet님의 주장처럼 각론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야 저도 바라마지 않는 바지요. 저도 여태 제 블로그에서 ‘자본주의는 끝장났다’라고만 외친 것도 아니고요. 여하튼 거대담론의 용어에 대한 집착은 “재야의 아웃사이더”들의 전유물이라는 주장은 말 그래도 주장일뿐 아무런 논거도 없으니 재론의 여지는 없고요. 🙂

      Reply
  9. dd

    “자본주의는 경제체제의 고갱이만 유지할 수 있다면 – 예컨대 사유권과 시장 ”

    이건 이미 자본주의 2.0때 망가졌죠 ;;;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