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대한민국 국가기록원, KOGL Type 1, 링크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92년 12월30일 김영삼 대통령당선자의 정권인수 때 처음 등장한 이름이다. 14대 대선에서 승리한 김영삼당선자 진영이 당시 노태우정부에 당초 요구한 명칭은 ‘정권인수위’였다. 물론 ‘정권을 쟁취했다.’ 는 의미였다. 또 노전대통령이 전두환전대통령의 ‘서슬’에 눌려 ‘정권인수’라는 말을 못 쓰고 ‘취임준비위원회’에 자족(自足)해야 했던 과거사와 차별한다는 뜻도 담겨 있었던 것. 그러나 노태우정부 측은 “정권인수는 혁명적인 상황에서 있는 일로 법적 문제가 있다.”고 버텼다는 후문이다. 결국 절충 끝에 ‘인수’라는 표현을 살리는 선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됐다.[잃어버린 5년 칼국수에서 IMF까지, 49쪽]
이제는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고 언뜻 사소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표현들이 사실 처음에 만들어질 때는 나름 상당한 진통이 따랐다는 역사적 사실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지금은 ‘인수위원회’라는 표현이 당연시되고 있는데, 이것은 사실 정권이 그래도 계속 소위 “보수”진영에서 소위 “진보”진영으로 왔다 갔다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김영삼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만 해도 심지어 사실은 김영삼 정부마저도 이전 정부로부터 “정권이 교체”된 상황이 아니었다. 굳이 따지자면 3당 합당 이후 내부에서의 계파 간의 권력이 이동한 셈이다. 그러다 보니 용어 하나하나에도 내부 갈등이 있었던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사소한 것 같은 갈등이 이제 와서 보면 간단치만은 않은 갈등이었다는 생각이 든다.